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분류 전체보기 3498

시련없는 인생 행복 할까?

“시련 없는 인생은 행복할까, 지옥일까”…인생에 고통이 필요한 이유‘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은 젊을 때 겪는 시련이 훗날 값진 자산이 된다는 뜻이다.석가모니는 생로병사의 여정에서 세상 모든 것이 고통(一切皆苦·일체개고)임을 깨달았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고통이 전혀 없는 삶이 과연 진정한 행복일까.불편과 시련을 피하려는 태도가 오히려 삶의 깊이를 앗아가는 것은 아닐까.종교는 인간의 고뇌를 해소하기 위해 나름의 해법을 제시해 왔다.많은 종교 교리의 핵심에 사후 세계, 특히 형벌의 장소인 지옥이 실제로 존재하는가에 대한논란이 있다.유신론의 관점에서 보면 전지(全知)·전능(全能)·전선(全善)한 신이 지옥을 만든다는 것은그 본성에 모순된다.논리적으로 자비로운 신이 영원한..

고전명구

2025년 10월 1일 (수)사백이십삼 번째 이야기 잠향 사르기차 달이기낮잠 밤에 책 읽기문장 비평책 쓰기시 짓기그림 그리기전각(篆刻)운자(韻字) 뽑기거문고 연주,바둑, 활쏘기투호검(劍) 감상거울보기물고기 기르기학 길들이기폭포 소리 듣기산책, 꽃 심기대나무 옮겨심기샘물 마시기소나무 돌보기연꽃 감상국화 따기채소 뜯기과일 줍기정원에 물 뿌리기눈 쓸기더위 씻기시원한 곳 가기햇볕에 약 말리기환약 조제. 淸課[三十四事]焚香, 煑茗, 午睡, 夜讀, 論文, 著書, 作詩, 作畫, 鐫籀, 射韻, 鼓琴, 圍碁, 射帿, 投壺, 觀劒, 覽鏡, 養魚, 調鶴, 聽瀑, 踏靑, 種花, 移竹, 汲泉, 撫松, 賞蓮, 掇菊, 挑蔬, 拾菓, 灌園, 掃雪, 濯熱, 就凉, 曬藥, 調丸.청과[삼십사사]분향, 자명, 오수, 야독, 논문, 저..

수유칠덕/ [水有七德]

○수유 칠덕 ! [水有七德]노자(老子)는 인간 수양(人間修養)의 근본을 물이 가진 일곱 가지의 덕목(水有七德)에서찾아야 한다고 했습니다!1.낮은 곳을 찾아 흐르는 謙遜(겸손)2. 막히면 돌아갈 줄 아는 智慧(지혜)3.구정물도 받아주는 包容力(포용력)4. 어떤 그릇에나 담기던 融通性(융통성)5. 바위도 뚫는 끈기와 忍耐(인내)6. 폭포처럼 투신하는 勇氣(용기)7. 유유히 흘러 바다를 이루는 大義(대의)하여, 가장 아름다운 인생은 물처럼 사는 것(上善若水)이라고 하였으니,모두들 물과 같은 내공으로 아름다운 선의 경지에 이르시길~!

벌꿀의 효능

📚 "꿀" 에 대하여 얼마 나 알고 있나요?🌷이 효소들이 금속 스푼과 접촉하면 죽는다는 것 알고 있었나요?🌷꿀을 먹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나무 숟가락을 사용하는 것🌷꿀이 뇌가 더 잘 활동하도록 돕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 알고 있었나요?🌷꿀이 지구상에 유일하게 인간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희귀 음식 중 하나라는 것 알고 있었나요?🌷벌들이 아프리카 사람들을 기아로부터 구했다는 걸 알고 있었나요?🌷꿀 한 스푼이면 24시간 동안 인간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나요?🌷벌들이생산하는 프로폴리스가 가장 강력한 천연 항생제 중 하나라 는 것 알고 있었나요?🌷꿀에 유통기한이 없다는 것 알고 있었나요?🌷꿀은 냉장고에 넣지 않아도 부패 않음을 알고 있었나요?🌷세계의 위대한 황제..

최고직위 호칭

[우리말 혜윰] 전하 vs 저하 폐하나 전하 라는 말은 왕을 직접 부르는 것이 아니라, 요새로 이야기 하면 수행비서를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은근히 비서관을 부르면서 이야기 하면 황제나 왕이 다 알아 듣는다는 의미.▶전하(殿下)전하(殿下)는 왕을 높여 부르는 말로, 왕보다 낮은 사람들이 왕을 부를 때 쓰던 명칭입니다. 물론 왕보다 높은 상왕(上王)이나, 삼전 어른들 (대왕대비,왕대비,대비)은 주상(主上)이라 반존대하였지요.뜻은 큰집 아래라는 뜻인데, '下'자가 아래라는 뜻 뿐 아니라 '임금'이라는 뜻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왕이 거처하는 궁을 대전(大殿)이라 부른 것과 비슷한 의미일 듯 싶습니다.또한 이는 여인에게도 적용됩니다.다만, 조선시대에는 여왕제도가 없었기에 여인이 이러한 불림을 받을 ..

방하착?

