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홍보실에서 발간된 "한국 전력사 연표'에는 1866년부터 기록되어 있으나
본 까페에는 3사 통합이후 부터 정리된 자료입니다
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1971 | 1972 | ||
1.15 | 서울지구 기동보수반 발족 | 1.1 | 부속병원 완전 독립채산 경영방식 채택 |
2.2 | 정찬모(鄭燦模), 한전 감사 취임 | 1.4 | 정부투자기관 감사준칙 공포 |
2.3 | 발전함 Resistance호(3만㎾) 필리핀에 매도 | 2.1 | 전기요금 15% 인상(상수도할인 폐지, 특별 |
계약(2. 12 폐소식,3. 5 출발) | 심야요금제 신설) | ||
2.15 | 40만 저전압수용가 보상공사 착수 | 2.2 | ‘월간 한전 ’자진 폐간(경영쇄신 이유) |
2.18 | 상여금을 평균임금에 가산(퇴직금에 반영) | 2.29 | 한전, 동해화력(22만㎾×3) 인수 |
2.22 | 김일환(金一煥)한전 사장 제10회 주주총회서 | 3.4 | 김종주(金鍾珠), 한전 부사장에 취임 |
재선임 | 3.13 | 서울지구 수용가 옥내배전선 무료 점검 | |
3.1 | 남강수력발전소 발족 | 4.15 | 가정전기 상담원제 실시(한전 전임직원 및 |
3.3 | 한전 본사에 서비스센터 개관 | 가족) | |
3.19 | 고리원자력 1호기(58만7,000㎾) 기공식(주민 | 4.17 | 경인에너지 1, 2호기(16만2,400㎾×2) 준공 |
1만여명 참석) | 5.3 | 민전 울산화력(구 동해화력 22만㎾×3), 한전 | |
3.26 | 상공부, 전기공사업면허 기준 대폭 강화 | 이 인수 조인 | |
4.1 | 서울지구 매월 검침제로 환원 | 5.1 | 2,000㎾ 연구용 원자로(TRIGA Mark Ⅲ)준공 |
4.3 | 한전, 전국영업소에 지프차 42대 배분 | 5.3 | 오필원(吳弼元), 전국전력노조 5대위원장에 |
4.1 | 서울화력 4호기(13만7,500㎾) 준공 | 선출 | |
제1회 전기의 날 기념식(상공부령 333호) | 5.31 | 고리원자력 1호기 건설허가 취득 | |
4.26 | 상공부, 전기사업법 위반 불량전기용품 판금 | 5.- | 서귀포내연(500㎾) 폐지 |
조치 | 6.1 | 위탁검침원제도 실시 | |
4.29 | 김성진(金聖珍), 전국전력노조 4대 위원장에 | 7.- | 고현내연 2호기(100㎾) 폐지 |
선출 | 7.- | 서귀포수력(200㎾) 폐지 | |
4.3 | 농어촌전화공사 1,047개 지역(16만3,457호) | 8.1 | 고리원자력 1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완료 | 8.28 | 퇴직금 전액 현금 지급(전력채 지급제 개선) | |
5.9 | 신장기에너지종합대책 마련, 1982년까지 | 8.- | 여수내연(6,250㎾) 폐지 |
60만㎾급 원자력발전소 3기 건설 결정. | 9.1 | 국내 최초 154㎸ 무인변전소(동빙고) 준공 | |
6.1 | 한전, 설비자산 실사착수 | 9.5 | 전화주택요금 할인(다소비수용가정 18%, 전 |
동해전력, 한전과 전력수급 계약 | 기온돌가정 28% 할인) | ||
ADB 차관평가단 내한 | 9.15 | 영월화력 구 시설 폐지, 이사회서 결의 | |
6.9 | 한전 본사~부산 마이크로 웨이브 개통 | 10.12 | 사단법인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설립 |
7.1 | 전자계산소 IBM 360~40형 전자계산 조직 가 | 10.3 | 호남화력 1, 2호기(30만㎾×2) 준공 |
동 | 11.7 | 최대수요전력 200만㎾ 돌파 | |
7.2 | 전자계산기(EDPS) 가동 | 11.11 | 한전, 국내외환자금 차입액 200억원을 연 2% |
7.14 | 허동화(許東華), 한전 감사 취임 | 장기저리로 대환(貸換) | |
7.21 | 김상복(金相福), 한전 제4대 사장에 취임 | 11.15 | 팔당댐 1차 담수 |
7.22 | 남강수력 1,2호기(6,300㎾ ×2) 준공(준공 | 11.24 | 원자력의 민간 이용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
식 8. 17) | 미합중국 정부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체결 | ||
8.5 | 원자로 시설안전심사위 발족 | 12.8 | 전기공급규정 개정(농사용 을-병 신설, 새가 |
8.5 | 태풍 올리브호 전력시설 강타(영동과 중부 | 정 전력, 특정지역 특약 요금제 실시) | |
서부지방 전력시설 5,800 여만원 피해) | 12.2 | 한전, 국내외환자금 차입액 300억원을 연 2% | |
8.9 | 한전, 고정자산 재평가액 57억9,000만원, | 장기저리로 대환(貸換) | |
자본 전입 | 12.2 | 영남화력 1호기(20만㎾) 준공 | |
8.17 | ‘월간 한전’지령 125호로 발행 중단 | 영동화력 1호기(12만5,000㎾) 준공(준공식 | |
8. - | 154㎸ 지중송전선(서울화력~용산S/S) 국내 | 73. 5. 23) | |
최초로 건설 | 12.22 | 최대수요전력 209만7,000㎾ 기록 | |
8. - | 여수내연(6,250㎾) 폐지 | (금요일 19:00) | |
9.6 | 한전, 설비자산 실사 완료(CPR카드 작성 개 | ||
시) | |||
9.19 | 최초의 154㎸ 용산지중송전선 준공(당인리~ | ||
용산 5.04㎞) | |||
9.23 | 인천화력 2호기(25만㎾) 착공 | ||
9.27 | 서울화력 5호기(25만㎾)단락사고로 전계통 | ||
정전 | |||
9.3 | 이륜차(90cc) 150대 신규 구입 배차 | ||
9.- | 고현내연 1호기(100㎾) 폐지 | ||
10.19 | 정부에서 민전(民電)을 한전에 흡수 통합, | ||
운영방침 확정 | |||
10.22 | 호남전력, 발전설비 한전에 인도 | ||
10.3 | 수도공과대학을 홍익학원에 이관 | ||
11.5 | 건설부, 토지매수 ㆍ사용에 따른 손실 보상 | ||
기준 시달(훈령) | |||
