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1991 | 1992 | ||
1. 15 | 부안지점 사옥 준공 | 1. 1 | 한일병원 지정진료병원 지정 |
1. 25 | 자체감사 우수기관 선정 표창 | 원자력 관련정보 제공용 ‘123전화’ 운용 개시 | |
1. 27 | 여수화력 2호기 다시 가동 | 1. 17 | ‘배전선로 정비의 날’ 전국결의대회 |
1. 31 | 강릉수력 2호기(4만1,000㎾) 준공 | 1. 18 | 영광원자력 3호기 원자로 설치 작업 완료 |
(준공식 6. 25) | 1. 22 | 한전, 미국 애리조나 전력회사와 기술협력 | |
2. 2 | 부산화력 3호기 재가동 | 협정 체결 | |
2. 25 | 중국 핵동력운행연구소(RINPO)와 원자로 검 | 1. 23 | 한전정보네트워크(주) 설립 |
사기술용역계약 체결(한국원자력기술 해외 | 이강연(李康延), 한전정보네트워크(주) 초대 | ||
수출 1호) | 사장에 취임 | ||
한국 과기처와 일본 통산성, ‘원자력안전에 | 1. 27 | 전력산업 기술기준 2단계 개발사업 착수 | |
관한 협력각서’ 교환 | 1. 31 | 조중진(趙重鎭), 한전산업(주) 제2대 사장에 | |
3. 8 | 한국ㆍ프랑스, 가압경수로(PWR)안전성 실 | 취임 | |
증 시험 공동연구 협정 체결(KAERI) | 남제주 내연 4호기(1만㎾) 준공 | ||
3. 15 | 미주자원개발주식회사(美洲資源開發株式會 | (준공식 92. 4. 17) | |
社) 설립 | 1. - | 광천(廣川)소수력(450㎾) 준공 | |
3. 20 | 월성원자력 2호기 터빈발전기 공급계약 체결 | 2. 1 | 전기요금 평균 6% 인상 |
3. 29 | 신형원자로연구센터 개소(한국과학기술원) | 장기옥(張基玉), 한전기공(주) 제4대 사장에 | |
4. 1 | 문영일(文英逸), 한전 부사장 취임 | 취임 | |
4. 3 | 원자력연수원 준공식 개최 | 이동호(李東昊), 한전 부사장 취임 | |
4. 7 | 구리지점 사옥 준공 | 2. 13 | 22.9㎸-y CNCV 케이블 차수형으로 변경 |
4. 13 |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준공식 개최 | 2. 20 | 월성원자력 3, 4호기 주설비 시공계약 체결 |
4. 14 | 고리원자력 2호기 한주기 무고장 운전 달성 | 2. 21 | 노태우 대통령 서인천복합 순시 |
(387일) | 2. 24 | 제1회 전기에너지사진공모전 첫 사내 전시회 | |
4. 16 | 한국ㆍ소련, 민간원자력 협력각서 조인 | 개최 | |
4. 25 | 강릉수력 홍보관 개관 | 3. 7 | 태안화력 1, 2호기(50만㎾×2) 착공 |
4. 27 | 울산화력 3호기 재가동 | 3. 9 | 영광원자력 3, 4호기 안전제 개최 |
4. - | 주암수력 1, 2호기(1만1,250㎾×2) 준공 | 3. 20 | 이재태(李載泰), 한전 감사 취임 |
5. 1 | 일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 | 3. 25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발족 |
(10만㎾×4), 스팀터빈 1호기(20만㎾) 착공 | (초대 이시장 김선창) | ||
5. 3 | 한국 최대 Polar Crane 국산화 성공 | 3. - | 345㎸ OF 저손실 케이블 1,600㎟ 국산 개발 |
5. 11 | 무주양수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금성전선) | |
5. 22 | 부천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호기(10만㎾ | 4. 10 | 제1회 전기에너지 사진공모전 시청앞 지하도 |
×3), 스팀터빈(15만㎾) 착공 | 에서 전시회 개최 | ||
5. 30 | 부천 및 일산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현판식 개최 | |
6. 1 | 전기요금 평균 4.9% 인상 | 4. 12 | 성주지점 사옥 준공 |
6. 3 | 제7차 한ㆍ불 원자력공동조정위원회 개최 | 4. 17 | 남제주내연발전소 준공 |
무주지점 사옥 준공 | 4. 21 | 한성종합산업(주), 서소문 복합건물 신축 | |
6. 7 | 제227차 원자력위원회 개최(원자력정책지표 | 기공 | |
설정, 원자력 제2연구소 건설후보지 변경, | 4. - | 영월소수력(2,800㎾) 준공 | |
방사성폐기물 부지확보 방안 심의) | 5. 20 | 송전전압격상추진반 발족 | |
6. 19 | 프로젝트관리기술회 창립 세미나 개최 | 5. 27 | 울진원자력 3, 4호기(100만㎾×2) 기공식 |
6. 22 | 영광원자력 주변 주민 역학조사 결과 발표회 | 개최 | |
개최 | 5. 29 | 화천수력 2호기 성능개선공사 준공 | |
6. 28 | 박동진(朴東鎭), 제5대 이사장 취임 | 5. 30 | 345㎸ 서인천~양주 송전선로 준공 |
7. 13 | 횡성지점 사옥 준공 | (90. 1. 16 착공, 48.4km, 철탑 142기) | |
7. 22 | 울진원자력 3, 4호기 종합설계용역 및 주기 | 5. 31 | 345㎸ 의정부~양주 송전선로 준공 |
기 공급계약 체결 | (90. 5. 30 착공, 31.6km, 철탑 103기) | ||
울진원자력 3, 4호기 원전연료 성형가공 공 | 6. 1 | 수안보 제2생활연수원 개원식 개최 | |
급계약 체결 | 6. 16 | 원전 주변지역 특산물 판매 | |
7. 23 | 원자력연구소, 한국중공업과 울진원자력 3, | 동양 최대높이 한강횡단 철탑 준공(345㎸ 송 | |
4호기 설계용역 계약 체결 | 전선 철탑 195m 행주대교 하류 14km 지점) | ||
7. 25 | ’91 장기전력수급계획(안) 공청회 개최 | 강진지점 사옥 준공 | |
8. 1 | 전기소비절약 총 점검의 날 시행 | 6. 26 | ‘한국원자력 친우회’ 창립, 초대 차종희 회장 |
8. 6 | 울진원자력 내 154㎸ 변전소 설치 | 취임 | |
8. 13 | 제주~육지 간 해저케이블 설치사업 낙찰 | 원자력연구개발 중장기계획 확정, 2001년까 | |
8. 20 | 최대수요전력 1,912만4,000㎾ 기록 | 지 신형 원자로, 고속증식로 등 34개 핵심기 | |
(화요일 15:00) | 술 개발키로 의결(원자력위원회) | ||
8. 21 | MIT 석좌교수제도 개설 | 6. 30 | 분당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 5호기 |
8. 27 | 정부투자기관 노동조합협의회, 을지로 사옥 | (7만5,000㎾×5) 준공 (준공식 93. 10. 19) | |
서 현판식 거행 | 평택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8만㎾ | ||
8. 30 | 울진원자력 3, 4호기 주설비 공사 계약 체결 | ×4) 준공 (준공식 94. 9. 30) | |
8. 31 | 울진원자력 3, 4호기 토건공사 계약 체결 | 서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2단계 1, 2, 3, 4, 5 | |
9. 17 | 대전EXPO 전기에너지관 기공식 | , 6, 7, 8호기(15만㎾×8) 준공 | |
9. 19 | 평택복합화력 가스터빈 주기기 공급계약 체 | (준공식 92. 12. 17) | |
결 | 안양복합화력 가스터빈 4단계 1, 2, 3, 4호 | ||
9. 20 | 평택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8만㎾ | 기(7만5,000㎾×4) 준공(준공식 93. 12. 5) | |
×4), 스팀터빈(16만㎾) 착공 | 7. 1 | 현금차관 1억5,000만 달러 영국 ABN- | |
태안화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AMRO와 계약 | ||
9. 25 | 원자력환경관리센터(소장 신재인) 발족 | 양키본드 3억 달러 미국서 발행 | |
9. 28 | 영광원자력 3호기용 원자로, 소재에서 완제 | 7. 10 | 수도권 초고압전력계통 환상망 구성 및 양주 |
품까지 100%국산화 성공 | 전력소 준공 | ||
9. 30 | 심야수요개발 100만㎾ 돌파 | 고리원자력 2발전소와 일본 센다이 발전소간 | |
10. 4 | 방사성폐기물 부지 자원 신청 공모:7개 지역 |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10. 8 | 전력그룹기술대상 시상 | 7. 13 | 노태우 대통령, 본사 중앙급전소 순시 |
10. 9 | 월성원자력 2호기(70만㎾) 기초굴착공사 착 | 7. 16 | 원전운전원 근무제도 6조 3교대로 개선 |
공 | 7. 23 | 최대수요전력 2,000만㎾대 돌파 | |
프라마톰형 원자력발전소 소유자그룹 | 7. 25 | 평택복합화력 스팀터빈 주기기 공급계약 체 | |
(FROG) 가입 | 결 | ||
10. 10 | 제주~육지 간 전력계통 연계사업 주기기 공 | 7. 27 | 월성원자력 주변 주민에 대한 건강진단 및 |
급계약 체결 | 역학조사 실시 | ||
울진원자력 1, 2호기 ‘올해의 발전소상’ | 7. 28 | 수원전력관리처 사옥 준공 | |
수상(Power Engineering Int ’l지) | 최대수요전력 2,043만8,000㎾ 기록 | ||
10. 16 | 남양주지점 신축사옥 준공 | (화요일 15:00) | |
10. 18 | 장성지점 사옥 준공 | 7. 30 | 한국에너지공학회 창립기념 학술강연회 개 |
10. 26 | ’91 장기전력수급계획(1991∼2006) 확정 | 최 | |
10. 28 | 제천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2. 19) | 영광원자력문화진흥회 창립 | |
11. 2 | 경기지사 사옥 준공(준공식 92. 3. 7) | 창녕지점 사옥 준공 | |
11. 4 | 서울지역본부 현판식 거행 | 7. 31 | 345㎸ 신강진변전소 준공 |
11. 6 | 중앙전산이용기술개발경진대회 대통령상 수 | 7. - | 임하수력(2만5,000㎾×2) 준공 |
상 | 8. 1 | 고리원자력 1발전소와 미국 케와니 | |
11. 12 | 345㎸ 인천화력∼서인천화력 송전선로 준공 | (Kewaunee) 발전소간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90. 10. 26 착공, 3.1km, 철탑 11기) | 8. 3 | ’91경영평가 우수기관 선정 | |
11. 16 | 북제주화력 사옥 준공 | 8. 12 | 순창지점 사옥 준공 |
남제주내연 3호기(1만㎾) 준공 | 8. 17 | 345㎸ 신광주∼신강진 송전선로 준공 | |
(준공식 92. 4. 17) | (90. 6. 5 착공, 69.0km, 철탑 232기) | ||
11. 22 | 월성원자력 3, 4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8. 27 | 제231차 원자력위원회, 월성원자력 2호기 |
11. 27 | 한국ㆍ영국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 건설허가 심의 의결, ’93방사성폐기물 관리 | |
협력 협정 체결 | 기금 운용계획 확정 | ||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후보지로 안면도 등 | 8. 28 | 신안군 초란도∼당사도 송전선로 준공 | |
6개 지역 발표(원자력환경관리센터) | 월성원자력 2호기 건설허가 취득 | ||
11. 28 | 고령지점 사옥 준공 | 9. 8 | 영광원자력 4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11. 30 | 진천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2. 19) | 9. 16 | 무주양수 상부댐 정초식 개최 |
12. 5 | 울산, 영남, 여수, 부산화력 등 8기 장기휴지 | 분당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18만5,000㎾) | |
발전소 종합 재가동식 | 준공(준공식 93. 10. 19) | ||
12. 10 | 한국ㆍ일본, 원자력안전 약정 체결 | 9. 18 | 월성원자력 3, 4호기 설계종합용역 및 주기 |
12. 11 | 문경지점 사옥 준공 | 기 공급계약 체결 | |
12. 17 | 제229차 원자력위원회 개최(중장기 원자력 | 9. 22 | 한성종합산업(주), 흥인동 복합건물 기공식 |
