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분류 전체보기 3498

달러에 새겨진 문구

♧달러에 새겨진 문구 소개♧" IN GOD WETRUST""우리는 하나님(神)이 계신것을 믿습니다" 라는 의미이다.이글이 달러에 새겨진 것은 미국이 영국으로 부터 독립을 한후 독립국가로서 화폐를 발행하면서부터 오늘까지 단한번도 바뀌지 않은 규정중 하나이다.영국에서 신앙의 자유와 참다운 신앙을 찾아서 청교도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이주를 하였다.모진 고생과 난관을 뚫고 정착을 시작한 청교도인들은 첫해 농사를 지어 추수를 하고 난후에 제일 처음으로 한것은 감사 예배와 함께 교회를 지었다.이것은 하나님(神)의 보호하심과 사랑으로 여기까지 오게 된것에 대한 감사의 제사인 것이다.2년째 수확을 한후 그들은 학교를 지었다.이 것은 장래의 미국을 짊어지고 갈 2세들의 올바르고 바른교육을 위해서이다.3년째 수확을 하고나..

의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건강하게 살 수 있다.

⛑️ 의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 1위 🍷종교적 인문학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너그러우면서도 밝고 활달한 성격을 가지고 세속적 욕심과 번민을 버리고 평온하면서도 긍정적이고 감사한 마음을 항상 지녀라.👉 2위 🏃‍♂️자주 걷거나 달려라! 30년 건강하게 더 산다.👉 3위 👨‍❤️‍💋‍👨열정적으로 항상 남을 사랑하고 인자한 마음으로 자주 베풀어라 (포옹을 자주하라)👉 4위 🛀전신의 피로를 풀어라.(종아리 주무르기,발끝치기,귓볼당기기,발끝주무르기, 발바닥지압 등 온몸 지압 맛사지가 최고)👉 5위 🤹인생은 한번 뿐이다. 즐겁고 밝고 활달하게 살아라.👉 6위 💃재밌게 잘 노는 것도 삶의 한 방편이다. 친구와 함께 해라. 즐거움이 배가 된다.👉 7위 🪑오래..

🟣 해로동혈(偕老同穴)

🟣 해로동혈(偕老同穴)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의고사성어입니다.부부란 서로 믿고 의지할 때 진정한 가족과 가정의 안녕을 기할 수 있는 겁니다.젊을 때는 아내가 남편에 기대어 살고, 나이가 들면 남편이 아내의 도움을 받으며생을 살아가게 됩니다.그래서 서로를 향하여 여보•당신 이라고 부릅니다.여보(如寶) 라는 말은 "보배와 같다"는 말이고,당신(堂身)은 "내 몸과 같다" 라는 말이랍니다.마누라는 "마주 보고 누워라" 의 준말이고,여편네는 "옆에 있네" 에서 왔다고 합니다.부부는 서로에게 가장 귀한 보배요 끝까지 함께 하는 사람입니다세월이 가면 어릴 적 친구도, 이웃들도, 친척들도 다 곁을 떠나지만...마지막까지 내 곁을 지켜줄 사람은 아내요, 남편이요, 자녀들입니다.우리가 가장 소..

세조 임금과 田(밭전자)

♧ 밭 전(田)字 이야기  🌜Encore🌛수앙 대군이 계유정란(癸酉靖亂)을 도모 하던 당시 한양 에서 가장 유명(有名)하던 파자술사로홍무광(洪武光)이란 盲人(맹인)이 있었다그는 밥상 넓이 정도의 나무 판(板)에 부드러운 흙을 담아 점을 보러온 손님이 마음 내키는 대로글자를 쓰면 손 으로 더듬어 읽고 길흉(吉凶)을 예언(豫言) 하였다수양 대군은 거사(擧事)前에 일의 성사여부(成事如不)를 알기위해 거리에서 파자술을 하고 있던 홍술사를 찾았다"점을 보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오?""거기 앞에 흙판 에다 아무 글자나 생각나는 대로 쓰십시오"수양 대군이 전(田)자를 썼다홍무광이 더듬 더듬 손으로 글자를 읽고 나서 "전(田)자를 쓰셨군요.쌍일이 병립(雙日竝立-  하늘에 태앙 두 개가 나란히 떴으니)하니 역적지사..

한국은 보석 같은 나라였다.

