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분류 전체보기 3499

양손에 떡

이것이 세상의 이치며, 세상은 공평하다. 감사와 고마움을 알 때 우리는 행복할 것이다. 뿔이 있는 소는 날카로운 이빨이 없고 이빨이 날카로운 호랑이는 뿔이 없다. 날개 달린 새는 다리가 두개 뿐이고 날 수 없는 고양이는 다리가 내 개다. 예쁘고 아름다운 꽃은 열매가 변변찮고 열매가 귀한 것은 꽃이 벌로다. 똥파리의 뒤를 쫓으면 똥을 묻히고 꿀벌의 뒤를 쫓으면 꿀맛을 본다. 물은 어떤 그릇에 담느냐에 따라서 모양이 달라지지만 사람은 어떤 사람을 사귀느냐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 결국 양아치 주변에는 양아치 뿐 자기가 양아치인 줄 꿈에도 모른다. 고개를 숙이면 머리를 부딪히는 법이 없고 양손을 먼저 내밀면 더 많은 걸 얻을 수 있다. [ 상 림 ]

왕건은 어떻게 나라를 세웠나?

오피니언 이익주의 고려, 또 다른 500년 왕건 앞세워 이룬 중앙-지방 권력 교체의 대사건 지방 사람들의 고려 건국 이익주 역사학자 한국 역사에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왕조의 수명이 길고, 왕조교체가 매우 드물다. 고구려·백제 600년 이상, 신라 1000년, 고려·조선 500년이다. 왕조교체는 신라에서 고려로,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된 것밖에 없다. 이것을 가지고 역사 발전이 더뎠다는 정체론(停滯論)의 근거로 삼기도 하고, 전복 세력의 등장을 허락하지 않은 선정(善政)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한국 역사에서 왕조교체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그리고 그때마다 결정적인 작용을 한 것이 민심이었다. 신라에서 고려로 교체될 때도 민심이 요동쳤다. 신라 말 재정 시스템 붕괴가..

업장(業障)이란?

업장이란 행위의 장애입니다. 업(業)이란 과거로부터 현세로 또 현세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행위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소정의 과정을 마치면 졸업장(卒業狀)을 줍니다. 업을 마쳤다는 증명서이지요. 업(業)은 행위 행동이 습관으로 이어져 의식(意識)속에 깊이 배어있어서 뽑아내기가 힘들어 행위의 장애 즉 업의 장애인 업장(業障)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업장소멸을 위해 기도하고 수행합니다 업장소멸은 습관을 고치지 않고는 절대로 소멸되지 않습니다. 습관.관습.행위 행동이 업이고 행위에서 오는 장애가 곧 업장(業障)입니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습관이 버릇되고 습관적으로 행하는 버릇이 업장(業障)이 되고 고질적인 것이 됩니다. 업장은 3가지로 부터 옵니다. 1 몸으로 짓는..

재주(才)가 덕(德)을 이기면 안된다

◆'재주(才)가 덕(德)을 이겨서는 안된다' ........재승박덕(才勝薄德) .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자식을 천재(天才)로 키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에 나가서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재(天才)가 아니라 덕(德)이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에게 존경을 받고 지도자의 위치에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天才)가 아니라 덕(德)이 높은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천재(天才)를 부러워하지만, 천재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하지만 덕은 영원(永遠)합니다. 그러므로 머리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을 좋아하고 덕을 즐겨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할 것입니다. 공자(孔子)는 천재불용(天才不用)이라 하여 덕 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다고 했습니다. 이는 공자와 황택..

퇴계(이황)의 매화시 와 두향이야기

퇴계 선생의 매화 시(詩)와 두향이 이야기 이황(李滉) 퇴계(退溪)선생은 매화(梅花)를 끔찍이도 사랑했다.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詩)가 일백(一白)수가 넘는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 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거문고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그녀는 언제나 퇴계의 곁에서 거문고를 타며 퇴..

MZ 세대란?