발전소 건설계획 보고, 신규원자력 월성 3, 4 | 개최 | ||
호기 건설 추진계획 의결) | 9. 25 | 월성원자력 2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
12. 18 | 영광원자력 3호기(100만㎾) 원자로 설치작업 | 10. 9 | 전사 MV서클 발표대회 개최 |
착수 | 10. 16 | 태안화력 3, 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점촌지점 신축사옥 준공 | 10. 27 | 함안지점 사옥 준공 | |
12. 31 | 북제주 가스터빈 2호기(5만5,000㎾) 울산복 | 10. 30 | 한국전기연구소, 합성시험연구동 준공 |
합서 이설 준공 | 11. 1 | 한국전력보수주식회사, 한전기공주식회사 | |
울산복합 스팀터빈 용량 감소(2만5,000㎾) | (韓電機工株式會社)로 명칭 변경 | ||
울진원자력 2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
(333일) | |||
11. 2 | 중국 광동원전에 품질보증 교육 | ||
11. 12 | 월성원자력 3, 4호기 기공식 개최 | ||
11. 14 | 서인천복합화력 1, 2단계 스팀터빈 1, 2, 3, 4 | ||
, 5, 6, 7, 8호기(7만5,000㎾×8) 준공 | |||
(준공식 92. 12. 17) | |||
11. 21 | ‘95810계획’ 수행 다짐 연찬회 개최 | ||
11. 26 | 산청양수 1, 2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
12. 1 | 국내 최초 345㎸ 지중 송전선로 착공 | ||
(미금∼성동) | |||
원전 주변지역 농수산물 구매 | |||
12. 4 | 제1회 사장배 전사 바둑대회 개최 | ||
홍천지점 사옥 준공 | |||
12. 8 | 북제주화력 1호기 408일 무고장 무정지 연속 | ||
운전 기록 | |||
12. 9 | 속초생활연수원 온천수 통수식 개최 | ||
12. 21 | 고리원자력 3호기 한주기 무고장 운전 달성 | ||
(307일) | |||
12. 24 | 달성지점 사옥 준공 | ||
12. 30 | 미국 W.H와 원전연료 설계,제조기술 전수계 | ||
약 체결 | |||
12. 31 | 금산지점 사옥 준공 | ||
1993 | 1994 | ||
1. 19 | 제3차 한ㆍ일 원자력협의회 개최 | 1. 1 | 개정 전기공급규정 시행 |
1. 28 | 1억 스위스 프랑화표시 채권 스위스서 발행 | 1. 5 | 태안화력 3, 4호기(50만㎾×2) 착공 |
호도태양광발전소 준공 | (착공식 1. 25) | ||
1. 29 | 한국환경기술개발원 개원 | 1. 7 | 신기조(辛基祚), 전우회(電友會) 제2대 회장 |
(초대 노재식 원장 취임) | 에 취임 | ||
2. 5 | 위도내연 1, 2, 3호기(1,350㎾) 준공 | 1. 10 | 수안보생활관 전기홍보관 개관 |
순천지점 사옥 준공 | 1. - | 왕십리내연(3만6,900㎾) 폐지 | |
2. 11 | 울진원자력 1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1. - | 부평DG(3만5,000㎾) 폐지 |
(310일) | 1. - | 온수 가스터빈(3만2,600㎾) 폐지 | |
2. 18 | 고리원자력 제4 방사물 저장고 준공 | 1. - | 345㎸ 보령~신시흥 송전선로 준공 |
2. 22 | 동력자원부를 상공자원부로 변경 | (92. 1. 4 착공, 142.4km, 철탑 414기) | |
2. 23 | 원전 주변지역 이동진료팀 발대식 거행 | 2. 4 | 한전, 감사원 선정 우수감사기관 표창 수상 |
2. 28 | 일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 | 2. 8 | 하동화력 3, 4호기(50만㎾×2) 착공 |
(10만㎾×4) 준공(준공식 94. 2. 22) | 2. 18 | 각 본부 및 사업단별 개혁과제 발표회 | |
부천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호기(10만㎾ | 2. 26 | 월성원자력 3, 4호기 건설허가 취득 | |
×3) 준공(준공식 94. 2. 25) | 3. 2 | 고객봉사의 달 선포식 개최 | |
3. 12 | 원자력발전소 종합폐수처리장 가동 | 3. 12 | 전기품질 향상 중장기 실천계획 수립 |
(고리, 월성, 영광, 울진원자력 지역) | 3. 17 | 월성원자력 3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
3. 13 | 거제지점 사옥 준공 | 3. 21 | 고객희망일 송전제 실시 |
3. 29 | 한전, 제32기 주주총회(이종훈/李宗勳사장 | 3. 22 | 서울전력구 건설사무소 현판식 |
선임) 개최 | 3. 23 | 이유형(李有珩), 한전 감사 취임 | |
4. 1 | 이종훈(李宗勳), 한전 제11대 사장에 취임 | 원자력 이동전시관 개관 | |
4. 10 | 화천수력 1호기 성능 개선공사 준공 | 3. 28 | 일산복합화력 증설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한전, 새한전창달위원회 발족 | 3. 30 | 당진지점 사옥 준공 | |
4. 13 | 본부 및 사업단 직제 변경 | 3. 31 | 삼천포화력 4호기(56만㎾) 준공 |
조관기(趙官基), 한전 부사장 취임 | (준공식 5. 19) | ||
김영문(金永文), 한전 부사장 취임 | 삼천포화력 5, 6호기(50만㎾×2) 착공 | ||
4. 14 | 서석천(徐錫天), 한전기공 5대 사장에 취임 | 4. 11 | 765㎸추진부 발족 |
이호림(李虎林), 한전정보네트워크(주) 제 2 | 4. 12 | 23㎸ 케이블 접속재 국내개발 사용 | |
대 사장에 취임 | 4. 14 | 월성원자력 2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
장기옥(張基玉), 한국전력기술(주) 제10대 | 4. 15 | 345㎸ 신성남변전소 준공 | |
사장에 취임 | 4. 19 | 중소기업 연구개발비 50억원 지원 | |
이창섭(李昌燮), 한국원전연료(주) 제6대 사 | 영국 원자력전력사와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장에 취임 | 4. 20 | 4직급 PC자격제 시험 실시 | |
양키본드 3억5,000만 달러 미국서 발행 | 보령화력 6호기(50만㎾) 준공 | ||
4. 15 | 이종훈 한전사장, 대한전기협회 제18대 회장 | (준공식 94. 6. 22) | |
에 선임 | 4. 23 | 모스크바 국립합창단 공연 | |
4. 27 | 최태일(崔泰鎰), 전국전력노조 11대 위원장 | 4. 30 | 전국 아마 장기왕 선발대회 개최 |
에 재선 | 5. 2 | 차세대원자로 노형으로 개량형 경수로 설정 | |
4. 28 | 이종훈 한전사장, 대한배구협회 제28대 회장 | 5. 11 | 강동지점 모델사업장 현판식 거행 |
에 선임 | 전기품질위원회 구성, 운영 | ||
4. 30 | 삼천포화력 3호기(56만㎾)준공(준공식 5.19) | 5. 13 | 동해화력 건설사무소 현판식 거행 |
보령화력 3호기(50만㎾) 준공 | 5. 15 | 청평양수 2호기 성능 개선공사 준공 | |
(준공식 94. 6. 22) | 5. 16 | 칠곡지점 사옥 준공 | |
덕송(德訟)소수력(1,000㎾×2) 준공 | 5. 24 | 22.9㎸ 대용량 배전 시행 품의 | |
5. 10 | 문희성(文熙晟), 한전 제6대 이사장 취임 | 5. 25 | 중국 화북전력집단 및 핵공업 총공사와 기술 |
5. 11 | 원전주변 지역주민 이동진료 실시 | 협력 협정 체결 | |
5. 13 | 울진원자력 1발전소 프랑스 그래블린원자력 | 5. 26 | 중국 동북전력집단 기술협력 협정 체결 |
과 기술협력 협정 체결 | 5. 27 | 천안지점 모델사업장 현판식 거행 | |
5. 21 | 한전기술주식회사 정보센터 및 전력기술 개 | 5. 28 | 중국 연길열병합발전소 합의의향서 서명 |
발연구소 기공 | 5. - | 대아소수력 증설(500㎾×2) 준공 | |
5. 24 | 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 | 6. 7 | 하동화력 3, 4호기 설계기술용역 한전기술과 |
력 기구(NEA)에 가입 | 계약 체결 | ||
5. 26 | 해외사업추진팀 발족 | 6. 10 | 중국 광동원전 사장 내방 |
5. 28 | 청평수력 1호기 성능 개선공사 준공 | 무주양수 하부댐 담수식 개최 | |
5. - | 봉정(鳳亭)소수력(1,920㎾) 준공 | 6. 16 | 동경전력 구매사절단 내방 |
6. 8 | 동해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6. 14) | 6. 17 | 정부경영평가위원회에서 경영평가 최우수기 |
6. 29 | 보령화력 4호기(50만㎾) 준공 | 관으로 선정 | |
(준공식 94. 6. 22) | 6. 21 | 북제주 가스터빈 3호기(5만5,000㎾) 부평 | |
6. - | 대아(大雅)소수력(500㎾ ×4) 준공 | 가스터빈에서 이설 준공 | |
7. 8 | 고효율기기 보급지원 제도(‘고’마크) 시행 | 6. 24 | 일산복합화력 증설 가스터빈 5, 6호기(10만 |
7. 16 | 영광원자력 5, 6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2), 스팀터빈 2호기 (10만㎾) 착공 | |
제232차 원자력위원회, 울진원자력 3, 4호 | 6. 27 | 당진화력 1, 2호기 토건공사 계약 체결 | |
기 건설 허가 및 ’94 방사성폐기물 관리기금 | 6. 28 | 영광원자력 공개 토론회 개최 | |
운영계획(안) 의결 | 6. 29 | 원전주변지역 농산물 1억4천만원 구입 | |
7. 21 | 울진원자력 3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6. 30 | (주)신세기통신에 최초 출자 |
7. 23 |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중소기업체 대표 | 평택복합화력 스팀터빈(16만㎾) 준공 | |
초청 간담회 | (준공식 9. 30) | ||
7. 28 | 최대용(崔大鎔), 한전 부사장 취임 | 7. 1 | 필리핀 마닐라전력팀(MERA2CO)과 기술협 |
7. 30 | 대전엑스포 전기에너지관 개관 | 력 협정 체결 | |
8. 10 | KIS가입자 3만명 돌파 | 7. 5 | KBS열린음악회 한전서 개최 |
8. 12 | 월성원자력 3, 4호기(70만㎾×2) 착공 | 7. 8 | 일산복합화력 30만㎾ 증설공사 착공식 개최 |
9. 9 | 이종훈 한전사장, 원자력산업회의 제13대 | 7. 14 | 한성복합빌딩 준공(구 한일병원 자리) |
회장에 선임 | 7. 20 | 부실공사 추방 결의대회 개최 | |
9. 10 | 공기업 최초 중소기업 기술지원사업 공표 | 7. 21 | 한전, ’93년도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최우수 |
9. 16 | 분당복합화력 스팀터빈(18만5,000㎾) 준공 | 기관 표창 수상 | |
(준공식 10. 19) | 7. 22 | 국내 최초 석탄가스화 시험 운전 | |
9. 17 | 765㎸ 시험선로 준공식 개최 | 월성원자력 4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
’93년 장기전력수급계획(안) 토론회 개최 | 최대수요전력 2,669만6,000㎾ 기록 | ||
9. 21 | 강화군 4개도서 전화사업 완료 | (금요일 15:00) | |
9. 22 | 울진원자력, 경향전기에너지 대상 수상 | 7. - | 포천소수력 증설(480㎾) 준공 |
9. 24 | 이동변압기차 이용 무정전공법 시행 | 8. 5 | 사무라이 본드 100억 엔 일본서 발행 |
9. 27 | 안양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15만㎾) 준공 | 중소기업 기술지원 시범기업 선정 | |
(준공식 10. 25) | 8. 17 | 수원종합 유선방송 최초 시험 방송 | |
9. 28 | 울진지점 사옥 준공 | 8. 18 | 765㎸ 환경영향평가 공청회 |
9. 30 | 서울화력 4호기 국산화 보일러 제어설비 최 | 당진화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초 적용 | 8. 20 | 220V 승압공사 1000만호 돌파 | |