11.15 | 고리원자력 1호기(58만7,000㎾) 건설 착공 | ||
(기초굴착 착수) | |||
11.16 | 한전, 서울~제주간 마이크로 웨이브로 대체 | ||
11.27 | 도전(盜電)특별조사단 발족(12. 1부터 활동 | ||
개시) | |||
12.1 | 한전, 수요개발본부 설치 | ||
최대수요전력 177만7,000㎾ 기록 | |||
(금요일 19:00) | |||
12.2 | 대전보급소 개소 | ||
1973 | 1974 | ||
1.12 | 새마을 전화(電化)공사 적용 설계기준 제정 | 1.4 |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공포 |
1.- | 장승포내연(125㎾) 폐지 | 1.5 | 한전, 품질보증 담당기구 설치 |
2.8 | 전기사업법(신)공포(10. 11 시행령 공포) | 1.9 |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발전용 화 |
2.13 | 구 영월화력(10만㎾) 폐지, 상공부서 허가 | 력설비 기술기준령, 발전용 수력설비 기술 | |
2.15 | 제조업에 대해 전기요금 15% 인하 | 기준령, 전기공작물 용접기술기준령, 전기 | |
2.23 | 장성원(張性元), 한전 감사 취임 | 사업법시행규칙, 전기사업령 규칙 공포 | |
3.1 | 한전, 위탁봉사원제 실시 | 1.22 | 고리원자력 1호기 원자로 용기(容器) 현장 |
4.2 | 한전, 73년도 자본 수입(51억1,998만 | 도착 | |
9,000원)에 따라 총 자본 773억3,261만원으 | 1.24 | 전력채권 발행조건 변경(이자지급 1년에서 | |
로 증가 | 2년으로) | ||
4.21 | 장기수요상정과 전원개발 등 전력조사단 용 | 1.28 | 초고압건설사무소 개소 |
역 계약 | 2.1 | 전기요금 30% 인상 | |
5.22 | 산업용 전력요금 24.5% 할인, 전기 궤도용 | (정부, 발전연료 유가 86.6% 인상) | |
(전철) 전력요금제 신설 | 정부, 발전연료 유가 86.6% 인상 | ||
5.31 | 한전, 민전 호남화력(60만㎾) 인수 | 2.4 | 영월화력 구시설 1차 철거공사 완료 |
6.3 | 여수화력 2호기(30만㎾) 착공 | 2.26 | 신기조(辛基祚), 한전 부사장 취임 |
7.12 | 고리원자력 1호기 원자로 격납용기 준공 | 3.1 | ‘월간 한전’ 복간 |
7.15 | 울산화력(구 동해) 3호기(22만㎾) 준공 | 3.7 | 건설부, 호남발전소 후보지 8개 지역 중 충남 |
7.18 | 고리원자력 1호기 격납용기 내압시험 수행 | 아산만, 가로림만, 천수만 등 3개 후보지 | |
8.7 | 신일종합용역(주)과 검침업무 용역 계약 | 예비조사 완료 | |
(10. 1~ 서울 50㎾ 미만) | 3.9 | 상공부, 345㎸ 송변전사업 허가 | |
9.1 | 민전 호남화력(60만㎾) 인수 | 3.23 | 사우디아라비아, 전기분야 및 디젤엔진 분야 |
9.24 | 한국,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국으로 선 | 에 기술진 파견 요청 | |
출 | 3.25 | 22㎸ 지중발전선 건설공사 준공(을지로 S/S | |
9.28 | 한전-수개공(水開公), 소양강수력(20만㎾) | ~신세계백화점앞 700m) | |
전력수급 계약 | 3.29 | 도서지역 전남 완도군 고금낙산도, 신안도, | |
10.1 | 용역 검침 업무 실시(신일) | 압해도 전화사업 착수 | |
220V 승압사업 착수 | 4.5 | 최초의 초고압 변압기(345㎸용) 13대 중 3대 | |
10.1 | 민충식(閔忠植), 한전 제5대 사장에 취임 | 첫 도입 | |
10.11 | 전기사업법 시행령 공포 | 4.11 | 윤재열(尹在烈), 전국전력노조 6대 위원장에 |
10.15 | 소양강수력 1, 2호기(10만㎾×2) 준공 | 선출 | |
11.3 | 전기사업법(보안관계 등) 개정 | 4.29 | 인천화력 3, 4호기용 차관 4억4,000만 프랑, |
11.2 | 에너지소비 억제대책위원회 및 전력사용 합 | 프랑스 B.F 및 B.P와 계약 | |
리화위원회 발족(중동지역 단유/斷油 파동) | 4.3 | 영월화력 1호기 터빈 돌발 폭발 사고 | |
11.22 | 최대수요전력 255만6,000㎾ 기록 | 5.1 | 전기보안규정 제정 |
(목요일 19:00) | 5.3 | 345/154㎸ 송변전 차관 일본 미쯔이와 계약 | |
11.24 | 월성원자력 1호기(67만9,000㎾) 건설계획 | (2,019만3,065 달러) | |
확정 | 5.15 | 한-일 전기협회간 업무기술 교류 합의각서 | |
12.1 | 전기요금 구조개편(5.6%인상효과, 전등 및 | 교환 | |
비산업(非産業)체감제 폐지, 제조업 5%인하 | 6.1 | 청평양수 발전소 니혼 고오에이와 용역 계약 | |
환원, 새가정 전력요금 폐지, 산업용 전력 신 | 6.4 |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시행령 공포 | |
설) | 6.5 | 345㎸ 서서울변전소 부지정지공사 착공 | |
12.11 | 2차 제한송전 실시 | 6.7 | 345㎸ 신여수 송전선로(여수발전소~신대전 |
12.31 | 팔당수력 1, 2, 3, 4호기(2만㎾×4) 준공 | S/S) 건설공사 착공 | |
(준공식 74. 5. 24,박정희 대통령 참석) | 한국전기보안협회 설립 | ||
12.- | 고리원자력 1호기 농축우라늄 공급계약 체결 | (75. 4. 1 한국전기안전공사로 변경) | |
12.- | 장항내연(1,250㎾) 폐지 | 6.3 | 인천화력 2호기(25만㎾) 준공 |
12.- | 성산포내연(1,250㎾) 준공 | 미국 원자력위원회(USAEC)와 고리원자력 | |
3, 4호기 원전연료 농축 계약체결 | |||
7.4 | 흥인, 방산, 서대문 변전소 용지 처음으로 토 | ||
지수용령 적용 | |||
7.6 | 태풍 길다호 발ㆍ송ㆍ변ㆍ배전설비에 피해 | ||
(부산화력 특히 많은 피해 약 820만원) | |||
7.15 | 전기용품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공포 | ||