🛑MZ세대? 아는듯 하지만 막상 아내가 설명해 보라 하니 자신이 없었는데, 좋은 자료를 입수했습니다. 저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죠. MZ세대가 사회적 화두가 된지도 10여년이 지났다. 1980년도 이후 2000년도 까지 태어난 사람들이 MZ세대다. 이들이 성장하면서 가정 학교 직장 군대에서 차례로 난리가 났다. 생각도 일하는 방법도 노는 방식도 기성세대와 다른 세대이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신인류가 탄생한 것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 우선 1980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보화사회' 의 시작이며 '신자유주의' 의 시작이고 민주화운동의 분출 시기였다. 이 해에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쓴 '제3의 물결' 이 나왔고, 1985년에는 같은 저자가 쓴 '권력이동' 이 나왔..

자료실 2024.01.15

욕심이란

🦋 욕심이란? “스승님! 욕심(慾心)이란 무엇이옵니까?” “바람(風)이니라.” “ ? ” “하늘의 저 '달'은 몇 개(個)이더냐?” " . . . ? . . . " "그리고 . . . , 전혀 물결이 없는 잔잔한 호수(湖水)에 비치는 '달'은 몇 개(個)이겠느냐?” "분명(分明),하늘의 '달'도 하나이고 호수(湖水)에 비치는 '달'도 하나이옵니다.” "그러하니라." " . . ? . . " "하지만, 바람(風)이 불어 물결이 심(深)하게 일면; 하늘의 '달'은 분명(分明) 하나인데 호수(湖水)에 비치는 '달'은 헤일 수 없이 많아지느니라.“ ? ” “우리가 세상(世上)을 살면서; 따라야 할 진리(眞理)는 언제나 하나이며, 그 진리(眞理)에 따라 살면 편안(便安)하고 평화(平和)로우련만, 욕심(慾心)이라는..

카테고리 없음 2024.01.15

인간이 갖추어야 할 덕목

🌷人間이 갖춰야할 德目 " 싸가지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과연, "싸가지"란 무슨 뜻일까요? 1.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이고, 2. 서대문은 의(義)를 두텁게 갈고 닦는 문이라고 돈의문(敦義門)이고, 3.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이며, 4. 북문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는 뜻으로 홍지문(弘智門)이라 한다. 5.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信)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세웠다. 한양 도성을 오상(五常)에 기초, 건립 하였던 것이다. ★ 오상(五常)이란,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으로 인간이 갖춰야 할 다섯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보면 가엾게 여겨 정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이..

절간의 풍경이 물고기를 닮은 까닭

🐟절 추녀 밑 풍경엔 왜 물고기를 달아 놨을까 ? 그윽한 풍경소리~ 풍경 끝에는 물고기가 달려있습니다. 물고기가 바람을 맞아 풍경소리를 울려 퍼지게 합니다. 그런데 왜 이 풍경에 물고기를 매달았을 까요? 먼저 풍경 끝의 물고기를 올려다 보십시오 그리고 그 물고기 뒤로 펼쳐진 푸른 하늘을 그려 보십시오! 그 푸른 하늘은 곧 푸른 바다를 뜻합니다. 그 바다에 한 마리의 물고기가 노닐고 있습니다.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삼아 한 마리가 물고기를 닮아 그곳은 물이 한없이 풍부한 바다가 됩니다. 그 풍부한 물은 어떠한 큰 불도 능히 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나무로 지은 사찰 목조건물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상징성을 담고 있답니다. 또 다른 하나의 이유는 물고기는 깨어 있을 때나, 잠잘 때나 눈을 감지 않..

인생을 바꾸고 싶으면..

^♡ 세가지 좋은 버릇 ^♡♡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세가지 버릇을 바꿔라. 첫째는 마음 버릇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버리고,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하라. 둘째는 말 버릇으로 비난과 불평을 삼가고 칭찬과 감사를 입버릇으로 만들어라. 셋째는 몸 버릇으로 찌푸린 얼굴보다는 활짝 웃는 사람이 되라. 맥없는 사람보다는 당당한 사람이 성공한다. 티벳 속담에 장수하며 잘사는 비결은 1)먹는 것은 절반으로~ 2)걷는 것은 두 배로~ 3)웃는 것은 세 배로~ 여행이 즐거우려면 세가지 조건이 맞아야 한다. 첫째, 짐이 가벼워야 한다. 둘째, 동행자가 좋아야 한다. 셋째, 돌아갈 집이 있어야 한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여기 사는 동안 잠시 빌려 쓰는 것이다. 여행 간 호텔에서의 치약 같은 것이다. 우리가 죽는 줄을 알아야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