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자료실

[스크랩] 국조방목(國朝榜目)

碧空 2013. 10. 28. 16:23

국조방목(國朝榜目)이란?
조선 태조 초기부터 1877년(고종 14)까지의 문과(文科) 급제자를 기록한 책. 필사본. 10권 10책. 20.2×20 cm. 규장각도서. 책머리에 958년(고려 광종 9) 한림학사 쌍기(雙冀)의 헌의 (獻議)에 따라 시부(詩賦) 송(頌) 및 시무책(時務策)으로 진사(進士)를 시험 임명한 일과 고려 역대의 과거에 급제한 인명을 덧붙이고 있다.

 

국조방목에 기록된 조선시대 과거에 입격한 자랑스러운 선조분들

이    름

시        험

등  위

고경명(高敬命)

 이순(而順) 

 제봉(霽峯)

 명종13(무오, 1558) 식년시(式年試) 

 甲科1 

고경조(高敬祖)

 이원(貽遠) 

  

 명종16(신유, 1561) 식년시(式年試) 

 乙科2 

고맹영(高孟英)

 영지(英之) 

 하천(霞川)

 중종35(경자, 1540) 별시(別試) 

 丙科13 

고부천(高傅川)

 군섭(君涉) 

  

 광해군7(을묘, 1615) 알성시(謁聖試) 

 丙科5 

고성후(高成厚)

 여관(汝寬) 

  

 선조16(계미, 1583) 별시(別試) 

 丙科8 

고   습(高   習)

 성중(誠仲) 

  

 중종19(갑진, 1524) 별시(別試) 

 丙科2 

고시기(高時冀)

  

  

 고종16(기묘, 1879) 식년시(式年試) 

 乙科6 

고용후(高用厚)

 선행(善行) 

 청사(晴沙)

 선조39(병오, 1606) 증광시(增廣試) 

 乙科3 

고   운(高   雲)

 종용(從龍) 

  

 중종14(기묘, 1519) 별시(別試) 

 丙科14 

고응관(高應觀)

  

  

 정조7(계묘, 1783) 식년시(式年試) 

 丙科3 

고익경(高益擎)

 주백(柱伯) 

  

 영조23(정묘, 1747)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인후(高因厚)

 선건(善健) 

 학봉(鶴峯)

 선조22(기축, 1589) 증광시(增廣試) 

 丙科6 

고정주(高鼎柱)

  

  

 고종28(신묘, 1891) 증광시(增廣試) 

 丙科18 

고제일(高濟鎰)

  

  

 고종1(갑자, 1864) 증광시(增廣試) 

 丙科9 

고종후(高從厚)

 도중(道仲) 

 준봉(準峯)

 선조10(정축, 1577) 별시(別試) 

 丙科1 

고필상(高必相)

  

  

 고종13(병자, 1876) 식년시(式年試) 

 甲科3 

고위규(高緯奎)

 문백(文伯) 

  

 숙종6(경신, 1680) 별시(別試) 

 丙科11 

고득용(高得溶)

  

  

 고종17(경진, 1880)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4 

고몽필(高夢弼)

 천뢰(天賚) 

  

 중종32(정유, 1537)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상안(高尙顔)

 사물(思勿) 

  

 선조9(병자, 1576) 식년시(式年試) 

 丙科4 

고선경(高善慶)

  

  

 세조3(정축, 1457) 친시(親試) 

 丙科4 

고언겸(高彦謙)

  

  

 성종10(기해, 1479) 별시(別試) 

 丙科4 

고   유(高   裕)

 순지(順之) 

  

 영조19(계해, 1743) 정시(庭試) 

 丙科16 

고익형(高益亨)

 회지(會之) 

  

 숙종4(무오, 1678) 증광시(增廣試) 

 丙科8 

고인계(高仁繼)

 선승(善承) 

  

 선조39(병오, 1606) 식년시(式年試) 

 乙科7 

고종필(高宗弼)

 상경(商卿) 

  

 중종29(갑오, 1534) 식년시(式年試) 

 丙科11 

고흥운(高興雲)

 천상(天祥) 

  

 선조3(경오, 1570) 식년시(式年試) 

 乙科6 

고응척(高應陟)

 숙명(叔明) 

 취병(翠屛)

 명종16(신유, 1561) 식년시(式年試) 

 丙科5 

고한운(高翰雲)

 자룡(子龍) 

  

 선조18(을유, 1585) 식년시(式年試) 

 甲科1 

고득종(高得宗)

  

  

 세종9(정미, 1427) 중시(重試) 

 乙科2 

고신교(高愼驕)

  

  

 세종26(갑자, 1444) 식년시(式年試) 

 丁科18 

고대혁(高大赫)

 광안(光顔) 

  

 명종4(기유, 1549) 식년시(式年試) 

 丙科24 

고만구(高萬九)

  

  

 순조22(임오, 1822) 식년시(式年試) 

 丙科4 

고성진(高性鎭)

  

  

 헌종10(갑진, 1844) 증광시(增廣試) 

 丙科29 

고시경(高時景)

  

  

 고종10(계유, 1873) 식년시(式年試) 

 丙科25 

고시면(高時勉)

  

  

 철종6(을묘, 1855) 식년시(式年試) 

 丙科19 

고시신(高時臣)

  

  

 순조10(경오, 1810) 식년시(式年試) 

 丙科1 

고시협(高時協)

  

  

 고종2(을축, 1865) 식년시(式年試) 

 乙科2 

고시홍(高時鴻)

  

  

