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종교·사상·인물 227

사찰법

사찰법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법은 종헌 제9조 제3항 및 제94조 이하 제101조의 규정에 의하여 고래로부터 전승되어 온 사찰을 보존 및 계승, 관리하기 위한 사항과 종무기관, 승려 또는 신도가 창건 또는 복원하는 사찰의 종단 등록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사찰의 정의) 사찰은 수행, 전법, 포교, 법회, 의식, 회의, 사회공익활동 및 승려거주를 목적으로 조성된 도량으로 불상을 모시고, 수행정진하며, 신도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예불, 의식 및 법회를 행하는 장소로서 기초적인 종무기관을 말한다. 1. '공찰'이라 함은 사찰 재산의 소유권 및 인사·운영·관리권이 종단에 귀속된 다음 각호의 사찰을 말한다. 가. 한국 불교 전래의 사찰로서 기록과 전승에 의하여 본종에 귀속..

인간관계

인 간 관 계 제행무상(諸行無常) 태어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형태 있는 것은 반드시 소멸한다. "나도 꼭 죽는다." 라고 인정하고 세상을 살아라. 죽음을 감지하는 속도는 나이별로 다르다고 한다. 청년에게 죽음을 설파한들 자기 일 아니라고 팔짱을 끼지만, 노인에게 죽음은 버스 정류장에서 차를 기다림과 같나니 종교, 부모, 남편, 아내, 누구도 그 길을 막을 수 없고, 대신 가지 못하며, 함께 가지 못한다. 하루 하루, 촌음(寸陰)을 아끼고 후회 없는 삶을 사는 것, 이것이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다.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나면 헤어짐이 세상사 법칙이요 진리이다. 사랑하는 사람, 일가친척, 남편, 부인, 자식, 명예, 부귀영화, 영원히 움켜쥐고 싶지만 하나 둘 모두 내 곁을 떠나간다. 인생살..

진관사의 사찰음식

세계 유명 셰프들이 찾는 진관사의 비밀 진관사 대웅전과 뒤쪽의 매봉. 조선시대 서울의 궁궐을 중심으로 사방 4군데의 호위 사찰이 있었다. 동쪽에는 불암사, 서쪽에는 진관사(津寬寺), 남쪽에는 삼막사, 북쪽에는 승가사이다. 이를 사고사찰(四固寺刹)이라고도 한다. 4군데서 도성과 궁궐을 지킨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서쪽에 있는 진관사. 근데 이름이 좀 특이하다. 나루 진(津)에 너그러울 관(寬)이다. 산속에 있는 절 이름에 어찌 나루 진(津) 자가 들어가는가? 고려 때 진관대사(津寬大師)의 이름을 따서 절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진관의 뜻은 ‘너그러운, 넓은 나루’라는 뜻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피안의 세계, 또는 이승에서 저승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물을 건너야 한다. 물을 건널 때는 배가 필요한데..

4 종류의 친구

네 종류의 친구 1. 꽃과 같은 친구 꽃이 피어서 예쁠 때는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아끼지 않습니다. 그러나 꽃이 지고 나면 돌아보는 이 하나 없듯, 자기 좋을 때만 찾아오는 친구는 바로, 꽃과 같은 친구입니다. 2. 저울과 같은 친구 저울은 무게에 따라 이쪽으로 또는 저쪽으로 기웁니다. 그와 같이 자신에게 이익이 있는지 없는지를 따져이익이 큰쪽으로만 움직이는 친구가 바로,저울과 같은 친구입니다. 3. 산과같은 친구 산이란 온갖 새와 짐승의 안식처이며 멀리보거나 가까이 가거나 늘 그 자리에서 반겨줍니다. 그처럼 생각만 해도 편안하고 마음 든든한 친구가 바로, 산과 같은 친구입니다. 4. 땅과 같은 친구 땅은 뭇 생명의 싹을 틔워주고 곡식을 길러내며 누구에게도 조건없이 기쁜 마음으로 은혜를 베풀어 줍니다. ..

尋牛圖 해설

신축년은 소의 해다. 僧寶사찰인 순천 송광사에는 다른 곳에 없는 이 있는데, 이 외벽에 소와 관련된 탱화가 그려져 있다. 이라는 뜻에서 尋牛圖(찾을尋, 소牛)라고도 하고, 이라는 의미로 十牛圖(열十, 소牛)라고도 한다. 불가에서의 수행과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심오하고 철학적의미가 담긴 그림이다. 심우도의 는 나에게 가장 소중한 존재나 가치를 상징한다. ​나에게 가장 소중한 존재나 가치는 무엇일까? 부모? 자식? 배우자? 돈? 명예? 신앙? 권력? 사랑? 이념? 출세?... 이 모든 것들도 소중하긴 하지만 보다 소중할 수는 없다. 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하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내가 가장 잘 아는 사람도 이고, 내가 가장 모르는 사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