한국은 보석 같은 나라였다!♧한국인은 원래 善한 품성을 가진 백의민족이었다.우리 조상들은 작은 벌레의 생명조차도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뜨거운 개숫물을 마당에 버릴 때에는 이렇게 외쳤다.“워이 워이!”물이 뜨거워 벌레들이 다칠 수 있으니 어서 피하라고 소리친 것이다.봄에 먼 길을 떠날 때에는 오합혜(五合鞋)와 십합혜(十合鞋), 두 종류의 짚신을 봇짐에 넣고 다녔다.'십합혜'는 씨줄 열 개로 촘촘하게 짠 짚신이고 '오합혜'는 다섯 개의 씨줄로 엉성하게 짠 짚신을 가리킨다.행인들은 마을길을 걸을 땐 '십합혜'를 신고 걷다가 산길이 나오면 '오합혜'로 바꾸어 신곤 했다.벌레가 알을 까고 나오는 봄철에 벌레들이 깔려 죽지 않도록 듬성듬성 엮은 짚신을 신은 것이다.'오합혜'는 '십합혜'보다 신발의 수명이 짧았으나 ..

매 몸을 위한 10가지 충고

내 몸을 위한 10가지 충고]1. 정신이 먼저라고 생각하지 마라대부분의 현대인은 머리 쓰는 일에만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나는 반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몸을 관리하면 정신과 마음까지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신적인 부분만 관리하면 몸이 서서히 망가진다. 기억하자. 몸이 먼저다.2.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라숙면을 취하려면 밝을 때 일어나고 어두우면 자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잠자리에 드는 시간에 따라 잠의 품질이 달라지니 너무 늦게 자는 것은 피하라고 조언한다. 낮에 몸을 최대한 많이 움직이고, 되도록 11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자.3. 다이어트는 몸무게를 줄이는 게 아니다몸무게만 빼는 방법은 간단하다. 며칠 굶고 사우나에서 땀을 흘리면 된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빠지지 말아야 할 수분과..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신설

서울대학교에 첨단융합학부가 신설 되었다는데 이니셜 레터는 무엇이며 학부의 커리큐럼은 어떻게 되는지요?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의 이니셜 레터는 SNUTI (School of Transdisciplinary Innovations)입니다. 이 학부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커리큘럼 개요첨단융합학부는 5개의 핵심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입학 후 첫 3학기 동안 다양한 전공을 경험한 후 주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 선택 후에도 학부 요건을 충족하면 1회에 한해 주전공 변경이 가능하며, 복수·부전공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 분야디지털 헬스케어융합 데이터 과학지속가능 기술차세대 지능형 반도체혁신 신약교과 과정공통 필수 과목: 첨단융합전공과..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신설

서울대학교에 첨단융합학부가 신설 되었다는데 이니셜 레터는 무엇이며 학부의 커리큐럼은 어떻게 되는지요?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의 이니셜 레터는 SNUTI (School of Transdisciplinary Innovations)입니다. 이 학부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커리큘럼 개요첨단융합학부는 5개의 핵심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입학 후 첫 3학기 동안 다양한 전공을 경험한 후 주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 선택 후에도 학부 요건을 충족하면 1회에 한해 주전공 변경이 가능하며, 복수·부전공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공 분야디지털 헬스케어융합 데이터 과학지속가능 기술차세대 지능형 반도체혁신 신약교과 과정공통 필수 과목: 첨단융합전공과..

염불에 관하여

주제 ; 염불이란?         부처님께 귀의하고 모든것을  부처님의 뜻에 따라 수행하는 것염불에는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를 생각하는 법신염불과 부처님의 공덕 이나 모습을 마음에 그려보는 관상염불, 그리고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는 칭송염불이 있다.* 법화경 사구게   내세가 아니라 이생에서 부처를 이루어야 한다.-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본래부터 항상 저절로 열반의 모양이어라.  불자가 구도의 길을 행해 마치면 오는 세상 반드시 부처가 되리라. O. 6념은      1.염불  2.염법  3.염승  4.염계  5.염시  6.염천 O. 10념은       6념 외에 7.염멸  8.염출입식 9.염신  10.염사- 평상심이 도이다.  지금 여기에서 후회없는 수행을 해야한다- 일체중생 실유불성  이 세상의 모든 ..

카테고리 없음 2025.04.02

충청,서울,경기지역 괘불의 조형적 특징

보도자료제목작성부서보도일작성자조회수충청과 서울·경기지역 괘불(대형 불화)의 조형적 특징, 보고서로 발간미술문화유산연구실2024년 12월 02일박지영805cn국립문화유산연구원, 2022년부터 추진한 괘불 심화연구 마무리하는 『한국 괘불의 미 3, 4』 발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우리나라 괘불의 조형적 특징을 지역별로 고찰한 학술총서 『한국 괘불의 미 3: 충청지역』과 『한국 괘불의 미 4: 서울·경기지역』을 발간하였다.괘불(掛佛)은 걸개에 거는(掛) 불화(佛畫)라는 뜻으로, 사찰에서 개최한 야외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그린 그림이다. 평소에는 말아서 궤(櫃)에 넣어두었다가 의식 진행 시 걸개에 걸어서 펼치기 때문에 대부분 세로가 가로보다 길고, 세로의 길이가 약 5미터에서 14미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