10. 6 | 엔화 표시 유로본드 375억 엔 영국서 발행 | 8. 26 | 한림가스터빈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10. 7 | 울진원자력 2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8. - | 흑산도 내연DG(500㎾) 준공 |
(296일) | 8. - | 한림내연(Rustonㆍ1만㎾) 폐지 | |
10. 11 | 하동화력 1, 2호기(50만㎾×2) 착공 | 9. 6 | R&D개선 실무팀 발족 |
10. 18 | ’93 차세대원자로 개발 국제심포지엄 개최 | 9. 8 | 한전프라자 개관 |
(IAEA와 공동) |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2가 5번지) | ||
10. 26 | 하동화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9. 9 | 영광원자력 3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
10. 27 | 기술연구원 신축사옥 준공 | 9. 16 | 울진원자력 5, 6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10. 29 | 서울화력 연료전환설비 준공 | 9. 22 | 중국 광동원전 기술진, 울진원자력에서 원전 |
11. 1 | 울진원자력 4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1차 계통설비 핵심정비 기술 교육 | |
한전, 공기업 최초 외환 딜링제도 시행 | 9. 28 | 울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호기(10만㎾×2) | |
11. 2 | 배구 전용 실내체육관 준공 | 착공 | |
11. 5 | 영광원자력 1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9. 29 | 전우회, 전기발상지 기념 표지석(標識石) |
(395일) | 경복궁서 제막 | ||
영암지점 사옥 준공 | 9. 30 | 산청양수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11. 8 | 대전엑스포 전기에너지관 폐관 | 10. 1 | 한림복합화력 가스터빈 1호기(3만5,000㎾) |
(334만명 관람) | 착공 | ||
11. 11 | GIS 배전관리시스템 중앙전산이용기술 개발 | 10. 8 | 분당복합화력 증설 가스터빈 6, 7, 8호기 |
대회 금상 수상 | (7만5,000㎾×3), 스팀터빈 2호기(11만 5,000 | ||
11. 13 | 2006년까지 원전 14기(설비용량 1,280만㎾) | ㎾) 착공 | |
를 추가 건설키로 하는 ’93 장기전력수급 계 | 10. 10 | 중국 화북전력집단과 제1차 정기회의 개최 | |
획(안) 의결 | 10. 12 | 화천수력 준공 50주년 기념식 개최 | |
11. 17 | ’93년 장기전력수급계획(’932006) 확정 | 10. 13 | 영광원자력 3호기 초임계 도달 |
11. 23 | 전국전력노동조합 3색운동 선포식 | 10. 20 | 한림복합화력 가스터빈 1호기(3만5,000㎾) |
11. 30 | 부천복합화력 스팀터빈(15만㎾) 준공 | 착공 | |
(준공식 94. 2. 25) | 10. 21 | 북한 원전 건설을 위한 북ㆍ미 기본합의문 | |
일산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20만㎾) 준공 | 공식 서명 | ||
(준공식 94. 2. 22) | 10. 25 | 속초생활연수원 신관 증축 준공식 개최 | |
12. 1 | 서인천복합화력, 미국 EPI지의 ‘93년도 발전 | 10. 27 | 한전 주식, 뉴욕증권거래소에 3억 달러 첫 |
소상’ 수상 | 상장 | ||
글로벌 본드 13억5,000만 달러 미국서 발행 | 분당복합화력 증설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북제주 가스터빈 3호기(5만5,000㎾) 부평 가 | 10. 30 | 영광원자력 3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스터빈서 이설 착공 | 10. 31 | 서인천복합화력 3, 4단계 주기기 공급계약 | |
12. 3 | 정읍지점 사옥 준공 | 체결 | |
12. 13 | 월성원자력 2, 3, 4호기 초기 장전용 중수 공 | 한ㆍ중간의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 | |
급계약 체결 | 력 협정 체결 | ||
12. 16 | 조셉 에스트라다 필리핀 부통령, 한전 내방 | 11. 1 | 한일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 개설 |
최대수요전력 2,211만2,000㎾ 기록 | 서인천복합화력 3단계 착공 | ||
(목요일 19:00) | 서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3단계 9, 10, 11, | ||
저손실형 주상변압기 개발 사용 | 12호기(15만㎾×4) 착공 | ||
12. 20 | 보령화력 5호기(50만㎾) 준공 | 11. 4 | 울산화력 가스터빈 증설사업 주민 설명회 |
(준공식 94. 6. 22) | 개최 | ||
12. 21 | 중국 광동원전과 운영ㆍ정비 기술지원 용역 | 11. 5 | 345㎸ 무주분기 송전선로 준공 |
계약 체결 | (93. 8. 19 착공, 22.5km, 철탑 58기) | ||
중국 광동원전과 울진원자력 1발전소간 기술 | 11. 18 | 울진원자력 1발전소, 벨기에 티앙원자력과 | |
협력 협정 체결 |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12. 23 | 345㎸ 경산변전소 준공 | 11. 19 | AECL과 제3국 진출 위한 기술 협력 협정 체 |
12. 29 | 삼천포화력 5, 6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결 | |
월성원자력 1호기 93년 이용률 세계 1위 달 | 11. 21 | 전국전력노동조합 창립 48주년 기념 사진전 | |
성(100.8%) | 개최 | ||
12. 30 | 1차 케이블TV 전송망 사업자 지정 | 11. 24 | 전환사채 1,000억원 발행 |
(54개 방송 구역) | 11. 25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확정(239억원) | |
12. 31 | 보령지점 사옥 준공 | 11. 29 | 중ㆍ단기 전력수급 안정대책(1995∼2000) |
확정 | |||
12. 2 | 남강수력(1만2,600㎾) 폐소식 개최 | ||
12. 5 | 동해화력 1호기, SK건설과 토건공사 시공계 | ||
약 | |||
12. 10 | 영동화력, 배연탈황 기술개발 Pilot Plant | ||
준공식 개최 | |||
12. 15 | 발전소 주변지역 법률 개정안 발효 | ||
12. 16 | 양양양수, 환경영향평가 공개 토론회 개최 | ||
12. 17 | 하동화력 3, 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동해화력 1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12. 22 | 인제지점 사옥 준공 | ||
12. 23 | 동해화력, 쌍용양회와 석탄회 공급계약 체결 | ||
12. 26 | 345㎸ 서대구∼선산 송전선로 준공 | ||
(93. 8. 5 착공, 34.7km, 철탑 96기) | |||
12. 29 | 울산 제2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12. 30 | 영동화력 2호기 배연탈황 설비공사 계약 체 | ||
결 | |||
12. 31 | 영광원자력 1호기 94년 이용률 세계 1위 달 | ||
성(102%) | |||
4개 원전지역 환경방사선 감시 온라인시스템 | |||
개통 | |||
12. - | 연천지점 사옥 준공 | ||
1995 | 1996 | ||
1. 1 | 해외사무소 고속정보유통 네트워크 구축 | 1. 1 | 영광원자력 4호기(100만㎾) 준공 |
배전공사 공종별 기준단가제도 시행 | 한전, 국제전기사업자협회(UNIPEDE) 가입 | ||
1. 4 | 서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4단계 13, 14, | 1. 5 | 환경관리처 발족 등 직제규정 일부 개정 |
15, 16호기(15만㎾×4), 스팀터빈 3단계 9, | KEDO한전 사업전 용역(PPS) 계약 체결 | ||
10, 11, 12호기(15만㎾×4) 착공 | 1. 10 | 사무라이본드 100억 엔 일본서 발행 | |
1. 10 | 필리핀 에미타발전소 운영계약 체결 | 1. 18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 직원 인수 |
1. 13 | 기술연구원 개혁방안 최종 용역 보고회 개최 | 1. 23 | 22.9㎸ 난연성 전력케이블(FR CNCO-W) 개 |
1. 16 | 호주자원개발(주) 설립 | 발 착수 | |
1. 17 | 박만윤(朴萬潤), 한전산업(주) 제3대 사장에 | 1. 26 | 보령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취임 | 중국 진산원전 자문용역 계약 체결 | ||
1. 24 | 765㎸건설처 발족 | 1. 29 | 배전용 폴리머 피뢰기(18W 5.0kA) 개발 착수 |
1. 27 | 발전설비 운전원 양성교육 첫 수료(105명) | 1. 30 | 영광군, 영광원자력 5, 6호기 건축허가 취소 |
월성원자력 1발전소, 캐나다 Gentilly-2 원전 | 이중통화 사무라이 본드 210억 엔 일본서 발 | ||
과 기술협력협정 체결 | 행 | ||
1. 28 | 하동화력 3, 4호기 토건공사 계약 체결 | 2. 1 | 품질경영 시범사업소 운영 |
2. 6 | 중국핵공업 총공사와 제1차 정기회의 개최 | 2. 2 | 한성, 한전산업개발(주)로 사명 변경 |
2. 8 | 하동화력 3호기(50만㎾) 착공 | 2. 6 | 중국 북경사무소 개소식 개최 |
동해화력 1호기(20만㎾) 착공 | 기장지점 사옥 준공 | ||
발전기자재 국산개발지원 설명회 | 2. 8 | 사업소 품질경영상 제도 운영 | |
2. 9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 운영사업 수주(受注) | 2. 12 | 윤리강령 선포식 거행 |
2. 11 | 중국 핵공업 총공사와 원전건설 기술성 및 | 2. 14 | 영동화력 1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경제성 공동조사 양해각서체결 | 2. 16 | 동해화력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2. 16 | 산청양수 1, 2호기 진입터널 굴착공사 착수 | 2. 27 | 제244차 원자력위원회, 중?저준위 폐기물 |
(본 공사 착공) | 처분장과 사용 후 원전연료 중간저장시설의 | ||
2. 14 | 무주양수 1호기(30만㎾) 최초 양수식 개최 | 건설 및 관리업무를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 |
2. 20 | 원자력 총발전량 5천억㎾h 달성 | 한국전력공사로 이관키로 결정 | |
2. 28 | 무주양수 1호기(30만㎾) 준공(준공식 5.23) | 2. 29 | 미국 Next Wave에 최초 출자 |
3. 9 | ABB-CE와 원자력발전소 해외 진출 및 북한 | 3. 4 | 고객의 달 선포식 거행 |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3. 8 | 송변전사업단 TFTS 운동 발기대회 |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발족 | 3. 11 | 한전 제35기 주주총회서 이종훈(李宗勳) 사 | |
3. 21 | 345㎸ 아산변전소 준공 | 장ㆍ이유형(李有珩) 감사 다시 선출 | |
3. 22 | 강동지점, 선진검침(先進檢針) 시스템 개통 | 3. 13 | 중국 산동성 원전 건설 기술성 및 경제성 |
3. 23 | 울진원자력 1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공동조사 협정 체결 | |
(382일) | 3. 20 | KEDO한전, 북한 원전 건설 주계약자 지정 | |
3. 27 | 최진석, 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 취임 | 합의문 서명(뉴욕) | |