7.18 | 345㎸ 초고압송변전 건설공사 기공식(화성 | ||
군 반월면) | |||
7.2 | 345㎸ 신옥천변전소 M.Tr 조립공사 착공(9. | ||
12 완공) | |||
8.1 | 한전, 전기보안협회와 조사업무위탁 계약 | ||
8.7 | 유공과 발전용 연료 수입공급 계약 | ||
8.2 | 청평양수 기술용역 계약 정식 승인 | ||
8.29 | 태풍 폴리처, 전남과 제주지방 강타(배전설 | ||
비 피해 2,018건 2,700여 만원) | |||
9.24 | 인천화력 2호기 발전용 연료 벙커C유 단일 | ||
판매 계약(경인에너지) | |||
10.1 | 보수규정 임금 25% 인상, 퇴직금 일원화 | ||
10.15 | 전력학원 창립 50주년 기념식(수도공고) | ||
10.17 | 한아공영(주) 발족(발전설비 보수 전담) | ||
10.19 | 한국-프랑스 원자력 평화적 이용 협력협정 | ||
체결 | |||
10.25 | 고리원자력 1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
11.1 | 345㎸ 신울산송전선로 3공구 착공 | ||
(철탑 143기) | |||
11.4 | 부산화력 매연공해 보상비 지불(1,440만원) | ||
11.11 | 전기기술정보센터 개소 | ||
12.5 | 전력제한 송전 35일간(누계) | ||
경기 및 충청지구에 100만㎾ Trip 계통 중대 | |||
사고(72. 9. 27 계통사고 이후) | |||
12.7 | 전기요금 인상(수용가 부담 42.4%, 한전 인 | ||
상률 55.9%)및 요금구조 대폭 개편 정비(세 | |||
금 10% 인하) | |||
12.1 | 화천수력 최저수위 도달(156.8m) | ||
최대수요전력 292만2,000㎾ 기록 | |||
(화요일 19:00) | |||
12.12 | 전자계산기 기종의 대폭 확장을 위한 임대 | ||
설치 계약 | |||
12.16 | 삼청동 한전사장 공관 총리 공관으로 매매 | ||
계약 | |||
12.2 | 인천화력 2호기(25만㎾) 준공 | ||
12.23 | 전기용품 종합전시관 설치 | ||
12.26 | 내무부, 강화 서도면에 풍력발전 성공 | ||
농어촌 전화용 차관 2억7,700만 엔 일본 | |||
OECF와 계약 | |||
12.31 | 고리원자력 1호기 농축우라늄 공급협정 서명 | ||
12.- | 제주내연(7,500㎾) 증설 준공 | ||
12.- | 성산포내연(1,250㎾와 180㎾) 폐지 | ||
12.- | 목포내연(5,000㎾) 폐지 | ||
1975 | 1976 | ||
1.1 | 전기공급규정 개정(표준공사비 단가인상, | 1.1 | 전기공급규정 개정(표준공사비 14.8% 인상, |
수용가 역률개선 보강, 소비성 수용에 괴량 | 연체료 가산 일수 규정, 일수계산법 30일을 | ||
별 체증제/遞增制) | 역일제/歷日制로) | ||
1.7 | 도서지구 전화사업(완도군 고금약산 3,374 | 한전, 국내기업 최초의 온라인 업무 개시 | |
호) 준공 송전 | 1.5 | 임시주주총회 임원 선임(김영준/金榮俊, 곽 | |
1.18 | 새마을부녀회 창립(지회 57,회원 7,000명) | 문곤/郭文坤, 이민환/李珉煥이사, 이남주/ | |
1.27 | 캐나다원자력공사(AECL)와 월성원자력 1호 | 李南周감사) | |
기 공급계약 체결 | 전자계산기 FACOM 230-45S 가동으로 체제 | ||
1.3 | 한전, 컴퓨터시스템 확장(요금조정 전국화 | 강화 | |
위해 IBM을 FACOM-45S 로 변경 계약) | 1.8 | 이남주(李南周), 한전 감사 취임 | |
1.- | 광주내연(2,160㎾) 폐지 | 1.12 | 김영준(金榮俊), 한전 제6대 사장에 취임 |
1.- | 성산포내연(550㎾) 폐지 | 1.16 | 월성원자력 1호기 건설차관 변경계약 체결 |
2.3 | 도서지구 전화사업(신안군 압해도 1,805호) | (김주영 캐나다 대사EDC총재,발효:76. 1. | |
준공, 송전 | 26) | ||
345㎸ 신여수송전선 제4공구 착공(47.2 ㎞, | 1.26 | 한국-캐나다 원자력 평화적 이용 쌍무협정 | |
철탑119기) | 서명 발효 | ||
2.5 | 발전연료용 벙커C유 사우디아라비아와 직수 | 2.2 | 삼랑진양수건설 ADB 승인 |
입 계약 | 2.28 | 한전, 장기재무구조 개선대책을 경제장관 | |
3.1 | 전력량계(電力量計) 옥외부설 시범운영 확 | 간담회에 상정 | |
정 | 2.- | 영남가스터빈(3만㎾) 폐지 | |
3.19 | 동해안 폭풍으로 고리원자력 건설 현장 냉 | 3.2 | 캐나다 몬트리올 사무소 개설 |
각수 도수로 cell#4 도괴, 템프레이트 2 | 3.25 | 한전과 산개공(産開公), 안동수력 전력 수 | |
part 수몰 | 급계약 조인 | ||
3.27 | 수개공, 대청수력(9만㎾) 건설 착공 | 76년도 포괄증자 신주 청약 마감 | |
3.31 | 여수화력 1호기(20만㎾) 준공 | (91,436,802주) | |
4.4 | 한국원자력발전공사법 공포 | 3.29 | 홍콩 C.ITOH와 345㎸ 서서울 송전선 기자재 |
4.1 | 서울화력 3호기 복구공사 준공 | 공급 계약 | |
4.12 | 고정자산 재평가사무처 설치 | 3.31 | 한전, 76년부터 영업세와 법인세 면제(조세 |
4.25 | 대한전기협회, 제1회 원자력발전 세미나 개 | 감면규제법 개정에 의거 70억원 절감) | |
최 | 4.8 | 한전 전력사업에 산업기지 개발촉진법 적용 | |
5.1 | 인천화력 3호기(32만5,000㎾) 착공 | 4.15 | 월성원자력 1호기 사업 허가 승인(상공부) |
TTY실 개통(본사 5대, 21개 사업소 각 1대) | 4.27 | 고리원자력 1호기 발전기 설치 착수 | |
5.28 | 월성원자력 1호기 건설차관 협정 | 성낙정(成樂正), 한전 부사장 취임 | |
5.- | 일본 원자력산업회의(JAIF)에 가입 | 4.- | 추산수력 제2발전소(100㎾×2) 착공 |
6.13 | 직장새마을금고 창립 총회(기금목표 1억2천 | 5.1 | 서울지구에 전기요금 첫 은행 수납제(收納 |
만원) | 制) 실시(재경 4개 지점, 5개 영업소 내 | ||
6.15 | 고리원자력 1호기 터빈설치 착수 | 73만호) | |
