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이야기] 우리 술 하면 역시 막걸리다. 올해 술자리에서는 우리 전통의 탁주, 막걸리를 많이 드시라고 추천하고 싶다. 맑은 청주를 떠내고(또는 떠내지 않고) 술지게미를 체에 걸러 적당량 물을 섞은 게 막걸리이다. 또한 막 걸러냈다고 해서 막걸리라고도 한다. 그래서 막걸리 심부름은 "사 오라"고 하지 않고, "받아 오라"고 하는 것이다. 원래 쌀로 빚었던 막걸리가 식량난으로 64년~76년은 밀가루로 주조했었고, 쌀은 77년에 다시 등장했다. 막걸리에는 쌀이 생각보다 훨씬 많이 들어간다. 지역마다 막걸리가 있지만 맛이 조금씩은 다르다. 알코올 도수 6도 제한도 풀려 14도 이상까지 다양해졌다. 천상병 시인은 "배가 든든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밥" 이라고 막걸리를 예찬하기도 했다. 막걸리는 통풍치료와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