3. 28 | 팔당수력 용량증대 개체공사 1단계 착공 | 보령화력 5호기 무고장운전 600일 달성 | |
3. 29 | 영광원자력 5, 6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3. 25 | 하동화력 5, 6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
3. 31 | 영광원자력 3호기(100만㎾) 준공 및 총 발전 | 주민 공청회 개최 | |
설비용량 3천만㎾ 돌파 | 3. 27 | 100년 만기 장기채 양키본드 국내 최초로 | |
4. 3 | 무주양수 2호기(30만㎾) 준공(준공식 5.23) | 발행 | |
4. 8 | 한국 표준형 울진원자력 3호기 원자로 설치 | 일본 관서전력과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4. 11 | 사무라이본드 270억 엔 일본서 발행 | 3. 29 | 북한 원전건설 주계약자 지정 경축 기념행사 |
4. 12 | 제2차 모델판매사업장 8개소(성동, 서부, 충 | 개최 | |
남, 전남, 경북, 부산, 제주, 강릉) 개소 | 인도전력부와 화력발전 건설 양해각서 체결 | ||
4. 14 | 중국 산동전력공사와 협력 협정 체결 | 3. 31 | 일산복합화력 스팀터빈 2호기(10만㎾) 준공 |
4. 18 | 345㎸ 태안∼아산 송전선로 준공 | 4. 1 | 양키본드 2억 달러 미국서 발행 |
(92. 11. 7 착공, 43.5km, 철탑 128기) | 4. 4 | 제1회 안전점검의 날 행사 개최 | |
4. 21 | 양양양수 1, 2, 3, 4호기 토건공사 착공(인허 | 4. 5 | 고리원자력 4호기 국내 최장 한주기 무고장 |
가, 용지매수 지연 등으로 공사 착수하지 못 | 운전 달성(423일) | ||
함) | 4. 9 | 권원표(權元杓), 전국전력노조 제12대 위원 | |
4. 28 | 당진화력 1, 2호기(50만㎾×2) 착공 | 장에 선출 | |
호주자원개발주식회사(KERA) 개소 | 4. 10 | 한전합창단, 제28회 난파음악제서 대상 수상 | |
하동화력 3, 4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4. 12 | 권영무(權寧武), 한전 부사장 취임 | |
5. 1 | 케이블TV 상업방송 개시 | 4. 13 | 최대용(崔大鎔), 한전정보네트워크(주) 제3 |
전기요금 평균 4.2% 인상 | 대 사장에 취임 | ||
(전기요금 연체료 인하 5%→2%) | 중국 전력공업부와 산동성 원전건설 공동조 | ||
5. 2 | 세일정보통신과 정보통신분야 업무 위탁 협 | 사 협정 체결 | |
정 체결 | 4. 15 | 이호림(李虎林), 한국전력기술(주) 제11대 | |
5. 4 | 영흥화력 1, 2호기 종합설계 기술용역 계약 | 사장에 취임 | |
체결 | 임창생(林昌生), 한국원전연료(주) 제7대 사 | ||
5. 6 | 전사적 품질보증제도 시행 | 장에 취임 | |
(공사 품질보증계획서 제정) | 4. 16 | 환경영향평가 자문위원회 발족 | |
5. 12 | 동해화력 1호기(20만㎾) 착공 | 4. 18 |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조성사업 참여 약정식 |
5. 15 | 사장, 품질보증 담화문 발표 | 부산복합화력 건설 기본계획 확정 | |
5. 17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 운영권 계약 체결 | 울진원자력 1, 2호기 원자력 발전량 1천억 | |
필리핀전력공사(NPC)와 기술협력 협정 | ㎾h 달성 | ||
체결 | 4. 19 | 345㎸ 송전선 국내 최초 강관 철탑 시공 | |
5. 19 | 미국전력연구소(EPRI) 회원 가입 | 4. 20 | 세일, 한전정보네트워크(주)로 사명 변경 |
섬진강수력 50주년 기념식 개최 | 4. 22 | 동해화력 2호기 SK건설과 토건공사 시공 계 | |
5. 22 | 북제주화력 2, 3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약 | |
5. 26 | 영광원자력 1호기 이용률 세계 1위 달성 기 | 이원(李元), 한전기공 사장 취임 | |
념탑 제막식 거행 | 4. 25 | 월성원자력 1발전소, 캐나다 pt.Leapreau | |
영광원자력 온배수 양식장 준공 | 원전과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5. 27 | 김계휘(金桂輝), 한전 부사장 취임 | 5. 1 | 당진화력 1, 2, 3, 4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5. 31 | 한전, 미국 Duke Power와 기술협력 협정 체 | 일일결산시스템 본사 시범 실시 | |
결 | 민원관리 총괄실 발족 | ||
6. 2 | 영광원자력 4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 5. 3 | 중국핵공업 총공사(CNNC) 총경리 내방 |
6. 5 | 개발도상국 송배전 분야 직원 연수원 입교식 | 5. 7 | 고리원자력 홍보전시관 관람객 100만명 돌파 |
개최 | 5. 9 | 원전 종사자 및 주민 역학조사결과 최종 발 | |
6. 8 | 한전홍콩(주) 설립 | 표회 개최 | |
6. 9 | IAEA평가단 한국 표준형 원전 울진 3, 4호기 | 765㎸ 송전선로 건설사업 착공 | |
안전성 우수 진단결과 발표 | 5. 13 | 세계전력사업 영문CUG 제공 | |
6. 13 | KEDO 집행이사회, 한전을 주계약자로 내정 | 5. 14 | 월성원자력 4호기 원자로 설치 |
6. 15 | 일산복합화력 가스터빈 5, 6호기(10만㎾×2) | 5. 27 | 제2회 민관경영 및 사무혁신 대상 시상 |
준공(준공식 96. 5. 17) | 5. 28 | 대만전력 정기 기술협력회의(국제협력) | |
6. 16 | ’94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2위 달성 | 5. 30 | 양수발전소 저수지 수중 생태계 조사결과 |
6. 17 | 당진화력 3, 4호기 설계 기술용역 계약 체결 | 발표 | |
6. 28 | 서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정비공장 국내 첫 | 6. 3 | 서울연수원, 개발도상국 초청 기술전수 교육 |
준공 | 실시 | ||
태안화력 1호기(50만㎾) 준공 | 케이블 전송망 이용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 | ||
(준공식 96. 5. 29) | 스시험 성공 | ||
6. 29 | 울산복합화력 가스터빈 3, 4, 5, 6호기 | 6. 4 | 345㎸ 신경산 분기 송전선로 준공 |
(15만㎾×4), 스팀터빈 2, 3호기(15만㎾×2) | (94. 11.1 착공, 41.6km, 철탑 114기) | ||
착공 | 6. 11 |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미국 EEI 선정 | |
6. 30 | 울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호기(10만㎾×2) | CGA 최우수상 수상 | |
준공(준공식 10. 5) | 6. 12 | 765㎸ 송전선로 공사 최초 굴착 | |
분당복합화력 가스터빈 6, 7, 8호기(7만5,000 | 6. 13 | 미국 NUKEM사와 우라늄 정광 장기구매계 | |
㎾×3) 준공 | 약 체결 | ||
한림복합화력 가스터빈 1호기(3만5,000㎾) | 6. 17 | 필리핀전력공사와 기술협력회의 개최 | |
준공 | 6. 18 | 한림복합화력 가스터빈 2호기(3만5,000㎾) | |
6. - | 경천(慶泉)소수력(400㎾×2) 준공 | 준공 | |
6. - | 한화(韓火)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호기 | 6. 20 | ’95년도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최우수기관 |
(10만㎾×3) 준공 | 선정 | ||
7. 6 | 하동화력 5, 6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체결 | 6. 25 | 345㎸ 신김제, 신김해변전소 준공 |
7. 7 | 영광원자력 4호기 초임계 도달 | 변전설비용량 1억㎾ 돌파(신김제변전소 준 | |
7. 10 | 345㎸ 선산변전소 준공 | 공 계기, 기념식 10. 2, 345㎸ 성동변전소 에 | |
7. 12 | 당진화력 3, 4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체결 | 서 거행) | |
7. 18 | 영광원자력 4호기 최초 발전 개시 | 6. 27 | 당진화력 1, 2호기 기전공사 계약 체결 |
7. 19 | 345㎸ 신시흥 분기 송전선로 준공 | 6. 28 | 보령복합화력 건설공사 계약 체결 |
(94. 6. 4 착공, 9.6km, 철탑 30기) | 345㎸ 미금변전소 준공 | ||
7. 23 | 배전선로용 폴리머 현수애자 국내 개발 착수 | 6. 29 | 양양양수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7. 24 | 하동화력 3호기 보일러 철골 입주 | 6. 30 | 서인천복합화력 3, 4단계 가스터빈 9~16호기 |
7. 25 | 필리핀 말라야사업 차관 계약 체결 | (15만㎾×8) 준공(준공식 97. 11. 14) | |
7. 31 | 22.9㎸ 대용량 배전 시범선로 준공 | 한화(韓火) 2, 3 복합화력 가스터빈 4~9호기 | |
8. 2 | 154㎸ 신장변전소 준공 | (10만㎾ ×6) 준공 | |
765㎸ 용지확보 태스크포스팀 발족 | 울릉도 내연 1호기(1,500㎾) 준공 | ||
8. 3 | 보령복합화력 설계 기술용역 현대엔지니어 | 7. 1 | 울산화력 국내 최초로 초저유황유 사용 |
링과 계약 체결 | 7. 2 | (주)온세통신에 최초 출자 | |
8. 6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 파견 직원 23명 출국 | 7. 5 | 사창립 기념 제1회 한우리가요제 개최 |
8. 7 | 영광원자력 5, 6호기 주설비공사 계약 체결 | 7. 9 | (주)두루넷에 최초 출자 |
청양지점 사옥 준공 | 7. 11 | KEDO북한, 특권면제와 통행 및 통신의정서 | |
8. 15 | 이중재(李重載)처장, KEDO 요원으로 첫 방 | 서명(뉴욕) | |
북(訪北) | 7. 12 | LNG 복합화력 민자발전사업자 선정 | |
8. 17 | 한림복합화력 가스터빈 2호기(3만5,000㎾) | 7. 15 | 정부, 한전을 KEDO 원전사업 협력사업자로 |
착공 | 선정 | ||
8. 18 | 최대수요전력 2,987만8,000㎾ 기록 | 7. 26 | 보령화력 배연탈황설비 기공식 개최 |
(금요일 15:00) | 7. 27 | 해외전환사채 2억 달러 미국서 발행 | |
8. 22 | 한전, 미국 MIT간 공동연구 협력 체결 | 7. 30 | 쌍용양회와 삼천포화력 석탄회 재활용 양해 |
(5년간) | 각서 체결 | ||
8. - | 한림내연(1만7,000㎾) 폐지 | 7. 31 | 울산복합화력 가스터빈 3, 4, 5, 6호기(15만 |
9. 4 | 영동화력 2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4) 준공(준공식 97. 12. 19) | |
울릉도 남양내연발전소 착공 | 8. 1 | 울릉도 내연 2호기(1,500㎾) 준공 | |
9. 7 | 미국 에디슨전기협회(EEI) 회원 가입 | 성동지점 사옥 준공(허가일) | |
사무라이 본드 145억 엔 일본서 발행 | 8. 5 | 필리핀 말라야화력 현지운전원 교육 | |
9. 8 | 이종훈 사장, 국제우라늄협회 금메달 수상 | 동해화력 1, 2호기 기전공사 시공계약 체결 | |
9. 15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 정식 인수 | 8. 7 | 보령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 5, 6, 7, 8 |
영흥화력 1, 2호기 토건공사 계약 체결 | 호기(15만㎾×8), 스팀터빈 1, 2, 3, 4호기(15 | ||
9. 18 | 제2회 대한민국 기업문화대상 기업부문 최우 | 만㎾×4) 착공 | |
수상 수상 | 8. 12 | 345㎸ 군산변전소 준공 | |
울릉도내연 1, 2호기(1,500㎾×2) 착공 | 8. 13 | 최대수요전력 3,228만2,000㎾ 기록 | |