6.17 | 월성원자력 1호기 건설부지 확정(경북 월성 | 안흥소수력 1, 2, 3호기(150㎾×3) 착공 | |
군 양남면 나아리) | 5.8 | 한전, 경영개선 자문 및 영업조직 관리개선 | |
6.19 | 서울화력 5호기 보수공사 착공(보일러 튜브 | 연구용역 계약(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 |
전면 교체, 연돌 보수) | 5.13 | 영업업무규정 일부 개정(50㎾ 이하 수용가 | |
6.27 | 한전 사원 도전 자진정화기간 설정 | 내선공사 이전에 수용 신청할 수 있도록 절 | |
6.3 | 여수화력 1호기(20만㎾) 준공 | 차 변경) | |
7.3 | 대만전력, 초고압시찰단(12명) 내한 | 5.26 | 76년도 송-배전 차관 기자재 공급 계약(홍 |
한전, 열관리사 48명 선임(1급 17명, 2급 | 콩:C. ITOH, TAKKA) | ||
31명) | 5.- | 자원개발연구소 발족(1918. 5 지질조사소로 | |
7.11 | 외자(外資)국산화대체 추진반 신설 | 출발, 1981. 2 한국동력자원연구소로 변모) | |
7.14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개발과 응용을 위한 | 6.1 | 부산시에 전기요금 은행수납제 실시(수용호 |
대한민국 원자력위원회와 스페인 원자력위 | 수 27만호) | ||
원회간 보증 협정 | 연천수력발전소(3,000㎾×2기) 현대건설에 | ||
7.26 | 영월화력 철거 4호터빈 로터, 영월공고에 | 서 착공 | |
실습교재로 기증 | 6.4 | 삼랑진양수 건설 타당성 조사용역 계약 | |
7.3 | 광화문 아취, 서울시에 이관 | 6.6 | 초급 간부 대량 채용고시 실시(합격자 360 |
8.1 | 정부, 전기공사업법령 개정 정비 착수 | 명) | |
8.5 | 345㎸ 신옥천변전소 준공 | 6.1 | 한전, 대만전력공사와 연수교류 협정 체결 |
8.11 | 154㎸ 북부산~고리원자력 송전선로 준공 | (김영준/金榮俊사장 대만방문) | |
(30.229 ㎞,철탑 112기) | 6.12 | 정부, 제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발표(전력 | |
8.13 | 최대수요전력 300만㎾ 돌파 | 부문:81년 말까지 설비용량 9,905㎿ 계획, | |
(오후 9시 301만7,000㎾,72.11.7 200만㎾) | 총 투자액 2,994억원) | ||
8.15 | 서울화력 154㎸ 지중 송전선로 인출장치 공 | 6.27 | 군산-영월복합화력 건설 기자재 국산화 사 |
사 준공 | 전 신고(군산 19.13%, 영월 19.34%) | ||
9.1 | 한전, 공공사업용지 보상규정(이주비 및 대 | 6.3 | 청평양수용 차관 122억 엔 일본 |
책) 제정 | MARUBENI와 계약 | ||
청평양수 1, 2호기(20만㎾×2) 착공(기공식 | 7.1 | 통영지점 사옥 준공 | |
77. 5. 10) | 7.7 | 영동화력 2호기 기자재 공급 계약(국내 최 | |
9.15 | 345㎸ 초고압 신여수 송전선로 준공 | 초로 일괄도급 방식) | |
(74. 6. 7 착공, 189.3 ㎞, 철탑 487기, | 7.14 | 군산-영월 복합화력 건설 기본재 도입 계약 | |
28일 운전 개시) | (미국 G.E) | ||
9.16 | 김종호(金鍾鎬), 전국전력노조 7대 위원장 | 8.1 | 한전, 자재 자동보급제도 실시 |
에 선출 | 뉴욕-파리사무소 설치 | ||
10.1 | 검침 동시수금제 시험 실시(76. 3. 31까지 | 8.5 | 전력수급 불균형 문제 매스컴의 빅뉴스로 |
시한부로 5개 벽지 출장소) | 등장, 비상전력수급대책본부설치 | ||
한국원자력기술(주)설립 | 8.1 | 345㎸ 신울산~신옥천 송전선로 준공(74. 4. | |
김종주(金鍾珠) 한국원자력기술(주) 초대사 | 22 착공, 202.3km, 철탑 515기) | ||
장에 취임 | 8.11 | 제주수력 건설 지자재 국산화 사전 신고 최 | |
10.21 | 월성원자력 1호기 건설사무소 개소 | -60.59% | |
10.31 | 한국-IAEA 안전조치협정 체결(발효:75. 11. | 안동수력 1, 2호기(4만5,000㎾×2) 준공 | |
14) | 8.14 | 154㎸ 성동~흥인 지중 송전선로 준공(국내 | |
11.12 | 섬진강수력 운암발전소 보수공사(국내 처음 | 초 POF 선로) | |
으로 권선 교체) | 경제장관 간담회, 한전공사화 방침 결정 | ||
11.26 | 도로점용요율 개선작업 완료(건설부 훈령 | 8.16 | 계약직원 제도 신설(특수기술 요원 확보책) |
제108호 개정) | 8.17 | 한전, 장기재무구조 개선대책 경제장관회의 | |
12.1 | 전기요금 종합평균 10% 인상(소비절약 제도 | 상정 의결 | |
적 확립) | 8.2 | 영동화력 2호기(20만㎾) 착공 | |
12.4 | 한전, 민충식(閔忠植)사장 등 임원 이임(신 | 8.22 | 154㎸ 주요계통 원격계기 시설공사 준공 |
기조/辛基祚부사장 임시주주총회시까지 사 | 8.23 | 고리원자력 1호기 원자로 냉각재 계통 수압 | |
장 직무대행) | 시험 완료 | ||
12.12 | 최대수요전력 335만1천㎾ 기록(금요일 | 8.26 | 모사전신기(模寫電信機)시설 준공 |
19:00) | 8.27 | 154㎸ 당인리~순화동 지중 송전선로 준공 | |
12.18 | 청평양수 1, 2호기(20만㎾×2) 착공 | (국내 최초 POF선로) | |
12.31 | 정부, 공공용지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 8.3 | 영동화력 2호기용 차관 155억 엔 일본 CIT |
특별법 시행 | 와 계약 | ||
사천지점 사옥 준공 | 9.3 | 제1차 전력수급 합동회의 | |
12.- | 진도내연(500㎾) 폐지 | 9.6 | 부산-대전전력소 신설(개소식 11. 1) |
12.- | 75년도 전화율(電化率) 65% 기록 | 9.11 | 국내 최초로 154㎸ 옥내 순화동 변전소 준 |
12.- | 국제 원자력 표준규격 정보센터(ICONS) 가 | 공 | |
