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도자기 전 ♠ 陶磁器 鑑賞 ♠ 1.석봉 도자기 미술관 작품 석봉도자기 미술관은 도자기 전문 미술관으로 과거의 도자기보다는 현대 그리고 미래지향 미술관 중심으로 국내외 도예가 및 대학 교수들의 우수한 작품을 수집 전시하고 있다. <xxxxxxxxxwbr></xxxxxxxxxwbr> <xxxxxxxxxwbr></xxxxxxxxxwbr>.. 문화·예술·영상 2014.03.10
일등석 사람들은 펜을 빌지지 않는다 세상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비행기의 일등석입니다. 퍼스트클래스의 승객들만의 행동과 습관을 한 스튜어디스가 발견하여 책을 펴냈습니다. 1, 일등석 사람들은 펜을 빌리지 않는다 항상 메모하는 습관이 있고 모두 자신만의 필기구를 지니고 다녔습니다. 메모는 .. 문화·예술·영상 2014.03.07
유교를 다시 생각 하자 !! 1. 우리 사회는 유교를 버리고 있다 인문학을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 서점에서는 인문학 책이 많이 팔리고 있고, 인문학 강좌에 수강생들이 몰려들고 있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 불고 있는 인문학 열풍의 현장을 가보면 한국 유학에 대한 관심이 그리 높지 않음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 문화·예술·영상 2014.02.28
사진전 수상작 /소니 2014년 소니 세계 사진전 수상작: The 2014 Sony World Photography Awards The Sony World Photography Awards, an annual competition hosted by the World Photography Organisation, has recently announced its shortlist of winners. This year's contest attracted more than 140,000 entries from 166 countries. The organizers have been kind enough to share some of their shortlist.. 문화·예술·영상 2014.02.20
소치오림픽 경기장 모습 소치 올림픽 경기장 2014 Sochi 동계올림픽 2월7일부터 러서아의 흑해 휴양도시 소치에서 2014 동계오림픽이 열립니다. 테러의 위협속에서 축전이 열리는 소치란 어떤곳일까요? 흑해연안의 천혜의 아름다운 휴양지입니다. 자동차로 1시간만 가면 3,000미터가 넘는 카프가스산맥으로 둘러싸여 .. 문화·예술·영상 2014.02.05
한류의 위기와 기회/공감 100% [삶의 향기] 한류의 위기와 기회 [중앙일보] 입력 2014.01.07 임마뉴엘(이만열) 경희대학교 교수 유튜브에서 싸이의 ‘강남 스타일’ 동영상이 십억 번 이상 클릭된 것에 한국 사람들의 자부심이 얼마나 대단할지 충분히 짐작이 간다. 대단한 역동성과 창의성이다. 하지만 싸이의 최근 비디오.. 문화·예술·영상 2014.01.07
인문학 강의 /권영민 교수 “인문학은 모든 삶의 근본…문화융성의 근간”권영민 인문학대중화위원회 위원장 ‘2013 인문주간’ ‘국제인문·문화축제’ 준비 분주 권영민 인문학대중화위원회 위원장.“인문학이 삶의 현실과는 거리가 먼 학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알고 보면 인간이 인간다움을 추구하고 인간.. 문화·예술·영상 2013.12.12
사적탐방 史跡 探訪 史跡 32호 독립문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 문화·예술·영상 2013.12.10
오페라 와 뮤지컬 오페라와 뮤지컬 오페라와 뮤지컬은 비슷한 것 같지만 둘은 내면과 근원이 전혀 다르다.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오페라는 음악이 클래식인데 반해 뮤지컬은 대중음악이다. 그러므로 고전음악의 분류속에는 뮤지컬이란 것은 없다. 2. 오페라는 클래식음악 즉 육성으로 .. 문화·예술·영상 2013.11.29
한자어의 유래 漢字는 누가 만들었을까? 흔히 漢字는 古代 皇帝 때의 사관(史官)이었다는 창힐(蒼頡-푸를 창, 곧은목 힐)이 만들었다고 알고 있지만 中國 古代時代에 ‘皇帝’라는 인물 자체가 傳說的인데다 蒼頡은 눈동자가 넷이나 있었다고 할 정도로 비현실적인 인물이다. 따라서 漢字는 ‘.. 문화·예술·영상 201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