345㎸ 신시흥변전소 준공 | (화요일 15:00) | ||
9. 22 | 전력산업 기술기준 3단계 개발사업 착수 및 | 8. 27 | 하동화력 배연탈황설비 기공식 |
대한전기협회로 업무 이관 | 8. 29 | 하동화력 5, 6호기 설계기술용역 한전기술과 | |
9. - | 울산복합가스터빈(11만㎾) 폐지 | 계약 체결 | |
10. 1 | 한림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3만5,000㎾) | 8. 30 | 제주지역 154㎸ 송전계통 환상망 준공 |
착공 | 8. - | 흑산도 내연 DG(1,500㎾) 준공 | |
10. 5 | 산청양수 1, 2호기 지하발전소 굴착공사 착 | 9. 1 | 원자력산업회의, 원자력용어사전 발간 |
수 | 9. 2 | 중국 국가계획위원회 대표단 내방 | |
10. 6 | 주식예탁증서 3억 달러 추가 발행 | 중국 산동성전력공사와 제1차 정기회의 | |
10. 10 | 월성원자력 3호기 원자로 설치 | 부산복합화력 설계기술용역 한전기술과 계 | |
10. 16 | 광양지점 사옥 준공 | 약 체결 | |
10. 20 | 동해화력 1호기 보일러 철골 입주 | 9. 4 | CALS PACIFIC KOREA ’96년 국제전시회 참 |
11. 1 | 전력연구원 개원(기술연구원 개편) | 가(7일까지) | |
토요 격주 근무제 실시 | 9. 5 | 태안화력 배연탈황설비 기공식 개최 | |
11. 4 | 345㎸ 김해분기 송전선로 준공(93. 1. 5 착공 | 양양양수 1, 2, 3, 4호기 모선 및 진입터널 굴 | |
, 19.0km, 철탑 51기) | 착공사 착수(본 공사 착공) | ||
11. 11 | 한림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9. 7 | KEDO로부터 초기현장공사 사전작업지시서 |
11. 13 | 의성지점 사옥 준공 | (ATP) 접수 | |
11. 14 | 중앙전산개발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 | 9. 9 | 한국-아르헨티나 간 원자력 평화적 이용에 |
11. 16 | 이종훈 사장, 중국 장쩌민 주석과 원전건설 | 관한 협력 협정 체결 | |
교류방안 의견 교환 | 9. 10 | 제2회 원자력 안전의 날 기념식 | |
11. 17 | 95년도 송변전설비 준공식 개최 | (고리원자력 제2발전소 대상 수상) | |
11. 20 | 노사화합 다짐대회 개최 | 9. 11 | 하동화력 5, 6호기 건설공사 계약 체결 |
11. 22 | 한전, 베트남 원자력위원회간 기술협력 협정 | 9. 14 | 제주화력 1, 2호기(5,000㎾×2) 폐지 |
체결 | 9. 17 | 영광군, 영광원자력 5, 6호기 건축 재허가 | |
11. 23 | 울진원자력 4호기 원자로 설치 | 9. 19 | 당진화력 3, 4호기 건설공사(토건/기전) 계 |
11. 29 | 하동화력 4호기 보일러 철골 입주 | 약 체결 | |
12. 5 | 영광원자력 3, 4호기, 미국 ‘파워 엔지니 | 9. 20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관 준공 |
어링’지 선정 ‘올해의 프로젝트상’ 수상 | Kid Net 지원사업 준공식 | ||
12. 6 | 북제주화력 2, 3호기 설계기술용역 계약 체 | 동해화력 2호기 설계기술 용역 계약 체결 | |
결 | 9. 23 | 당진화력 3, 4호기 본관 기초굴착 착공 | |
12. 7 | ’95 기업혁신운동 은상 수상 | 9. 24 | 영광원자력 5,6호기(100만㎾×2) 건설 착공 |
12. 8 | 평택화력 1, 2, 3, 4호기 2주기 무고장운전 | 9. 30 | 동해화력 2호기 본관 기초굴착 착공 |
달성 | 10. 2 | 한전합창단, 필리핀서 공연 | |
12. 14 | ’95 장기전력수급계획(안) 토론회 개최 | 10. 8 | 부산복합화력 건설 환경영향평가 주민 설명 |
12. 15 | 원자력을 이해하는 여성모임(WIN) 창립 | 회 개최 | |
12. 18 | KEDO북한 간 경수로 공급협정 서명(뉴욕) | 10. 14 | 중소기업 기술지원 3년 평가회 및 전시회 |
인터넷 한전 홈페이지 개발 | 개최 | ||
12. 20 | 태안화력 2호기(50만㎾) 준공 | 3불(三不:설계 부실, 시공과 감리 부실, 안전 | |
(준공식 96. 5. 29) | 부실) 추방 다짐대회 개최 | ||
12. 21 | 사무라이 본드 100억 엔 발행 | 10. 19 | 영광원자력 3, 4호기 준공식 및 5, 6호기 기 |
울진원자력 5, 6호기 환경영향평가 공청회 | 공식 개최 | ||
개최 | 10. 22 | 전력문화회관(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55번 | |
12. 27 | ’95 장기전력수급계획(1995~2010) 확정 | 지) 착공식 개최 | |
12. 28 | 영광원자력 제1발전소 ’95년도 방사선안전 | 10. 24 | 산청양수 하부댐 정초식 |
관리상 시상 | 10. 25 | 청송양수발전소 환경영향평가 주민 설명회 | |
12. 29 | 하동화력 3, 4호기 기전공사 한국중공업과 | 개최 | |
계약 체결 | 해외전환사채 112억8,000만 엔 스위스서 발 | ||
전기에너지관 관람객 100만명 돌파 | 행 | ||
12. 30 | 345㎸ 청원변전소 준공 | 10. 28 | 인천화력 1호기 수명 연장공사 준공식 개최 |
화순지점 사옥 준공 | 10. - | 조도내연 DG 5, 6호기(1,000㎾) 준공 | |
12. 31 | 전력산업 기술기준 2단계 개발사업 종료 | 반변(半邊)소수력(530㎾×2) 준공 | |
12. - | 추자도내연 DG(500㎾) 준공 | 11. 1 | 소도서 전력판매과 발전업무, 전우실업주식 |
회사에 위탁 시행 | |||
11. 6 | 월성원자력 2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착수 | ||
울산 제1복합화력 스팀터빈 성능복구 주기기 | |||
공급계약 체결 | |||
11. 8 | 배전자동화시스템 시연회 개최 | ||
345㎸ 영광∼신남원 송전선로 준공 | |||
(94. 10. 5 착공, 108km, 철탑 296기) | |||
11. 11 | 345㎸ 양주∼향동C/H 간 송전선로 준공 | ||
(92. 4. 24 착공, 13.1km, 철탑 38기) | |||
11. 13 | ‘96 좋은 한국인’ 대상 시상식 개최 | ||
11. 18 | 서천화력 1, 2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
11. 20 | 한국ㆍ베트남, 원자력연구 협정 체결 | ||
11. 21 | 베트남전력공사와 협력협정 체결 | ||
11. 22 | 울진원자력 5, 6호기 종합설계용역 및 주기 | ||
기 공급계약 체결 | |||
11. 26 | 당진화력 3, 4호기(50만㎾×2) 착공 | ||
12. 2 |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개정 | ||
12. 4 | 765㎸ 송전철탑 최초 건립 | ||
태안화력 1, 2호기, 미국 PE지의 ‘1996 올해 | |||
의 프로젝트상’ 수상 | |||
보령화력 3, 4, 5, 6호기 미국 EPI지의 ‘ | |||
1996 우수발전소상’ 수상 | |||
12. 6 | 이종훈사장, 기업문화협의회 제3대 회장으로 | ||
선출 | |||
양키본드 1억 달러 미국서 발행 | |||
12. 8 | 화천지점 사옥 준공 | ||
12. 9 | 하동화력 5, 6호기(50만㎾×2) 착공 | ||
서인천복합화력건설처 안전경영 대상 수상 | |||
12. 10 | 필리핀 바탕 가스복합화력 건설 수주 | ||
12. 13 | 제3회 기업혁신대상 금상 수상 | ||
12. 16 | 방사물 관리 및 원자력발전 설계사업 이관 | ||
양수도 협약 체결 (KAERI한전, 한기, 원전 | |||
연료) | |||
12. 20 | 345㎸ 영청송전선~옥구변전소 간 송전선로 | ||
준공(94. 11. 4 착공, 27.2km, 철탑 77기) | |||
12. 27 | 154㎸ 엄다변전소 준공 | ||
12. 31 | 제1회 사업소 품질경영상 최우수사업소 시상 | ||
(고리 제2발전소) | |||
북제주화력 2, 3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
배전선로용 폴리머 현수애자 국내개발 사용 | |||
12. - | 군위지점 사옥 증축 준공 | ||
12. - | 청송지점 사옥 증축 준공 | ||
12. - | 영양지점 사옥 증축 준공 | ||
1997 | 1998 | ||
1. 1 | 부산화력 1, 2호기(12만㎾) 폐지 | 1. 1 | 22.9㎸ 대용량 배전방식 확대 시행 |
CE형 원전소유자 그룹(CEOG) 가입 | 전기요금 6.5% 인상 | ||
1. 8 | KEDO북한 간 부지 인수 및 서비스 의정서 | 1. 5 | 나라사랑 금모으기운동 전사적 전개 |
서명(뉴욕) | 1. 6 | 울진원자력 3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1. 9 | 원자력환경기술원 개원 | 1. 7 | 경제살리기 실천 다짐대회 |
1. 23 | 중국 산서성 발전소 건설 공동연구 합의 | 1. 8 | 외국계 금융기관장 30명 초청 경영간담회 |
판매관리통합시스템 구축팀 구성 | 개최 | ||
1. 27 | 월성원자력 2호기 초임계 도달 | 1. 9 | 삼천포화력 5, 6호기 연료하역 부두 무상사 |
1. 28 | 중국 전력과학연구원과 연구 협력 협정 체결 | 용 판결 | |
1. 31 | 양키본드 3억 달러 미국서 발행 | 1. 12 | 제2차 민자발전사업 예정자 최종 발표 |
국내 최초 345㎸ 지중 송전선로 준공 | 1. 16 | 97년도 우수건설업체 시상 | |
(미금∼성동, OF 2,000㎟) | 서울연수원 명칭을 중앙교육원으로, 화력연 | ||
2. 1 | 전기요금, 편의점(LG25)에서 수납 대행 | 수원 명칭을 발전교육원으로 변경 | |
2. 10 | 태안화력 설계기술용역 계약 체결 | 1. 21 | 본사와 KEDO 원전 건설현장 간 화상통화 개 |
2. 14 | 보령화력 석탄사용 5,000만 톤 돌파 | 통 | |
2. 19 | 북한 원전부지 세부지질조사 장비 운송 | 1. 22 | 전력연구원 ‘IR 52 장영실상’ 수상 |
3. 6 | 한국해양연구소와 발전소 주변 해양목장 조 | 1. 26 | 전력사업 100년 기념우표 발행 |
성 협약 체결 | 1. 27 | 이종훈 사장, 북한 원전건설 현장 방문 직원 | |
3. 7 | 부산복합화력 건설공사 토건 기전 일괄 계약 | 위로 | |
체결 | 2. 1 | 인터넷 홈페이지에 ‘전기상담’ 사이트 개발 | |
북한 경수로부지 지반조사용 시추작업 개시 | 운영 | ||
3. 15 | 울산화력 4, 5, 6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2. 2 | 고철 및 폐지 모으기운동 전사적 전개 |
3. 18 | 울진원자력 1, 2호기 총 발전량 1000억㎾h | 고리원자력 2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
달성 | (303일) | ||
3. 28 | 한국전력 기업설명회 개최 | 2. 4 |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사 평가 |
(언론 및 증권분석가 대상) | 단 내방 | ||
북제주화력 2, 3호기 건설공사 삼부토건/풍 | 2. 6 | 월성원자력문화진흥회 발족 | |
림산업과 계약 체결 | 2. 10 | 양키본드 2억5,000만 달러 미국서 발행 | |
3. 30 | 고리원자력 1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2. 20 | 월성원자력 3호기 초임계 도달 |
(365일) | 2. 26 | 속초항~북한 양화(陽化)항 간 객화선 시험 | |
3. 31 | 태안화력 3호기(50만㎾)준공(준공식 11. 11) | 운항 | |
분당복합화력 스팀터빈 2호기(11만5,000㎾) | 2. 27 | 전우회,제3대 회장에 성낙정(成樂正)씨 선출 | |
준공(준공식 97. 12. 19) | 3. 1 | 해남~제주 간 HVDC 시송전 성공 | |
4. 1 | 월성원자력 2호기 최초 발전 개시 | 3. 5 | 레인보우사업 설명회 개최 |
영광원자력 3, 4호기 시뮬레이터 국내 기술 | 울진 주민, 울진원자력 5, 6호기 조기 착공 | ||
로 최초 준공 | -청와대 등에 진정서 제출 | ||