입 | 9.15 | 전력수급문제 심각, 절전 가두 캠페인 실시 | |
(3일간) | |||
9.23 | 전력채 일반공모분 발행 중지(목표액 달성 | ||
으로 97회분으로 중지) | |||
성낙정(成樂正), 한전 부사장 재선임 | |||
9.27 | 서독 MAN과 영월화력 1호기 복구 기자재 공 | ||
급 계약 | |||
9.28 | 한전, 안동수력 전력수급 계약 | ||
9.3 | 영주지점 사옥 준공 | ||
10.4 | 한전법 개정안 국회서 논란 | ||
10.12 | 이해(李楷), 한국전력기술(주) 2대 사장 취 | ||
임 | |||
한전 새마을 합창단 결단 | |||
10.15 | 서천화력발전소 1, 2호기(20만㎾×2기) 착 | ||
공 | |||
10.18 | 영동화력 2호기(20만㎾) 착공 | ||
한전, 원유가 인상에 대비, 벙커C유 22만 | |||
6,400㎘를 연말까지 단계적 비축 조치 | |||
영동화력 2호기(20만㎾×2) 착공 | |||
10.19 | 부산, 서울, 광주를 잇는 EDPS 온라인시스 | ||
템 가동식 | |||
10.2 | 345㎸ 신여수 송전선로 운전 개시(초고압시 | ||
대 개막) | |||
10.28 | 안동수력(9만㎾) 준공 | ||
10.- | 군소 가스터빈(합계 3만㎾) 준공 | ||
10.- | 한림내연(1만3,100㎾) 준공 | ||
10.- | 제주내연(9,170㎾) 폐지 | ||
11.1 | 전기요금 종합평균 15% 인상 | ||
중소도시 9개시 전기요금 은행 수납제 실시 | |||
,(대구, 수원, 인천, 대전, 청주, 춘천, 전 | |||
주, 강릉, 군산 38만호) | |||
11.4 | 군산 및 영월복합화력 건설차관 계약(미국 | ||
EXIM 외 18개 은행) | |||
11.5 | 자동급전시스템 설비 차관 계약(미국 Leads | ||
&Northrup) | |||
11.14 | 고리원자력 2호기 차관 및 건설계약(미국 | ||
WELCO,영국 GEC) | |||
고리원자력 2호기 원전연료 성형가공 계약 | |||
(미국 웨스팅하우스) | |||
11.18 | 송전선로 긴급복구용 헬기, 345㎸ 신여수 | ||
T/L 시험 비행 | |||
11.23 | 최대수요전력 380만7,000㎾ 기록(화요일 | ||
19:00) | |||
11.25 | 제1차 대만전력연수단 내한 | ||
345㎸ 2차공사 지자재 공급 계약(영국 GEC) | |||
11.27 | 345㎸ 신고리 송전선로 준공(76. 2. 1 착공 | ||
, 23.1km, 철탑 63기) | |||
영월 및 군산복합용 차관 1억 2,900만 달러 | |||
미국 EXIM 및 CHEMICAL과 계약 | |||
11.3 | 영월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5만 | ||
㎾×4) 착공 | |||
12.1 | 345㎸ 서서울변전소 준공 | ||
평택화력 1, 2호기(35만㎾×2) 착공 | |||
전기요금 1.5% 인상 | |||
12.7 | 제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수정 발표(전력 | ||
부문:81년 말 설비 10,025㎾, 총투자액 2조 | |||
4,786억원) | |||
12.1 | 한국-스페인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 ||
12.11 | 한전법 개정법률안 국회상공위서 통과 | ||
12.17 | 전기공사업법(면허기준 등) 개정 | ||
12.29 |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 설립 | ||
12.31 | (신)전기공사업법 공포(77. 11. 15 시행) | ||
12.- | 한전법 일부 개정 공포(법률 제2987호, 포 | ||
괄증자제도 폐지, 민간 소유주식 정부매입 | |||
규정 신설, 부사장 1인 증원) | |||
12.- | 제주내연(3,930㎾) 폐지 | ||
12.- | 광주내연(9,170㎾) 폐지 | ||
1977 | 1978 | ||
1.1 | 한전,민간주 매입 개시 | 1.1 | 동력자원부 발족 |
1.6 | 345㎸ 신울산 변전소 준공 | 한전, 재무 및 자금회계업무 전산처리 개시 | |
1.2 | 영동화력 저탄조 붕괴 사고 | 한전, 주부모니터 운영(재경 10명, 전화응 | |
1.26 | 특정지역, 특약 전력요금 규정 및 동 시행 | 대를 매월 점검) | |
세칙 폐지(적용시한 76. 12. 31 만료) | 1.16 | 남부지점 사옥 준공 | |
1.31 | 청평양수 Penstock Tunnel 준공 | 1.18 | 특성화공고(수도전기공고) 신입생 첫 모집 |
2.1 | 첨두부하억제 전기요금제도 도입(3종계기 | (301명) | |
부설 11. 1적용) | 1.19 | 원자력 시뮬레이터 도입 계약(EAT와 공기/ | |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 발족 | 工期 78. 11. 9~79. 6. 30) | ||
2.9 | 소동력업체 전력사용 평준화 위해 요일별 | 특별 심야전력(深夜電力) 시행 연장(78. 3. | |
휴무 지정 | 10~85. 6. 30) | ||
2.1 | 한전, 자동교환(DDD)설비 준공 | 1.2 | 영업수납금 ㆍ체납요금 등 은행수납제 실시 |
2.25 | 김승근(金承根), 한전 부사장 취임 | (제주, 삼천포 제외 전국 33개시 갑급(甲級 | |
2.28 | 345㎸ 서서울 송전선로 준공(75. 7. 22 착 | )출장소 이상 77개 사업장) | |
공, 150.2km, 철탑 368기) | 1.3 | 해상 원자력발전소 부지조사 계약(대한엔지 | |
3.1 | 고리원자력 2호기(65만㎾) 착공 | 니어링(주)) | |
3.3 | 학원특성화 추진반 신설 | 2.1 | 영동지점 사옥 준공 |
3.1 | 울릉도내연(450㎾) 준공 | 2.15 | 월성원자력 1호기 건설허가 취득 |
3.14 | 정부, 사우디아라비아 전화사업에 참여계획 | 2.24 | 이남주(李南周), 한전 감사 유임 |
발표 | 2.26 | 강태홍(姜泰弘), 한전 부사장 취임 | |