방하착 (放下着) : 내려 놓아라산사의 스님들 사이에 방하착이란 예화가 자주 등장하는데,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한 스님이 탁발(수도승이 경문을 외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시주받는 일)을 하러 길을 떠났는데, 산세가 험한 가파른 절벽 근처를지나게 되었다.그때 갑자기 절벽 아래서 '사람 살려!' 라는 절박한 소리가 실낱같이들려왔다. 소리가 들려오는 절벽 밑을 내려다보니,어떤 사람이 실족을 했는지 절벽으로 굴러 떨어지면서다행히 나뭇가지를 붙잡고 대롱대롱 매달려 살려달라고발버둥을 치고 있는 것이었다.'이게 어떻게 된 영문이오?' 라고스님이 물어보니 다급한 대답이 들려왔다.'사실은 나는 앞을 못보는 봉사 올시다. 산 넘어 마을로 양식을 얻으러 가던 중 발을 헛딛어 낭떠러지로 굴러 떨어졌는데, 다행히 이렇게 ..

♻️ 참 잘했어요 라고 할 때,"잘"은 어느 정도의 칭찬일까?

♻️ 참 잘했어요 라고 할 때, "잘"은 어느 정도의 칭찬일까?"잘"의 숫자는 "값"이 얼마일까?사람들의 생각에 공통분모가 있다면,아마도... ‘'세월이 생각보다 참 빠르구나'' 하는 것.실은,세월이 빠른 것은 우리가 보내는1년 365일, 12개월,1주일, 하루 24시간,1시간, 1분, 1초,~ 라는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그리 느끼는 것이다.우리가 흔히 ‘많다’는 표현으로 ‘억(億)이라는 수(數)를 쓴다.그런데 알고 보면 억보다는 훨씬 더 큰 수들이 많다."억"의 만배를 조(兆), 조의 만배를 경(京) 이라하는 것은 누구나 잘안다그러나'경'의 만배를 해(垓) '해'의 만 배를 자(秭), '자'의 만 배를 '양'(壤) 이라고 한다.그뿐이 아니다.'양'의 만 배가 구(溝), '구'의 만 배는 간(澗)..

자료실 2025.09.24

홍콩에 대한 이해

홍콩에 관한 이해 🏝 홍콩의 역사적 배경 • 1842년 제1차 아편전쟁 이후 난징조약으로 홍콩섬이 영국에 할양됨. • 1898년 영국이 신계 지역을 99년간 임대하면서 홍콩 전체가 사실상 영국 령이 됨. • 20세기 중반 중국 공산화 이후 많은 본토 사람들이 홍콩으로 이주, 경제 급성장. * 1997년 홍콩 반환 • 중영 공동선언(1984) 으로 1997년 홍콩을 중국에 반환하되 50년간 자치권 과 자본주의 유지 약속. • 이 원칙은 일국양제(一國兩制), 즉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로 불림. ✊ 반환 이후 자립과 저항의 움직임 • 2014년 중국이 약속한 보통선거를 지키지 않고 강압 일변도로 변질되자 시민들 (학생들 위주)이 우산을 들고 강력한 시위(비폭력/우산혁명 이라 지칭)강행 • 2019년..

효불효교(孝不孝橋)

🍒 효불효교(孝不孝橋)뼈대있는 가문이라하여 어린 나이에 시집왔더니초가 삼간에 화전밭 몇 마지기가 전재산이었다.정신없이 시집살이하는 중에도 아이는 가졌다.부엌일에 농사일하랴, 길쌈 삼으랴, 저녁 설거지는 하는 둥 마는 둥 파김치가 돼 안방에 고꾸라져 누우면,신랑이 치마를 올리는지 고쟁이를 내리는지 비몽사몽 간에 일을 치른 모양이다.아들 여섯 낳고 시부모 상 치르고 또 아이 하나 뱃속에 자리 잡았을 때 시름시름 앓던 남편이 백약이 무효, 덜컥 저 세상으로 가 버렸다.유복자 막내 아들을 낳고 유씨댁이 살아 가기는 더 바빠졌다.혼자서 아들 일곱을 키우느라 낮엔 농사일, 밤이면 삯바느질로 십여년을 꿈같이 보내고 나니 아들 녀석 일곱이 쑥쑥 자랐다.열여섯 큰 아들이 “어머니! 이젠 손에 흙 묻히지 마세요” 하며 ..

바둑의 시원

바둑(圍碁. Go)의 시원(始原): 시대와 장소.오직 한국에서만 위기(圍棋 囲棋, 行く, go, departure)를 바둑이라 한다.중원 기록에는 요임금(堯造圍棋)이 창안 하여, 그의 아들 단주 (丹朱)가즐겼다고 한다. 아니다. 글자와 어음 언어에 그 사연이 있다.바둑을 중원에서는 여러 글자로 기록 했었다. 박이(博弈) 란 어휘가 논어양화(論語 陽貨)편과 맹자 이루하(離婁下)편에 하나의 소일 노름 (game)으로 실렸다. 이를 공자는 [생각을 깊히 하고 지혜를 양성하는 행위]로,맹자는 박이와 음주(博弈好飲酒)를 불효로 풀이했다.1도가문시진경에는[활쏘기, 현악기다루기, 바둑은 아무리 연습해도 똑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않는다] 는 뜻에 “習射, 習琴, 習奕”란 문구가 있다. 박이(博弈)란 승패를다투는 바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