4. 3 | 영남화력 1, 2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양키본드 2억 달러 미국서 발행 | |
4. 4 | 보령화력 6호기 한주기 무고장 운전 달성 | 3. 6 | ‘컴퓨터 2000년 문제’ 해결 발표회 개최 |
4. 8 | 북한 원전건설 전문가 실무협의단 방북 | 3. 20 | 전력사업 뒷이야기 ‘살아 있는 전력사’ 발간 |
4. 10 | 평택화력 2호기 연속 3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3. 24 | 한전 최초 탈황설비 영동화력 2호기에 설치 |
345㎸ 하동∼광양 송전선로 준공 | 3. 25 | 월성원자력 3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94. 9. 6 착공, 27.2km, 철탑 73기) | 3. 30 | 이유형(李有珩) 한전감사,주주총회서 재선출 | |
4. 11 | 발전소 석탄 시험연소로 국산화 성공 | 3. 31 | 영광원자력 3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보성강수력 60주년 기념행사 개최 | (306일) | ||
4. 15 | 여수화력 1, 2호기 배연탈황설비 기공 | 양키본드 2억5,000만 달러 미국서 발행 | |
4. 16 | 울진원자력 5, 6호기 주설비공사 계약 체결 | 4. 1 | 중국 진산(秦山)원자력발전소와 시운전요원 |
345㎸ 신여수송전선∼광양변전소 간 송전선 | 훈련계약 체결 | ||
로 준공(92. 4. 29 착공, 14.6km, 철탑 43기) | 동해화력건설처 환경관리 최우수상(단체상) | ||
오산지점 사옥 준공 | 수상 | ||
4. 21 | 부산화력 1, 2호기 철거공사 착수 | 산청양수 1, 2호기 주기기 설치공사 착수 | |
4. 25 | 울릉도 남양내연발전소 1, 2호기 준공 | 4. 9 | 제4회 전기에너지사진 공모전 전시회 개최 |
보령화력본부 훈련센터 개원 | 4. 10 | 소규모 배전자동화 전국 확대 시행 | |
(보령화력 3, 4호기 시뮬레이터 준공) | 4. 14 | 계통사업단, 한전 최초로 국제품질인증(ISO | |
4. 28 | 유로본드 2억4,397만 달러 영국서 발행 | 9001) 획득(수여식 4. 22) | |
5. 7 | 고리홍보관 관람객 100만명 돌파 | 4. 16 | 미국 ABBCE와 중국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 |
5. 10 | 태안화력 5, 6호기 건설공사(토건/기전) 계 | 설사업 공동진출을 위한 컨소시움 협정 체결 | |
약 체결 | 4. 22 | 하동화력 4호기 보일러 최초 점화 | |
가압경수로형 원전 기술협력 협정 체결 | 4. 23 | 원자력발전 20주년 기념행사 | |
5. 15 | 한전CEㆍ한중ㆍ한기ㆍ원전연료ㆍ원연, | 5. 9 | 제38기 임시 주주총회, 한전 사장에 장영식 |
KNGR 기술협력 협정 체결 | (張榮植)뉴욕주립대 교수선출 | ||
5. 27 | 배전용 폴리머 피뢰기 국산개발 사용 | 5. 14 | 경북지사 국내 최초 배전기기 지중화사업 |
5. 30 | 345㎸ 양주~당인리 지중 송전선로 준공 | 성공 | |
(OF 2000) | 345㎸ 경산전력소 개소 | ||
5. 31 |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3위 달성 | 5. 15 | 장영식(張榮植), 한전 제12대 사장에 취임 |
6. 5 |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개발 사용 | 5. 18 | 울진원자력 제1발전소, 독일 필립스버그 발 |
6. 11 | 중국 산동성 원전 건설 기술성 및 경제성 공 | 전소간 기술협력협정 체결 | |
동조사 완료 | 5. 19 | 제1차 조직축소 등 직제개편 | |
6. 12 | 에디슨대상 수상 | 최기정(崔記正), 한전 부사장 취임 | |
6. 14 | 영광원자력 5, 6호기 건설허가 취득 | 최장동(崔長東), 한전 부사장 취임 | |
6. 24 | KEDO북한 간 재정의무 불이행시 조치의정 | 5. 26 | 노윤래(盧潤來), 원전연료(주)사장 취임 |
서 서명(뉴욕) | 5. 30 | 이동규(李東圭), 한전산업(주)사장 취임 | |
6. 26 | 품질경영위원회 제정 운영 | 6. 2 | 부안(扶安)소수력(193㎾) 준공 |
6. 27 | ‘국산 배전자동화 시스템’ 개발 준공식 개최 | 6. 3 | 자사주식(自社株式) 660만주 매입 |
유로본드 1억 달러 유럽서 발행 | 6. 5 | 박상기(朴祥基), 한전기술(주) 제12대 사장 | |
6. 29 | 영광원자력 5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에 취임 | |
6. 30 | 영흥화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6. 15 | 동해화력 1호기, 석탄전소 운전 및 20만㎾ |
변전설비용량 1억㎾ 돌파 | 전출력 운전 성공 | ||
삼천포화력 5호기(50만㎾) 준공 | 6. 17 | 여수화력 무재해 15배(6,800일) - 국내 최장 | |
(준공식 98. 4. 3) | 기록 달성 | ||
7. 1 | 전기요금 5.9% 인상 | 공기업 최초 여성채용 목표제 도입 | |
월성원자력 2호기(70만㎾) 준공, 원자력발전 | 6. 19 | 유망 전력벤처기업 32개 업체 선정 | |
설비 1,000만㎾ 돌파 | 6. 24 | 유로본드 200억 엔 유럽서 발행 | |
한림복합화력 스팀터빈(3만5,000㎾) 준공 | 6. 25 | 한전, 정부투자기관 97년도 경영평가서 2위 | |
하동화력 1호기(50만㎾) 준공(준공식 12. 3) | 차지 | ||
울산복합화력 스팀터빈 2호기(15만㎾) 준공 | 안성지점 사옥 준공 | ||
(준공식 97. 12. 19) | 7. 1 | 디지털 보호계전기 국산화 성공 | |
서인천복합화력 3, 4단계, 스팀터빈 9, 10, 11 | 석탄회 활용 비료 생산 신기술 개발 | ||
, 12호기(15만㎾×4) 준공(준공식 11. 14) | 품질경영 정보네트워크워크(Q-net) 구축 | ||
유로본드 50억 엔 유럽서 발행 | 하동화력 3호기(50만㎾) 준공 | ||
7. 2 | 에디슨대상 수상 기념 리셉션 개최 | 월성원자력 3호기(70만㎾)준공(준공식 7.14) | |
KEDO북한간 초기 현장공사 착수 대비 19 | 울산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 준공 | ||
개 MOU 서명 | (준공식 98. 9. 4) | ||
7. 11 | 청송양수 1, 2호기 설계 기술용역 계약 체결 | 직원 징계사면조치 시행 | |
7. 13 | 제4차 장기전력수급계획(안) 공청회 개최 | 7. 2 | 전력EDI 서비스 개시 |
북한으로부터 북한경수로 건설부지 인수 | 정부 기획예산위원회, 공기업 민영화 방안 | ||
7. 21 | 국내북한 금호지구 건설현장간 우편서비스 | 발표 | |
7. 24 | 개시 | 7. 7 | 태안화력, 탈황설비 시운전용 석회석 국내 |
북한 경수로 건설 본진 50명 및 기자재 수송 | 최초로 입하 | ||
7. 25 | 선 첫 출항 | 7. 8 | 여성인력 전담과장 직위 신설 |
케이블TV 전송망 사업자 추가 지정 | 7. 13 | 제4차 장기전력수급계획 공청회 개최 | |
7. 26 | (23개 방송 구역) | 7. 16 | 3, 4직급 개발역제도 폐지 |
태안화력 5, 6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7. 21 | 괴산지점 사옥 준공 | |
7. 31 | 한화4복합 가스터빈 10~12호기(10만㎾×3), | 7. 23 | 전력연구원, 원자로 제어봉 비파괴 검사기술 |
스팀터빈 1호기(15만㎾) 준공 | 국산화 성공 | ||
거문도내연 DG 5호기(500㎾) 준공 | 7. 27 | 장영식 한전 사장, 배구협회 회장 취임 | |
덕적도내연 DG 4호기(500㎾) 준공 | 7. 29 | 장영식 한전 사장, 에너지협의회 회장 취임 | |
7. - | 한화화력 1, 2호기(32만5천㎾) 폐지 | 7. 30 | 345㎸ 북부산~남부산 지중 송전선로 준공 |
7. - | 태안화력 4호기(50만㎾) 준공 | (OF. 2000) | |
8. 1 | (준공식 97. 11. 11) | 7. 31 | 중소기업 지원예산 연250억원으로 확대 공표 |
발전설비용량 4,000만㎾ 돌파 | 8. 1 | 고리 및 영광원자력본부 각각 제1회 해변가 | |
(태안화력 3, 4호기 준공으로) | 요제 개최 | ||
345㎸ 성동변전소 준공 | 8. 3 | 실업자 재취업 훈련 실시 | |
한전북한 원전간 최초의 정보통신망 개통 | (배전기능사보 양성 과정) | ||
8. 4 | 울산복합화력 스팀터빈 3호기(15만㎾) 준공 | KEDO-한전 간 초기 현장공사 연장계약 체결 | |
(준공식 97. 12. 19) | (2개월) | ||
보령복합화력 가스터빈 1~6호기(15만㎾×6) | 8. 6 | 보령화력 탈황설비 배연가스 통과 공정 성공 | |
준공(1, 2호기 7월 7일, 4, 5호기 7월 31일 | 8. 8 | 연기지점 사옥 준공 | |
, 3, 6호기 8월 4일 준공) | 8. 11 | 울진원자력 3호기(100만㎾) 준공 | |
’97양키본드 2억 달러 미국서 발행 | 8. 14 | 제1회 APEC 청소년 과학축전에 한국전력관 | |
8. 4 | 양양양수 1, 2, 3, 4호기 상부댐 굴착공사 | 개관 | |
8. 5 | 착수 | 한강수계 환경감시 활동 강화 결의 | |
’97 FRN 5억 달러 유럽서 발행 | 8. 20 | 포천소수력 수급 변경(800㎾→2,970㎾) | |
8. 8 | 북한원전 건설 초기 현장공사 계약 체결 | 8. 21 | 345㎸ 신용인변전소 준공 |
8. 15 | 정부, 북한 원전 초기 현장공사 ‘남북경제 | 8. 22 | 울진원자력 2호기 3주기 연속 무고장운전 |
8. 16 | 협력사업’ 승인 | 달성 기록 | |
충주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 24) | 8. 25 | 제4차 장기전력수급계획(1998∼2015) 확정 | |
신포원자력 건설본부 개소 | 8. 28 | 감사원, 한전 감사실에 우수기관 표창 | |
북한 원전 부지정지공사 착공식 개최 | 9. 1 | 22.9㎸ 해저케이블 시공 기술 - 아시아 두번 | |
8. 19 | 최대수요전력 3,585만1,000㎾ 기록 | 째로 국산화 성공 | |
8. 20 | (수요일 12:00) | 군산복합화력(30만㎾) 폐지 | |
22.9㎸ 난연성 전력케이블(FR CNCO-W) 개 | 9. 2 | 장영식 한전 사장,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 |
8. 27 | 발 사용 | 제4대 이사장 취임 | |
’97 유로본드 50억 엔 유럽서 발행 | 서사현(徐士鉉), 한전정보네트워크(주) 사장 | ||
8. 28 | 월성원자력 2호기 준공식 | 취임 | |
9. 3 | 하나로통신(주)에 최초 출자 | 9. 5 | 군산복합화력 노후설비 미국 NTE에 2,750만 |
9. 5 | 한전, 북한 파견직원과 첫 화상 통화 | 달러에 매각 | |
9. 12 | 고리원자력 4호기 한주기 무고장운전 달성 | 장흥지점 사옥 준공 | |
9. 14 | (460일, 2주기 연속 883일 달성) | 9. 6 | 영광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1. 6) |
한전-인도, 다모다르계곡 개발공사(DVC) 기 | 9. 10 | 전력벤처기업 창업지원설명회 개최 | |
9. 17 | 술협력 협정 체결 | 진도지점 사옥 준공 | |
신재무정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수립 | 가공(架空)케이블 배전방식 최초 시범선로 | ||
9. 24 | 초고속 멀티미디어사업 진출, 레인보우 프로 | 건설 | |
9. 25 | 젝트 상호 양해각서 서명 | 9. 11 | 울진원자력 3호기 준공식 및 5, 6호기 기공 |
삼천포화력 석탄회 정제공장 준공 | 식 개최 | ||
9. 26 | 부산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군산복합화력(30만㎾) 폐지식 개최 | |
’97 유로본드 1억5,000만 달러 유럽서 발행 | 9. 14 | 태안화력 1, 2호기 시뮬레이터 발전교육원서 | |
발전량 3천억㎾h 돌파 | 준공식 개최 | ||
9. 28 | 팔당수력 용량 증대 개체공사 1단계 준공 | 9. 15 | 산청양수 1,2호기 하부댐 기초굴착공사 착수 |