3.15 | 자가발전 보상규정 제정 | 3.4 | 고리원자력 1호기 100% 출력 성능 시험 |
3.16 | 154㎸ 도봉~종암간 송전선로 준공 | 3.1 | 100/220V 겸용 기기 생산 법제화 추진(동력 |
3.18 |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및 전기설비 기술 기 | 자원부장관 결재) | |
준령 개정(개별 점멸 장치 의무화) | 3.21 | 영월복합화력 스팀터빈 1호기(10만㎾) 착공 | |
3.25 | 고리원자력 2호기 EXIM 및 Euro차관 계약 | 4.1 | 전국에 송변전 보수센터 14개소 설치 |
3.26 | 군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5만 | 서울시내 8개 지점 발족(서부, 남부, 중부, | |
㎾×4) 착공 | 성동 승격) | ||
군산복합화력 스팀터빈(10만㎾) 착공 | 4.3 | 고리원자력 3, 4호기 원자로 공급 계약(용량 | |
3.3 | 154㎸ 현저변전소~순화변전소간 지중 송전 | 각 95만㎾ 국내 처음 넌턴키 방식 미국 W.H) | |
선로 준공 | 4.12 | 지중선사무소 개소 | |
3.- | 왕십리내연(2,600㎾) 폐지 | 4.13 | 승압사무소 개소 |
3.- | 군소내연(종합 2,600㎾) 준공 | 4.29 | 고리원자력 1호기(58만7,000㎾) 준공 |
4.9 | 카터, 고속증식원자로 중단 등 새 핵정책 | 북부지점 사옥 준공 | |
선언 | 4.3 | 안흥소수력(150㎾ ×3) 준공 | |
4.15 | 울산복합화력 및 부평내연 기자재 공급계약 | 5.1 | WASP모형 활용한 수정 장기전원개발계획 |
청도지점 사옥 준공 | 성안(成案)(86년까지 2만 686㎿ 목표) | ||
4.18 | 고리원자력 2호기용 차관 1억 3,290만 달러 | 가정용 전압 220V로 승압계획 확정(82년까 | |
영국 F.C와 계약 | 지 314만호에 416억원 투입) | ||
고리원자력 2호기용 차관 미국 PEFCO 및 | 고리원자력 3, 4호기 터빈 및 발전설비 공 | ||
EXIM과 2억4,850억 달러, 영국 LAZARD와 | 급 계약(영국 GEC), A/E용역 계약 | ||
7,249억 루불 계약 | 78년도 민간주 매입 일정 확정(250억원 6. | ||
4.22 | 154㎸ 순화~중앙 지중 송전선로 준공 | 12부터) | |
4.23 | 고리원자력 1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착수 | 현경호(玄京鎬), 한국전력기술(주)4대 사장 | |
4.26 | 고리원자력 1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완료 | 취임 | |
4.29 | 154㎸ 중앙~흥인 지중 송전선로 준공 | 5.4 | 청평양수 수압관로 터널 굴착공사 준공 |
4.3 | 345㎸ 초고압 송변전공사 준공식(국내기술 | 5.8 | 전기보안검사규정 제정 |
로 동양서 3번째) | 5.11 | 한해(旱害)대책 특별지원(한해대책용 기기 | |
울산화력 4, 5, 6호기 외자차관 계약(대우 | 제조업체 무정전 공급, 공사비 부담시기 등 | ||
중공업, 스위스 BBC사, 서독 LCS) | 예외조치) | ||
5.1 | WASP 기법 실용화 | 5.24 | 345㎸ 영서변전소 개소 |
5.3 | 월성원자력 1호기(67만8,700㎾) 착공(기초 | 5.28 | 가정용 전압 220V 승압 계획 확정(동력자원 |
굴착 착수) | 부) | ||
5.7 | 평택화력 1, 2호기 차관 계약(현대건설, 일 | 5.- | 전국 전력노조 창립일을 경전노조 창립일인 |
본 마루베니) | 1946년 11월 24일로 변경 | ||
5.9 | 영월복합화력 건설용 중화물(重貨物)260톤 | 하동지점 사옥 준공 | |
장거리(인천~영월) 280km 대수송 작전 | 6.1 | 총 발전시설용량 659만㎾로 조정(11만 | |
5.13 | 전원개발 및 전력공급에 관한 기술개발 용 | 2,000㎾ 감축) | |
역(78. 5. 12까지) | 인천화력 3호기(32만5,000㎾) 준공(준공식 | ||
5.16 | 김종호(金鍾鎬), 전국전력노조 위원장에 재 | 79. 4. 28) | |
선 | 6.3 | 충주수력(10만㎾×4기, 6,000㎾×2기) 착공 | |
5.2 | 고리원자력 2호기(65만㎾) 기공식 | 6.5 | 중앙변전소 사옥 준공 |
5.23 | 울산복합화력(32만㎾) 착공 | 6.7 | 345㎸ 서대구 송전선로 준공(77. 5. 10 착 |
5.26 | 울산화력 4, 5, 6호기(40만㎾×3) 착공(기 | 공, 50.4km, 철탑 126기) | |
공식 12. 16) | 7.18 | LA사무소 신설 | |
5.- | 군소내연(종합 5,000㎾) 준공 | 추산수력 제2발전소(100㎾×2) 준공(전체 | |
6.1 | 장기 재무전산화 개발 완료 | 시설용량 1,400㎾) | |
전기요금 은행수납 3차 확대 실시(마산 외 | 7.2 | 고리원자력 1호기(58만7,000㎾) 준공식 및 | |
10개 시) | 고리원자력 3, 4호기 기공식 | ||
6.3 | 한전법 시행령 개정(민간주 매입 및 관련규 | 7.3 | 345㎸ 북부산 송전선로 준공(77 .5. 10 착 |
정 개정) | 공, 40.6km, 철탑 110기) | ||
6.14 | 154㎸ 서울화력~성동 S/S간 지중 송전선로 | 8.8 | 프랑스 전력공사와 교육훈련기술 협정 |
준공(서울 도심 관통 19.1km) | 8.17 | 경제장관회의에서 한전 부족자금 대책 결정 | |
6.15 | 월성원자력 1호기(67만8,700㎾) 기공식 | 8.18 | 345㎸ 영서송전선로 준공(77. 7. 20 착공, |
6.19 | 고리원자력 1호기 초임계(初臨界) 도달 | 17.5km, 철탑 42기) | |
6.3 | 고리원자력 1호기 최초 발전 개시 | 8.28 | 22.9㎸-Y 자동 루프 운전방식 기준 제정 |
여수화력 2호기(30만㎾) 준공(준공식 7. 22) | (79년부터 도입 예정) | ||
6.- | 남제주화력 1, 2호기(1만㎾×2) 착공 | 9.1 | 345㎸ 북부산변전소 준공 |
7.1 | 전기요금 4.54% 일률 인하(부가가치세 간접 | 9.23 | 전기요금 종합 평균 12.1% 인상 |
