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제의 지하궁전 ★영생을 꿈꾸던 진시황제의 지하궁전★ ‘세계 10대 기적의 하나’로 꼽히는 진시황릉(秦始皇陵)은 중국 최초의 황제인 진 시황제의 묘지로 중원을 통일한 진나라의 도읍지인 함양(咸陽)땅인 산시성(陝西省) 시안(西安)에서 30km 떨어진 동현의 원산원(驪山園)에 자리하고 있다. 咸陽 능..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2.04
북한의 도발 일지 [북한 도발 일지] -악마 김정일 부자가 얼마나 많은 도발 만행을 저질렀는지!!- 50.6,25 북 기습 남침 (전면전쟁발발) 53.7.27 정전(휴전) 58. 2. 15 KNA 납북사건: 부산 수영비행장을 떠나 서울로 향하던 KNA(창랑호)가 평택 상공에서 무장 북한공작원들에 의해 납치돼 평양순안 공항에 강제착륙했다..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24
옛날 생각 나는 사진들 옛날을 생각나게 하는 사진들 냇가에 가서 고기를 잡던 아이들 아~그 풍금소리~ 난로에서 익던 김치냄새~ 지금은 낫이 아닌 콤바인이 나락을 베지요 이런 책상 걸상에서 공부를 해도 행복했던~ 어머니가 막걸리 섞어 쪄서 뽀얗게 보풀어 오르며 작은 솥단지에서 삼베보자기 째 김 무럭무..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22
[스크랩] 일성록 날씨부터 국사까지 임금이 손수 쓴 일기장 국보 153호 일성록(2329책) 정조는 조선의 국왕 중 여러 면에서 모범을 보인 인물이다. 그 중에서도 매일 일기를 쓰고 이것이 국정의 기록으로 이어지게 한 점은 국왕으로서 정조의 능력을 다시금 새겨 보게 한다. 정조가 세손 시절부터 써 온 일기..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7
이홍장의 길 이홍장의 길 [박찬승] 제 294 호 이홍장의 길 박찬승 (한양대 사학과 교수) 일본 시모노세키에 가면 ‘이홍장의 길’이라는 작은 오솔길이 있다. 이홍장은 1895년 3월 19일 청일전쟁의 강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청국의 전권대신으로서 시모노세키에 도착했다. 청국과 일본의 강화회담은 다..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7
원자력 관련 기고문 3 / 전재풍 제목 우리원전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걱정한다(3) 글쓴이 전재풍 첨부파일 등록일 2014.01.03 내용 지난 60여년동안 400여기의 원전을 30여개 국가에서 운영해 오는 동안 원자로에 장전된 연료가 녹아 내리는 초대형 원전사고가 세 번 있었다. 1979년 최초로 발생한 미국의 TMI원전(가압 경수로 ..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6
원자력 관련기고 2/전재풍 제목 우리원전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걱정한다(2) 글쓴이 전재풍 첨부파일 등록일 2014.01.03 내용 초기원전의 도입시기에는 원전설비를 포함한 대형 국책사업을 자기지역에 유치하려는 다툼이 컸다. 고리1,2,3,4호기와 월성1호기가 모두 영남에 자리하였기에 호남이 들고일어나 영광원전이 ..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6
원전 관련 기고문 1 /전재풍 제목 우리원전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걱정한다(1) 글쓴이 전재풍 첨부파일 등록일 2014.01.03 내용 이 글은 지난해 말 평화신문에 기고를 하려고 작성하였으나 평화신문에서 계재를 거부하여 이곳에 옮겨 적습니다. 글쓰기용량이 제한되어 부득이 3회로 갈라서 계재합니다 지난 10월 27일에..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6
조선은 어떻게 500년을 유지 했을까? 출처 : http://dotty.org/2699099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강연 중에 일부분인데요..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대략 우리가 좀 비루하게 인식하기도 하는 조선이 얼마나 대단한 나라인가 하는 부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면이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역사·정치·경제·과학 2014.01.03
임진왜란 과 정유재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간 벌어진 조선과 일본의 두 번에 걸친 전쟁을 일컫는다. 임진년에 생겨난 난리라 하여 임진왜란이라 하며, ‘7년 전쟁’ 이라고도 부른다. 1597년 일본의 제2차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만을 따로 ‘정유재란(丁酉再亂)’ 이라고도 한다. 이 전쟁은 전범국인 일본에서..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