9. 29 | ’97 양키본드 1억 5,000만 달러 미국서 발행 | 9. 25 | 고리원자력 1호기 59만9천㎾로 성능 향상 |
9. 30 | 팔당수력 용량 증대(2만㎾) | 9. 27 | 상근별정직 여직원 일반전형 채용 필기고사 |
9. - | 발명왕 에디슨과의 만남전 개막 | 실시 | |
10. 1 | 양양양수 1, 2, 3, 4호기 하부댐 굴착공사 | 9. 28 | 345㎸ 고차단 용량 가스절연 개폐장치 |
착수 | (362㎸ 63kA 8000A) 개발 | ||
대용량 주상변압기(150㎸A) 개발 사용 | 10. 1 | 사내 창업지원제도 도입(1호 대상자에 백수 | |
변전설비용량 1억㎾ 돌파 및 345㎸ 옥내변 | 곤 전력연구원 부장 선임) | ||
10. 2 | 전소와 지중 송전선로 준공식 개최 | 동해화력 1호기(20만㎾) 준공 | |
제15차 극동지역 연료담당 책임자회의 | (준공식 98. 11. 25) | ||
10. 7 | 상업차관 3억 달러 영국 BZW ASIA와 계약 | 10. 2 | 남강수력 1, 2호기(7,000㎾×2) 준공 |
10. 10 | 화력연수원 이전 개원 | 10. 5 | 운문(雲門)소수력(330㎾) 준공 |
10. 13 | (삼천포화력→태안화력) | 10. 9 | 추자도내연발전소(1,700㎾) 1,000㎾ 증설공 |
345㎸ 신당진변전소 준공 | 사 착공 | ||
10. 16 | ’97 FRN 1억5,000만 달러 영국서 발행 | 한일병원 본원 치과의원 개설 | |
10. 28 | 김포지점 사옥 준공 | 10. 16 | KEDO한전 초기현장공사 연장계약 체결 |
10. 30 | 중앙전산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 | (3 개월) | |
10. 31 | 제30회 전기원의 날 기념 전기원 2명 최초로 | 10. 20 | 장영식 사장,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
로 대통령 표창 | 제6대 회장에 선임 | ||
다중통화표시채(多重通貨表示債) 유로본드 | 10. 23 | 765㎸ 신서산변전소 착공식 개최 | |
2억8,000만 달러 유럽서 발행 | 10. 26 | 실업구제기금 465억원(자회사 132억원 포함) | |
자사주식 345만주 매입(98. 1까지) | 출연의향서 제출 | ||
10. - | 태안화력 5, 6호기(50만㎾×2) 착공 | 한전, 조직축소 및 인력감축 단행 | |
11. 1 | 하동화력 2호기(50만㎾)준공(준공식 12. 3) | 10. 29 | 울진원자력 4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착수 |
서울연수원, 능률협회로부터 최우수 연수원 | 11. 3 | 345㎸ 신고성변전소 준공 | |
11. 4 | 상 수상 | 11. 6 | 신임이사 3명 선임(이준범,유석구,윤주현) |
영등포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2. 23) | 11. 9 | KEDO 집행이사국 간 재원 분담 합의 | |
필리핀 일리한복합화력 사업계약 체결 | 11. 10 | 북제주화력, 무재해 10배 달성 인증서 획득 | |
11. 5 | 서명 제주~육지 간 전력계통 연계사업 준공 | 11. 11 | 여수지점, 관내 전기발상지 표지석 설치 |
11. 7 | 식 개최 | 11. 13 | 중국 국가전력공사와 전력분야 일반 협력 |
울진원자력 3호기 최초 원전 연료 장전 착수 | 협정 체결 | ||
11. 11 | 프랑스전력공사(EDF)와 일반협력협정 체결 | 고리 1, 2호기용 시뮬레이터 원자력교육원에 | |
11. 17 | 영광원자력 6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서 준공식 개최(국산화 성공) | |
11. 20 | 신재무정보시스템 구축 위한 재무업무 표준 | 11. 16 | 별정직 여직원 일반전형 채용 합격자 44명 |
11. 20 | 화 착수 | 중앙연수원 입교 | |
한일병원, 사원ㆍ사원가족 입원환자 전담요 | 증평지점 사옥 준공 | ||
12. 1 | 양관리제 시행 | 전력산업 구조개편 계획 공청회 | |
전력분야 중소기업 발전 촉진대회 개최 | (산업자원부 주관) | ||
12. 2 | 동해화력 최초 석탄 반입 | 11. 17 | 대만 포모사그룹 화력발전소 기술자문 용역 |
12. 4 | CALS/EC APEC ’97국제행사 참가 | 수주 | |
12. 8 | (11일까지) | 11. 26 | 한전, 국내 최대 실업대책기금 465억원(자회 |
11. 9 | 양산지점 사옥 준공 | 사 132억원 포함) 청와대에서 전달 | |
12. 14 | ‘97 좋은 한국인’ 대상 시상 | 11. 30 | 윤행순(尹幸淳), 한전 부사장 취임 |
12. 15 | 효암?비학지역 신규원전건설 예정구역 고시 | 12. 4 | 영월복합화력 폐지(30만㎾) |
12. 17 | 월성 및 울진원자력 주변 방사능 조사결과 | 미국 신용평가기관 무디스사 일행,한전 방문 | |
발표 | 12. 8 | 필리핀 말라야발전소(65만㎾) 성능 복구공사 | |
12. 20 | 곡성지점 사옥 준공 | 종합 준공식 개최 | |
12. 21 | 울진원자력 3호기 초임계 도달 | 장영식 사장, 필리핀 대통령으로부터 최고 | |
12. 30 | 월성원자력 3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착수 | 훈장 받음 | |
12. 31 | 고리원자력 1, 2, 3, 4전호기, 97년 무정지 연 | 12. 10 | 중국 산동성전력과 제3차 정기협력회의 개최 |
속운전 기록 | 12. 11 | 영월복합화력설비, 미국 IBC사에 2,820만 | |
영광원자력 1호기, 월성원자력 1호기 97년 | 달러에 매각 | ||
이용률 세계 1, 2위 달성 | 12. 12 | 방콕아시안게임 남북공동응원단, 본사 대강 | |
제2회 사업소 품질경영상 최우수사업소 시상 | 당에서 발대식 개최 | ||
(보령화력본부) | (한전ㆍ한겨레신문 공동 모집) | ||
삼천포화력 6호기(50만㎾) 준공 | 12. 14 | 울진원자력 4호기 초임계 도달 | |
(준공식 98. 4. 3) | 12. 15 | 지중종합감시제어시스템 준공 | |
345㎸ 화성변전소 준공 | (345㎸ 성동~미금 변전소간 전력구내) | ||
12. - | 한화(韓火)복합화력 스팀터빈 2호기(15만㎾ | 12. 16 | 전력 벤처기업 육성센터 현판식 거행 |
) 준공 | 한시퇴직 등 포함 2,369명 퇴직 | ||
12. - | 345㎸ OF 부속재 국내 최초 개발 | 뉴욕지사 및 벤쿠버사무소 폐쇄 | |
(금성전선, 대한전선) | 윈저사무소 개소 | ||
12. - | 보령소수력(145㎾) 준공 | 12. 18 | 태안화력 탈황설비 준공식 개최 |
12. - | 154㎸ XLPE 부속재 국산 개발(대한전선) | 12. 21 | 5직급 승격, 기능직 승급제도 개선 시행 |
12. 24 | 회전자 정비공장, 서인천 복합화력 내 한전 | ||
기공 가스터빈 정비센터서 준공 | |||
본사 사옥에 야간경관 조명 점등식 거행 | |||
12. 25 | 영광원자력 4호기 한주기 무정지운전 달성 | ||
(388일) | |||
12. 28 | 울진원자력 4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12. 31 | 북한 원전 건설현장과 장영식 사장 화상(畵 | ||
像) 통화 | |||
보령복합화력 가스터빈 7, 8호기(15만㎾×2) | |||
준공 | |||
복합화력 시설용량 23만3,550㎾ 감소 | |||
1999 | 2000 | ||
1. 1 | 학자금,주택자금 등 일부 복지제도 변경시행 | 1. 3 | 신재무시스템 시행 |
1. 18 | 앨런 캡시스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회 | 1. 12 | 통신 자회사 (주)파워콤 발족 |
장 한전 방문 | 1. 28 | 발전사업 분리 대비, 조직개편 단행 | |
홍보실 로컬 리포터 58명 선발 | 1. 30 | 선택적 복지제도 공기업 처음으로 시행 | |
1. 24 | 장영식 사장 역대 사장 초청 오찬 | 2. 8 | ‘123전기 종합안내’에 080전화무료 서비스 |
1. 25 | 원자력발전소 Y2K 종합모의시험 고리 4호기 | 시행 | |
서 실시 | 2. 15 | 6개 발전사업단에 업무권한 위양 직제개편 | |
1. 26 | 홍보실서 KEPCO CUG를 통한 전자신문 주 | 단행 | |
간 한전 창간 | 2. 24 | 울진원자력 4호기 준공 | |
1. 28 | 중소기업 육성 위한 16개 대기업 사장단 초 | 2. 28 | 북한 원전 기자재 구매 세미나 개최 |
청 간담회 개최 | 3. 7 | 필리핀 KEILCO 신입사원 발전교육원 입교 | |
1. 30 | 2, 3직급 승격제도 개선 | 3. 10 | 국내 최장 도심지 터널 345㎸ 영서∼영등포 |
2. 1 | 매경 주최 제1회 ‘올해의 증권인상’ 시상 | 전력구 터널 관통 | |
식서 본사 국제자금부 기업금융부문 금상 | 3. 14 | (주)파워콤 매각 금융자문사 용역계약 체결 | |
수상 | 3. 15 | 의정부지사 명칭 경기북부지사로 변경 | |
2. 4 | 당진화력 1호기(50만㎾) 발전개시 행사 | 3. 23 | 전력시장 운영규칙 설명회 개최 |
2. 5 | 서천화력 1,2호기 배연탈황설비 준공식 | 3. 25 | 구조개편 때 장애조항 없는 글로벌본드 발행 |
2. 9 | 월성원자력 4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 3. 31 | 북제주화력 2호기 상업운전 개시 |
2. 18 | 한일병원 신장이식 수술 성공 | 4. 4 | 경영간부, 관리자 디지털시대 적응교육 실시 |
2. 19 | 한전, 남아공전력회사(ESKOM)와 기술협력 | 4. 6 | 하동화력 5호기 발전 개시 |
협정 체결 | 4. 18 | 전력산업 구조개편 관련 해외전문가 초청 세 | |
2. 20 | 월성원자력 1호기 Y2K 종합모의시험 실시 | 미나 개최 | |
2. 22 | 일본수출입은행과 1,173억 엔 차관도입 계약 | 4. 29 | 판매부사장에 고인석(高仁錫) 임명 |
체결 | 5. 8 | 중국 진산원전 2단계 건설에 따른 기술협력 | |
2. 23 | ‘제2의 건국’ 위한 전기관련 단체장회의 개최 | 협정 체결 | |
3. 1 | 미아찾기운동 캠페인 전개 | 5. 9 | 중소기업 기술개발 활성화 워크숍 개최 |
3. 3 | 소비자단체 간담회 개최 | 5. 12 | 부산복합화력 건설공사 착공 |
3. 12 | 여수화력 제1발전소 2호기(25만㎾) 수명연 | 5. 15 | 전력산업 구조개편 순회설명회 개최 |
장공사 준공식 개최 | (22일까지) | ||
3. 15 | 필리핀 일리한복합화력발전소 부지정지공사 | 5. 22 | 박용택(朴用澤) 부사장 이임 |
착공 | 남제주화력 내연 배연탈질설비 준공 | ||
3. 16 | 영ㆍ호남 배전전기원, ‘화합 위한 만남의 자 | 기력발전소 터빈 디지털 제어시스템, 서천화 | |
리’ 개최(2차는 3월 23일부터 3일간) | 력 1호기에 설치 | ||
3. 23 | 비상임이사 8명 새로 임명 | 5. 23 | 군산화력 잔여 보조기기 철거 매각 |
3. 24 | ‘제2의 건국’ 추진 심포지엄 개최 | 5. 25 | 22.9㎸ 배전실증시험장 준공 |
3. 25 | 뉴욕서 해외주식예탁증서(DR) 발행 성공 | 5. 26 | 안양ㆍ부천 열병합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
(정부보유주식 3,140만주) | 제1차 열린경영위원회 개최 | ||
3. 26 | 고리원자력 2호기 Y2K 종합실증시험 성공적 | 6. 1 | 3직급 대우자 51명 선발 임명 |
실시 | 6. 2 | 당진화력 1, 2호기 준공 | |
3. 27 | 장영식 사장, 윌리암 데일리 미상무장관 경 | 6. 12 | 전력산업 구조개편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
제사절단 접견 | 중국 진산원전 2단계 해외 수탁교육 실시 | ||
3. 31 | 급전종합자동화설비 Y2K 모의실증시험 성공 | 6. 22 | LG칼텍스 컨소시엄과 안양ㆍ부천 열병합 매 |
적 실시 | 각계약 체결 | ||
4. 3 | 중국의 진산핵전유한공사(秦山核電有限公司 | 6. 23 | 국내 최초 765㎸ 변전설비 상용운전 개시 |
)와 원전기술협력 협정 체결 | 당진화력 3호기 발전 개시 | ||
4. 8 | 영동화력, 최초의 국산화 배연탈황설비 준공 | 6. 28 | 울산화력 3호기 재가동 복구공사 준공 |
식 개최 | 6. 29 | 전력벤처기업에 228억원 지원 | |