부담 감소) | 9.- | 154㎸ OF케이블 국내 최초 개발(대한전선) | |
지장전주(支障電柱) 이설공사비 부담 및 도 | 10.12 | 상공부 도입기계시설 국산화 추진요강 공고 | |
로점용요율 조정 시행 | 10.15 | 서천화력 1, 2호기(20만㎾×2) 착공 | |
7.8 | 5년단기 승압 시행계획 확정(110/220V 겸용 | 10.24 | 고리원자력 1호기 첫 정기 보수 |
기기생산 법제화 추진) | 10.25 | 삼천포화력발전소 1, 2호기(56만㎾×2) 착 | |
7.15 | 남제주화력 1, 2호기(1만㎾×2) 착공 | 공 | |
7.18 | 김승근(金承根), 한전 부사장 이임 | 11.2 | 한국전력학원, 수도중학과 마포여중 삼문학 |
7.19 | 울산화력 4, 5, 6호기용 차관 스위스 | 원에 양도 | |
U.B.S와 3억 4,000만 스위스 프랑 및 서독 | 11.11 | 서해화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현대 | |
K.F.W와 1억 3,500만 마르크 계약 | 양행과 국내 최초 분할 발주방식) | ||
7.21 | 울산 복합화력 및 부평내연 기자재 차관 계 | 11.13 |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4억 달러 홍콩 |
약(미국 수출입은행 외 10개 은행 6,120만 | C.M.A.L과 계약 | ||
달러) | 11.18 | 고리원자력 2호기 건설허가 취득 | |
7.28 | 제기동 사원아파트(120세대) 준공 | 11.19 | 서울시내 간선도로변 배전선로 지중화 공사 |
7.3 | 하기(夏期)부하 억제용 애니메이션 제작 방 | 착공 | |
영(KBS-TV) | 11.21 | 345㎸ 울산화력 송전선로 준공(78. 2. 18 | |
8.1 | 전국 시(市)수용가의 전기요금 은행 수납제 | 착공, 51.5km, 철탑 149기) | |
실시 완료(33개 시/市) | 11.3 | 인천화력 4호기(32만5,000㎾) 준공(준공식 | |
8.8 | (주)한전보수공단 발족(한전, 한아공영 매 | 79. 4. 28) | |
수 개칭) | 12.4 | 영광원자력 1, 2호기 기상관측소 신축공사 | |
8.2 | 고리원자력 1호기 송전식 | 착공 | |
8.22 | 윤용구(尹容九), 한국전력기술(주)3대 사장 | 12.5 |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공포 |
에 취임 |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2억 883만 달러 | ||
8.29 | 여수화력 누유(漏油)큰 사고(벙커 C유 1호 | 미국 C.M.A.L및 C.M과 계약 | |
저장탱크서 600드럼 유출) 남해지점 사옥 | 12.21 | 최대수요전력 511만8,000㎾ 기록(목요일 | |
준공 | 19:00) | ||
8.3 | 울산복합용 차관 6,053만 달러 미국 EXIM, | 12.26 | 345㎸ 동서울 송전선로 준공(77 .8. 5 착공 |
CITI BANK, APCO와 계약 | , 59.6km, 철탑 270기) | ||
9.1 | 평택화력 1, 2호기용 차관 202억 엔 일본 | 12.28 | 에너지(연),중수로 핵연료장전관 시제(試製 |
마루베니와 계약 | ) 완성 | ||
인천화력 4호기(32만5,000㎾) 착공 | 12.3 | 부산화력 1, 2호기 성능 감소(6,000㎾×2) | |
9.2 | 주부모니터제도 시행 | 울산화력 1, 2, 3호기 성능 감소(2만㎾×3) | |
9.16 | 수도공고를 수도전기공고로 교명 변경(특성 | 호남화력 1, 2호기 성능 감소(2만㎾×2) | |
화 공고로 개편) |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공포 | ||
9.21 | 한전, 제1차년도 민간주 매입 완료(250억원) | ||
10.28 | 상공부, 115개 국산화 가능품목 고시 | ||
10.3 | 피크타임 전력요금제 12월부터 실시 발표 | ||
월성원자력 1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
10.31 | 부평내연(5만5,000㎾) 준공 | ||
10.- | 울릉도내연(450㎾) 준공 | ||
11.1 | 자산회계 전산화 업무 시스템 개발 완료 | ||
11.4 | 평택화력 1, 2호기(35만㎾×2) 착공(국내 | ||
최초 일괄계약 방식) | |||
11.11 | 이리역 폭발사고로 이리영업소 건물 및 배 | ||
전설비 피해 | |||
11.19 | 전기공사업법 시행령 개정(전기사업자가 직 | ||
접 시행할 수 있는 전기공사의 범위 한정) | |||
11.21 | 집단 정전시 수용가 안내용 자동응답장치 | ||
설치 운영 | |||
11.25 | 345㎸ 신인천 송전선로 준공(76. 9. 1 착공 | ||
, 41.7km, 철탑 92기) | |||
11.26 | 재무회계 전산화 시스템 개발 완료 | ||
11.28 | 345㎸용 차관 39억 엔 일본 OECF와 계약 | ||
11.3 | 서울 및 성남시 수금업무 전산처리시스템 | ||
개발 완료 | |||
12.1 | 100㎾ 이상 수용가 요금조정 전산처리 개시 | ||
(1만4,200호) | |||
전직원에 2호봉 특별승호 | |||
발전용 경유 특별소비세(10%) 면세 | |||
최대수요 조절요금제 실시(산업용 계약 최 | |||
대전력 500㎾ 이상 고객) | |||
12.9 | 154㎸ 송현~인천 지중 송전선로 준공 | ||
12.1 | 영월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5만 | ||
㎾×4) 준공 | |||
철원지점 사옥 준공 | |||
12.12 | 일괄도급공사 계약에 따른 특례기준 제정 | ||
12.16 | 울산화력 4, 5, 6호기 및 평택화력 1, 2호 | ||
기 일괄도급 계약 | |||
전기공사업법 시행규칙 공포 | |||
12.21 | 최대수요전력 418만7,000㎾ 기록(수요일 | ||
19:00) | |||
12.22 | 울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5만 | ||
