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과 정유재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간 벌어진 조선과 일본의 두 번에 걸친 전쟁을 일컫는다. 임진년에 생겨난 난리라 하여 임진왜란이라 하며, ‘7년 전쟁’ 이라고도 부른다. 1597년 일본의 제2차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만을 따로 ‘정유재란(丁酉再亂)’ 이라고도 한다. 이 전쟁은 전범국인 일본에서..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1.17
60~70년대 추석 풍경 "싼 것이나 사 입혀야죠" 추석 한산한 시장에 나온 어머니. (동대문시장. 1962년9월10일) 귀성객으로 붐비는 서울역.(1967년9월16일) 초만원을 이룬 귀성열차. (1968년10월5일) 콩나물 시루 같은 객차에나마 미처 타지 못한 귀성객들은 기관차에 매달려서라도 고향으로 가야겠다고 기적이 울리는..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1.17
우리나라 성씨 이야기 우리나라 성씨 이야기 2000년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는 총 288개의 성씨가 있는데 이중 외래성씨가 140개 정도 된다. 특히 김해 김씨가 400만명. 밀양 박씨가 약 300만명 전주 이씨가 약 200만명.으로 3개 성씨가 거의 우리나라 전역을 차지하고 있는 셈인데 이들도 거의 외래성씨의 뿌리를 ..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1.14
한국전쟁의 아픈 기록 영상 ★한국전쟁 가슴아픈 걸작 사진10장★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78/778/1/GumSoonFinal%5B6%5D.JPG> 원조 금순이? 6.25전쟁이 터지자 생활필수품을 한보따리 싸서 머리에 인체 아기를 업고 피난가는 이 젊은 새댁 사진은 전쟁 발발 직후 발행된 미국 LIFE잡지(1950년 7월 10일자)에 전면 크기로 ..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1.01
[스크랩] 한국사천자문_94.紀編綱目 燃藜室述?(기편강목 연려실술) 94.삼국사기·조선왕조실록·동사강목·연려실기술-우리의 역사를 기록하다 삼국사기·조선왕조실록·동사강목·연려실기술-우리의 역사를 기록하다 한정주 한국사천자문 紀編綱目 燃藜室述 (기편강목 연려실술) 기전체·편년체·강목체와,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이 있다. 紀(벼리 기) 編(엮을 편) 綱(벼리 강) 目(눈 목) 燃(탈 연) 藜(명아주 려) 室(집 실) 述(펼 술)..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0.28
대마도 대마도對馬島의 일반 대마도는 쯔시마津島(나루가 많은 섬)라 부르면서 타이마對馬로 쓴다. 중국 역사책 위지 왜인전에 처음 등장한 이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대마도의 명칭 대마對馬는 '말이 대칭으로 서있다.'라는 뜻인데 만제키바시에서 보이는 시라다케산의 두개 봉우리가 마..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0.28
천고마비는 중국인들에겐 공포의 계절 이었다. “天高馬肥”는 中國人에겐 恐怖의 季節이었다. 우리들이 흔히 가을이오면 즐겁게 使用하는 單語가 天高馬肥의 季節이라 하지만 中國에서는 잘 안 쓰는 恐怖의 單語입니다. 中國은 넓은 땅덩어리에다가 悠久한 歷史, 燦爛한 文化를 가지고 있습니다. 누가 보아도 부러울 것이 없는 나라..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0.21
계림 김씨 내력 성씨와 본관 계림김씨(鷄林金氏) 상세정보 관련인물들 자료수정내역 [요약정보] 본관명 계림(鷄林) 성씨명 김씨(金氏) 본관소재지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본관이칭 시조명 김구사(金九思) [상세내용] 본관 연혁 계림(鷄林)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慶州)에 있는 숲 지대를 일..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0.17
김 구 ( 金 鉤 ) 인물전 김구 [간략정보] 한자 金鉤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유형 인물 시대 조선 성격 문신 성별 남 생년 1383년(우왕 9) 몰년 1462년(세조 8) 본관 경주(慶州) 대표관직(경력) 중추원부사 집필자 권연웅 [정의] ♣ 1383(우왕 9)∼1462(세조 8).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직지(直之)..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10.17
이익 (2) 조선 후기 선비 차인들 * 성호 이익과 제자 안정복 실학 전승과정마다 茶 등장 … 과학적 접근 돋보여 이익 ‘성호사설’ 다식 자세히 소개 본래 찻잎으로 만들다 곡물로 대체 감찰 관원들 모일 때면 ‘다시’ 풍습 악행 관료 벌하는 ‘야다시’도 성행 어느 나라의 문화이든 융성기가 있.. 역사·정치·경제·과학 201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