4. 9 | 한전, 북한 비료기금 8억원 대한적십자사에 | 7. 1 | 전국 전기요금 납부체계 일원화 |
전달 | 에너지 다소비고객 대상 전기설비 무료진단 | ||
한전합창단, 제31회 난파음악제 최우수상 | 서비스 | ||
수상 | 7. 11 | 방사성폐기물관리사업 설명회 | |
4. 16 | 표준형 전자화지점, 중부지점서 개점 | 7. 13 | 유로 엔화 채권 300억 엔 발행 |
4. 26 | 장영식 한전 사장 이임식 개최 | 7. 14 | 인사기록 본인확인 서비스 개시 |
사업소 직원 7,000여명, 북한비료성금 4,650 | 7. 21 | 영흥화력 1호기 철골입주 기념식 개최 | |
만원 전달 | 7. 24 | (주)파워콤 일부 지분 입찰 시행 | |
97년 공개채용시험 합격대기자 230명, 중앙 | (20%, 3천만주) | ||
교육원에 입교 | 7. 26 | 하동화력 훈련용 발전소 시뮬레이터 준공 | |
4. 27 | 제13대 전력노조위원장에 권원표(權元杓) | 7. 27 | 국내 최장 송전선로 가압 성공 |
현위원장 재선출 | (울진N/P∼의정부S/S간 261km) | ||
4. 30 | 결식아동 후원금 증서 전달 | 오리멀전 발전용 도입 확정 | |
(연말까지 5억6,880여만원) | 7. 29 | 인천국제공항 지중 송전선로 가압 | |
영광원자력 5호기 원자로 설치 | 8. 1 | 인터넷 이메일 주소 ‘kepco.co.kr’로 변경 | |
5. 1 | ‘전력서비스 헌장’ 공포 시행 | 8. 4 | 일리한복합화력 배열회수 보일러 드럼 상양 |
전기요금보증금제도 대폭 완화 시행 | 8. 8 | 산청양수 1호기 발전전동기 회전자 설치 | |
5. 13 | ‘제1회 한경 IR대상’서 금상 수상 | 8. 18 | 최대수요전력 4,100만7,000㎾ 기록 |
5. 17 | Sicom Web 3.0서비스 개시 | (금요일 12:00) | |
5. 18 | 자연훼손 최소화 자재운반 케이블시스템 발 | 북제주화력 3호기 발전 개시 | |
표회 개최 | 8. 24 | 보령복합화력 3호기 발전 개시 | |
5. 19 | KEDO 원자력안전자문단 제2차 회의 개최 | 8. 29 | 파워넷 접속 5,000만회 돌파 |
5. 21 | 월성원자력 4호기 최초 발전 개시 | 제14대 전력노조위원장에 오경호(吳京鎬) | |
영광원자력본부, 온배수 양식어류 200만 마 | 당선 | ||
리 방류 | 9. 1 | 청송양수 건설공사 착공 | |
5. 24 | 한전,Y2K 홈페이지 경연대회에서 대상 수상 | 9. 7 | 원자력환경기술원 방사성폐기물 홍보 전시 |
5. 27 | 대만 포모사그룹과 발전소 운영기술 추가 | 실 준공 | |
수주 | 9. 29 | 울진원자력 6호기 원자로건물 최초 콘크리트 | |
원전 부지 지진감시센터 개소 | 타설 | ||
5. 31 | 전력산업 구조개편 기술자문용역, 미국 케마 | 9. 30 | 당진화력 3호기 준공 |
컨설팅사와 계약 체결 | 10. 2 | 자재구매 전자입찰시스템 단계적 실시 | |
6. 1 | ‘한국전력사 연표’ 책자 발간 | 10. 19 | 전우실업 사장에 황하수(黃河水)씨 선임 |
6. 3 | 태안화력, 환경부 주최 제1회 환경경영대상 | 11. 2 | 중국 신규원전사업 공동마케팅 WH와 서명식 |
서 에너지산업부문 대상 수상 | 개최 | ||
영광원자력 1호기 Y2K 종합실증시험 성공적 | 11. 6 |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워크숍 5일간 개최 | |
실시 | 11. 7 | 한국여성원자력 전문인 모임(WIN-Korea) 창 | |
6. 6 | 필리핀 에스트라다 대통령 방한 환영행사, | 립 | |
한전 주최 개최 | 11. 11 | 필리핀 일리한사업 해외 프로젝트 파이낸싱 | |
6. 8 | 39개 유망벤처기업에 선정서 수여 | 성공, 5억 달러 규모 건설사업 차관계약 체결 | |
6. 9 | 익산지점 사옥 준공식 개최 | 11. 15 | 전기요금 평균 4% 인상 |
6. 11 | 제39기 임시총회서 13대 사장에 최수병, 28 | 11. 17 | 양양양수 지하발전소 최초 콘크리트 타설 |
대 감사에 황용하 선출 | 11. 18 | 청송양수 건설공사 착공식 개최 | |
6. 16 | 최수병, 한전 제13대 사장 취임 | 11. 21 | 제26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출전 19팀 대통령 |
6. 17 | 98년 공기업 경영평가 2위 차지 | 상 수상 | |
6. 21 | 울진원자력 3호기 Y2K 종합실증시험 성공적 | 11. 29 | 원자력발전량 1조㎾h 달성(가동 23년만에) |
실시 | 12. 2 | 배전분야 실업자 재취업 훈련과정 수료식 | |
6. 22 | 코라손 아키노 필리핀 전대통령, 한전 내방 | 개최 | |
6. 24 | 최수병 사장, 사장추천위원회와 경영계약 | 12. 8 | 전력산업 구조개편 3개 법안, 국회 본회의 |
체결 | 의결 | ||
6. 27 | 백령도에 발전차 2대 지원 송전 개시 | 12. 19 | 한전의 중소기업지원사업, 산업협력대회서 |
6. 28 | 제340기 신입사원 163명 입사식 개최 | 국무총리상 수상 | |
6. 28 | 가상교육원, 중앙교육원서 개원식 개최 | 한전, ‘2000 기업정보화 대상’서 공기업 부문 | |
6. 29 | 황용하 한전 28대 감사 취임식 | 대상 수상 | |
7. 1 | 한전, 제4회 여성주간 기념식서 대통령 단체 | 12. 20 | 한전, 공기업 고객만족도 2년 연속 1위 달성 |
표창 수상 | 12. 21 | 345㎸ 신온산변전소 준공 | |
부하에 의한 상사평정제 실시 | 12. 22 | KEDO원전사업, 주설비 공사계약 체결 | |
7. 3 | 전력산업 구조개편 법률자문용역, 호주 회 | ||
사와 계약 체결 | |||
7. 12 | KEPCO-CUG 명칭 공모 - ‘POWER NET’ 선 | ||
정 실시 | |||
7. 15 | 국내 최초로 유로화 채권 3억 유로 발행 | ||
방사선보건연구센터, 한일병원서 개원 | |||
전자식 전력량계 Y2K 대응완료 시연회 개최 | |||
7. 19 | 본사와 필리핀간 통신 전용회선 개통 | ||
원격제어에어컨 설치고객에 시범운영 개시 | |||
7. 22 | 윤행순 부사장 이임식 개최 | ||
7. 30 | 전력산업 구조개편 노사공개토론회 개최 | ||
최수병 사장, 제31대 배구협회 회장에 선임 | |||
영광원자력, ‘Y2K문제 자체해결 선언’ 국내 | |||
최초로 공표 | |||
8. 2 | 근무복 착용기준 변경 | ||
8. 5 | 중국 진산원전 시운전 훈련생 기술전수 완료 | ||
(7진까지 총 76명에 교육) | |||
8. 6 | 앨런 캡시스 WANO 회장단 일행 한전 방문 | ||
8. 17 | 최대수요전력 3,729만3,000㎾ 기록 | ||
(화요일 17:00) | |||
8. 24 | 전력산업 구조개편 시민사회단체 공청회 | ||
개최 | |||
통신사업부문 분리민영화계획 확정 | |||
고리원자력본부 Y2K문제 대응완료 자체해결 | |||
선언 | |||
8. 27 | 무디스사, 한전 외화채권 신용등급 상향조정 | ||
9. 1 | 검침ㆍ송달위탁원 아웃소싱 실시 | ||
자동이체 고객 전기요금 1% 할인 | |||
9. 2 | 발전 자회사 분리방안 확정 발표 | ||
9. 9 | 영광원자력, 경향전기 에너지 대상 시상식서 | ||
절약부문 본상 수상 | |||
9. 10 | 전국품질분임조 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 | ||
9. 16 | 공주지점 사옥 준공식 개최 | ||
99년도 한시퇴직 202명 시행 | |||
9. 21 | 최수병 사장, WANO 제7대 회장에 취임 | ||
제2차 결식아동돕기 후원금 전달식 개최 | |||
울산 및 여수화력 배연탈황설비 종합준공식 | |||
개최 | |||
9. 28 | 베트남 바리아발전소 복합화 사업계약, 참가 | ||
서명 | |||
태양광발전시스템(50㎾) 개발, 준공식 개최 | |||
9. 30 | 한전, ‘Y2K문제 해결 자체 선언식’ 개최 | ||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 실증설비 준공 | |||
자사주 1,00만6,620주 전량 매각 완료 | |||
팔당수력 설비증대공사 준공식 개최 | |||
동해화력 2호기 발전 개시 | |||
10. 1 | 울진원자력 5호기(100만㎾) 최초 콘크리트 | ||
타설 | |||
월성원자력 4호기 발전 개시 | |||
10. 5 | 북제주화력 2호기 보일러 최초 점화 | ||
10. 13 | 태안화력 1, 2, 3, 4호기 탈황설비 준공식 | ||
개최 | |||
10. 19 | 영흥화력 1, 2호기(80만㎾×2) 착공식 개최 | ||
10. 22 | 하동화력 3, 4호기(50만㎾×2) 및 탈황설비 | ||
1∼4호기 준공식 개최 | |||
10. 25 | 전기공급규정 전면 개정 시행 | ||
10. 28 | 런던채권자회의서 해외채권 채무 불이행문 | ||
제 해결 | |||
10. 29 | 한전, 매경 주최 문화예술지원기업 대상수상 | ||
여수화력 배연탈질설비 준공식 개최 | |||
11. 1 | 서비스닥터 요원 18명 사업소 현장실습 시작 | ||
11. 2 | 발전사업부문 분할, 이사회서 결의 | ||
11. 3 | 765㎸ 송전선로 최초 가압 | ||
11. 5 | 필리핀 일리한복합화력(120만㎾) 착공식, 현 | ||
지서 개최 | |||
전기요금 평균 5.3% 인상 | |||
11. 6 | 북경사무소 사옥 이전 개소식 | ||
11. 15 | 부하에 의한 하반기 상사 평정 실시 | ||
11. 17 | 전력산업 구조개편 정책 연구과제 최종발표 | ||
회 | |||
11. 18 | S&P사, 한전 신용평가회의 본사서 개최 | ||
11. 19 | 전력산업 구조개편 촉진법,국무회의서 의결 | ||
12. 1 | 백령도 자가발전소 시설 옹진군에서 인수 | ||
12. 4 | 전력산업 구조개편 관련 경영현안 연찬회 | ||
개최 | |||
12. 17 | 동해화력 2호기 준공식 개최 | ||
12. 27 | 월성원자력 3, 4호기 준공식 개최 | 2001 | |
1. 5 | 하동화력 6호기 보일러 점화 | ||
1. 10 | GIS이용 변전소 부지 선정 설명회 개최 | ||
2. 2 | 북제주화력 2,3호기 준공식 개최 | ||
2. 7 | 발전자회사 설립 관련 3일간 사업소 설명회 | ||
개최 | |||
2. 15 | 광선로감시시스템(OFPS) 운용 시연회 개최 | ||
2. 23 | 차세대 원자로, 신형경수로 1400(APR 1400) | ||
으로 명명 | |||
3. 1 | 중국 진산원전 3단계 정비요원 11명 6주간 | ||
교육 시작 | |||
3. 9 | 남부산지점 복합사옥 및 우동변전소 준공식 | ||
개최 | |||
3. 15 | 765㎸ 대용량 송전선로 1단계사업 준공식 | ||
개최 | |||
3. 23 | 6개 발전자회사 창립총회 개최 및 사장 선정 | ||
발표 (수력원자력-최양우, 남동-윤행순, 중 | |||
부-김봉일, 서부-홍문신, 남부-이임택, 동서 | |||
-이상영) | |||
발전회사용 종합정보제공시스템 서비스개시 | |||
3. 28 | 전력거래소 창립총회 개최 | ||
4. 1 | 전력문화회관 서초동에 준공 | ||
4. 2 | 한전-발전회사ㆍ전력거래소간 인계인수 및 | ||
4. 13 | 협약 서명식 개최 | ||
4. 18 | 한전, 유엔 아태경제사회이사회(ESCAP)로 | ||
부터 감사패 받아 유로엔화 채권 350억엔 일 | |||
본 동경에서 발행 | |||
5. 16 | 베트남 과학기술환경부 차관일행 한전 내방 | ||
5. 19 | 2001년 외국전력인 초청 연수 11일간 개최 | ||
5. 24 | 한국남동발전(주) 기업이념 및 비전 선포식 | ||
개최 | |||
6. 19 | 한전, 2000년도 정부경영평가 및 사장경영 | ||
실적평가에서 각각 1위 차지 | |||
6. 27 | 영광원자력 5호기 계통병입 | ||
출처 : 전력통신회
글쓴이 : 권승룡 원글보기
메모 :
'역사·정치·경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휘소 박사 (0) | 2011.08.28 |
---|---|
독도는 우리땅 / 공식 증빙 자료 와 해설 (0) | 2011.08.24 |
[스크랩] 電力史 年表3 (1981∼1990) (0) | 2011.08.19 |
[스크랩] 電力史 年表2 (1971∼1980) (0) | 2011.08.19 |
[스크랩] 電力史 年表 1 (1961∼1970) (0) | 201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