 헌종15(기유, 1849) 식년시(式年試) 

 甲科3 

고의상(高儀相)

  

  

 고종22(을유, 1885) 증광시(增廣試) 

 乙科7 

고정봉(高廷鳳)

  

  

 정조24(경신, 1800) 별시(別試) 

 丙科17 

고정헌(高廷憲)

  

  

 정조7(계묘, 1783) 증광시(增廣試) 

 丙科24 

고택겸(高宅謙)

  

  

 정조4(경자, 1780) 식년시(式年試) 

 丙科16 

고경준(高景峻)

  

  

 철종14(계해, 1863) 별시(別試) 

 乙科1 

고경진(高景軫)

 응임(應任) 

  

 명종8(계축, 1553) 별시(別試) 

 乙科6 

고경허(高景虛)

 응실(應實) 

  

 명종1(병오, 1546) 증광시(增廣試) 

 丙科3 

고극충(高克忠)

  

  

 정조1(정유, 1777) 식년시(式年試) 

 丙科21 

고기승(高基升)

  

  

 고종17(경진, 1880) 증광시(增廣試) 

 丙科28 

고기종(高起宗)

  

  

 숙종2(병진, 1676) 정시(庭試) 

 丙科6 

고덕수(高德秀)

  

  

 세종14(임자, 1432) 식년시(式年試) 

 同進士4 

고덕칭(高德稱)

  

  

 세종29(정묘, 1447) 식년시(式年試) 

 丁科15 

고득종(高得宗)

 자전(子傳) 

  

 태종14(갑오, 1414) 친시(親試) 

 乙科3 

고만갑(高萬甲)

 성백(星伯) 

  

 숙종43(정유, 1717) 식년시(式年試) 

 丙科22 

고만첨(高萬瞻)

  

  

 숙종34(무자, 1708) 식년시(式年試) 

 丙科26 

고명열(高命說)

  

  

 영조9(계축, 1733) 식년시(式年試) 

 丙科20 

고명학(高鳴鶴)

  

  

 정조19(을묘, 1795) 식년시(式年試) 

 丙科33 

고몽성(高夢聖)

 계주(季周) 

  

 영조32(병자, 1756) 정시(庭試) 

 丙科4 

고몽현(高夢賢)

  

  

 태종2(임오, 1402) 식년시(式年試) 

 同進士17 

고봉한(高鳳翰)

  

  

 고종17(경진, 1880) 증광시(增廣試) 

 丙科22 

고세창(高世昌)

 백겸(伯謙) 

  

 성종25(갑인, 1494) 별시(別試) 

 乙科4 

고승갑(高昇甲)

  

  

 정조7(계묘, 1783) 식년시(式年試) 

 丙科21 

고승안(高承顔)

  

  

 세종8(병오, 1426) 식년시(式年試) 

 丙科1 

고승헌(高丞憲)

  

  

 경종3(계묘, 1723) 식년시(式年試) 

 丙科20 

고경오(高敬吾)

 여일(汝一) 

  

 선조38(을사, 1605) 증광시(增廣試) 

 丙科11 

고형산(高荊山)

 정숙(靜叔) 

  

 성종14(계묘, 1483) 춘당대시(春塘臺試)

 丙科21 


참고사항
정기시험인 식년시는 3년에 한번씩 실시되는 시험이다.
비정기시험인 증광시는 태종의 즉위를 계기로 설행되어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되는 시험이다.
특별시험인 별시에는 별시(別試), 외방별시(外方別試), 알성시(謁聖試), 정시(庭試), 춘당대시(春塘臺試), 중시(重試), 발영시(拔英試), 등준시(登俊試), 도과(道科) 등이 있었다. 증광시와는 달리 각종 별시는 문무과에만 있었다.
별시(別試)는 예고없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지방 거주자에게는 불리하였다. 선발 인원이 제도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의 사정에 따라 달랐다.
외방별시(外方別試)는 국왕이 지방에 行幸할 때 行在所에서 실시하는 특별시험이다. 국방상의 요지인 함경도에서 실시하는 北道科, 평안도에서 실시하는 西道科, 강화도와 제주도 개성부에서 실시하는 별시가 있었다.
알성시(謁聖試)는 국왕이 봄 가을에 성균관 文廟에 참배한 후 明倫堂에서 주로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치루는 시험이다.국왕이 직접 나와 실시하는 親臨科의 하나로 단 한 번의 시험으로 합격여부가 결정되었다.
정시(庭試)는 단 1회의 제술시험으로 당락이 결정되는 시험으로 본래 정식 과거라기 보다는 권학의 의미로 시행하여 우수한 사람에게 殿試에 직접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거나 給分하던 시험이었는데 宣祖 이후에 독자적인 시험으로 승격되었다.
춘당대시(春塘臺試)는 본래 각 軍門의 무사들을 춘당대(현 창경궁)에 모아 武才를 시험보던 것이었는데 뒤에 문과에도 적용되었다.
중시(
重試)는 당하관 이하의 문관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으로 10년에 한 번씩 시행하였다. 합격자에게는 성적에 따라 4등급에서 1등급씩 올려주었다. 참하관에서 참상관으로, 당하관에서 당상관으로 승진시키는 시험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Ko San Gi - Interrobang
글쓴이 : 高 山 芝 원글보기
메모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이름에서 피해야 할 글자  (0) 2013.11.11
연려실기술  (0) 2013.10.28
김구--조선왕조실록 통합검색  (0) 2013.10.25
김구-숙종1  (0) 2013.10.25
김구-인조1  (0) 201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