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종교·사상·인물

문수사 호국영령 위령재

碧空 2011. 5. 30. 23:08

2011년 5월29일 일요일 오전11시 문수산 헬기장에서

40 여일 동안 행사를 준비 하였던

 

제1회 문수산성 희생 호국 영령 추모재가 

여러 회원님들의 보이지 않는 봉사로 500 여 명의 내방객들이 참여한 가운데 

오후 4시경 성황리에 행사를 마쳤읍니다

 

행사를 도와주신 여러분 모두 감사 합니다

 

이날 날씨가 더운 관계로 야외에서 진행된 행사는

많은 내방객 들이 한자리에서 끝까지 함께 진행 할수 없어 중간에 그늘을 찾아 

여기저기 앉아 진행 하다보니 집중력이 떨어 졌읍니다

 

내년 에는 문수사 경내에서 진행 하면

좀더 많는 사람들이 동참 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에 대하여 이해하는 기회가 될것 같읍니다

 

 

행사당일 봉행 하는 호국영령에 대한 위패 봉안식

 

영산재는 원래 사시[巳時:9-11시]에 시작하는 것이기에

 10시45분에 위패를 문수사에 모시고

봉안식을 시작 하였읍니다

 

 

독경

 

 

 

바라 춤

 

 

나비 춤

 

 

야외재단 으로 위패를 모심

 

 

 

 

행사장으로 이동 하는 위패

 

 

행사장 재단에 위패 봉안 11시

 

 

추모재 재단 전경

 

 

봉행 준비

 

 

제 1회 문수산성 희생 호국영령 추모재 개식 과

내외귀빈 소개

 

 

바라춤

 

바라춤은 일체의 모든 마장(魔障:온갖 방법으로 불도를 닦는 수행자의 노력을 방해하는것 )을 끊고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찬탄하고 힘차고 우렁찬 선이 굵은 것이 특징이며,

대개 호국영령을 위하여 봉행할때 추는 춤이다

 

훗날 이 바라춤은 속화 하여 승무[僧舞] 구고무[九鼓舞]로 발전 하게 된다

 

 

나비춤

 

한자로는 ‘접무’(蝶舞), 또는 일명 ‘작법’(作法)으로도 부른다.

 영산재 상주권공재, 수륙재, 각배재, 생전예수재 등의 의식의 중간에 삽입해서 춘다.

 

큰 고깔을 쓰고 나비처럼 긴 소매가 달린 장삼을 입고 연화지를 들고 추며,

그 모양이 나비가 나는 것과 같은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나비춤은 부처님의 정법을 상징하는 무용으로

일명 해탈무(解脫舞)라 하며 민속무(民俗舞)에도 영향을 준 춤으로 승속(僧俗)이 하나되어

예술혼이 한층 승화된 춤이다.

 

이는 자비(慈悲)의 발견 및 참는 마음의 발견, 법보(法寶)의 발견을 위하여

추는 춤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고 법열(法悅)에 도달하기 위하여 향화게(香花偈),

운심게(運心偈), 삼적의(三的依), 오공양(五供養)등과 같은 범패(梵唄)에 맞추어 춤을 추거나

호적(胡笛), 징 등의 반주나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하는 수도 있다.

 

 

 

바라춤 동영상

 

 

나비 춤 공연 동영상 모습

 

 

문수사 주지스님 성오스님의 분향

 

 

이번에 새로 모신 호국영령 위패

 

병인양요 당시 희생된 별군 최장근 김달성 오준성 그리고 문수산성내 주민

오중돌 영가와 프랑스군으로 이곳에 와서 전사한 무명에 두병사의 영가 을

145년만에 처음으로 모시고 천도를 하게 된 뜻 깊은 행사 였으며

 

아울러 6.25당시 이곳에서 순국한 모든 호국 영령 의

위패까지 모시게 되었다  

 

문수산성 알림행사 이전에 이번 행사의 목적 이기도 한 이 추모재 행사로

영원히 잊지 않고  문수사에서 이분들을 밤낮으로 위령 하게되는 계기를 만든것이

문수산성 한지킴이 로서 가장 큰 보람이 되었다

 

이러 함으로서 외로운 호국영령들과 이름없는 영혼들이

국태 민안의 길을 열어 주리라 믿는 다

 

 

성오스님과 최하경 회장의 분향 참신

 

 

 

담월 큰스님의 인사 말씀

 

 

오늘 행사를 주관 하신 단체 벽응문도회 .문수사 신도회 .

한국전통문화진흥원 회원들과 함께 행사를 마치며

 

 

한국 전통문화 진흥원 준비 위원들

 

 

문수산과 문수산성에 대한 역사문화해설 중

 

 

 

문수산 경내에서 문수사에 대한 역사문화해설 중

 

 

 

해설을 듣고 계시는 진흥원 회원들

 

 

문수사 경내에 있는 고려말 양식 3층 석탑에 대한 설명중

 

이 3층 석탑의 제자리를 찾아 주어 야 하고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을수 있도록 앞으로 많은 노력을 해야 할것 같다

 

 

문수사 경내 석탑에서 떨어져 나간 파편들에 대한 설명 

 

이조각들을 보며 문수산성 지킴이가 된 사연을  이야기 하였다

 

 

이북에 60-70년대 선전 마을과  판문군 임한리  실체를

전날 야간 산행에서 확인 한 생생한 이야기를 전하며

 

지금은 흔적 없이 사라진

조강포[祖江浦]에 대한 해설 을 하였읍니다

 

 

강화도 역사와 강화해협 염하강에 대한 해설

 

 

문수산성과 한강  임진강의 합수지점과 조강 조강포에 대한

역사문화해설을 겸한 이번 행사 전과정을

 

KBS에서 취재 하여 6월중 특집으로 방영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김포문수산성/한지킴이

근곡[根穀]  김   홍  엽

 

근곡풍수지리연구원/근곡전통예절연구원/원장

[재] ACEF 한국전통문화진흥원/자문위원/교수

문화재청한문화재 한지킴이/문수산성한지킴이

제1회 문수산성 희생 호국 영령추모재 준비팀장

'종교·사상·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팔만대장경 전각  (0) 2011.06.26
인도 / 부처님  (0) 2011.06.07
[스크랩] 잃어버린 소를 찾다  (0) 2011.05.16
[인도] 데비 자가담바 사원  (0) 2011.03.08
명상/참선  (0) 201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