5,000㎾×4) 준공 | |||
12.23 | 고리원자력 2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
12.28 | 군산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5만 | ||
㎾×4) 준공 | |||
1979 | 1980 | ||
1.16 | 장기전원개발계획 확정 | 1.1 | 미국 원자력산업회의(AIF)에 가입 |
1.3 | 해상 원자력 부지조사 완료 | 전기공급규정 개정(신증설 표준공사비 및 | |
2.1 | 출장소지역 검침업무제도 개선(위탁수금원 | 한전 부담금 인상) | |
제 실시) | 1.7 | 80년 GNP 하향조정에 따른 전력수요 예측 | |
2.5 |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8,950만 달러 | 수립 | |
영국 LAZARD와 계약 | 정부, 조력발전소 제1후보지 가로림만(加露 | ||
2.16 |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7억2,000만 달 | 林灣)에 82년 착공, 88년 준공계획 발표 | |
러 미국 EXIM과 계약 | 1.8 | 동자부, 3월 1일부터 피크타임 전력제 300㎾ | |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4,400만 달러 | 이상으로 확대적용 결정(종전 500㎾ 이상) | ||
미국 PEFCO와 계약 | 1.1 | 충북 다목적댐 기공(2,700억원 소요, 85년 | |
2.21 | 삼천포화력 1, 2호기(56만㎾×2)기자재 공 | 완공, 40만㎾ 수력발전소 건설) | |
급 계약(현대양행 일괄 도급 계약) | 1.15 | 김천지점 사옥 준공 | |
3.1 | 220V 승압시행요령 제정 | 1.18 | 수안보 사원 생활관 착공(충북 중원군 상모 |
3.9 | 전기요금 12%(종합 평균) 인상 | 면 온천리) | |
3.19 |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시행규칙 공포 | 1.31 | 청평양수 2호기(20만㎾) 준공(준공식 8.16) |
3.28 | 미국 드리마일도 원자력발전소서 방사능 누 | 1.- | 미국원자력기구(NEI)에 가입 |
출 사고(비상사태 선언) | 2.1 | 서울화력 4호기 중유전소 개조공사 착공 | |
3.31 | 자동송전시스템 시운전 | 전기요금 종합 평균 35.9% 인상 | |
4.4 | 배전선로 이동보수반 운영(36개조) | 2.5 | 캐나다 크로우스 네스트와 보령화력 1, 2호 |
4.6 | 전력경영기법(電力經營技法)의 총체적 모형 | 기 유연탄 장기공급 계약(83년부터 10년간 | |
(模型)개발 용역(~10. 5 한국개발연구원) | 연 40만 톤) | ||
4.9 | 고리원자력 3, 4호기(95만㎾×2) 착공 | 2.11 | 알젠틴 원자력위원회(CNEA)와 기술협정 체 |
4.18 | 154㎸ 삼천포 분기 송전선로 준공 | 결 | |
4.2 | 제1회 원자력자문위원회 개최 | 한전, 인도네시아전력공사와 전력사업 협력 | |
4.3 | 서천화력 1, 2호기용 차관 4,200만 달러 미 | 협정 체결 | |
국 EXIM과 계약 | 2.14 | 표준공사비 적용 배전선로 간소화를 위한 | |
5.1 | 평택화력 3, 4호기(35만㎾×2) 착공 | 관계 규정 개정 | |
5.2 | 한국-호주 우라늄 공급협정 체결 | 조력발전소 건설 타당성 조사 | |
월성원자력 1호기용 차관 2억 달러 캐나다 | 2.15 | ‘한국전력 20년사’ 편찬 착수 | |
EDC 및 ROYAL과 계약 | 2.2 | 영광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8억5,700만달 | |
5.7 | 154㎸ 아산~평택 송전선로 준공 | 러 미국 EXIM 및 PEFCO와 계약 | |
5.9 | 한전, 일본 해외전력조사회와 기술협력(일 | 2.21 | 정부,2,000㎾ 이하 소수력발전소 개발계획 |
본지역 파견 훈련)협정 체결 | 발표(전국 가능지역 2,400개소) | ||
5.11 | 울릉도내연 부지정지공사 착공 | 2.26 | 이남주(李南周), 감사 연임 |
주상기기(柱上機器) 일정기간 경과분 점검 | 2.28 | 345㎸ 서대구 변전소 준공 | |
교체제 실시(변압기 10년, 개폐기 5년, 애 | 2.29 | 345㎸ 부마송전선로 준공(78. 9. 13 착공, | |
자류 8~10년) | 60.3km, 철탑 170기) | ||
5.18 | 기술문헌정보 자체검색 시스템 도입터 | 3.5 | 영광원자력 1, 2호기 발전소 부지정지 1차 |
(KORSTIC 보유 테이터 약 19만건, 10. 1부 | 공사 착공 | ||
일괄 처리) | 3.6 | 345㎸ 울산화력 송전선로 준공 | |
5.21 | 전국 가전제품 보급률 통계조사 용역(~8. | 프랑스, 원전 대폭 증설 계획(85년까지 현 | |
10 승압 보상자료로 표본 조사) | 재의 3배로 전력 55% 충당 목표) | ||
5.31 | 대대적 절전 캠페인(서울서 재경임직원 | 3.7 | LNG 도입 사용 타당성 조사 용역(대우 엔지 |
3,000명 참가) | 니어링) | ||
6.1 | 경상가격(經常價格)에 의한 장기 재무전산 | 154㎸ 강릉변전소 준공 | |
모델 개발(~11. 13 종료) | 3.1 | 삼천포화력 2호기(56만㎾) 착공 | |
6.4 | 유연탄 공급 계약(호주 5개 회사와 5년간 | 3.16 | 검침 위탁지역 확대(인천지점 직할 등 8개 |
690만 톤) | 소 52만708호) | ||
6.1 | 154㎸ 서대구~구미 송전선로 준공 | 3.19 | 가봉, 우라늄 탐사 계약(한전, 프랑스 코제 |
6.11 | 액화가스발전소 연구검토 용역 착수 | 마 및 가봉 정부 공동) | |
6.12 | 전기요금 개정(절전유도형으로 비산업용/非 | 3.21 | 산업체 등 수요격감으로 전력예비율 44% 육 |
産業用에 국한 개편, 가정용 14%, 영업용 | 박 | ||
16% 인상) | 3.23 | 154㎸ 송전선로 첫 항공 보수 실시(강원지 | |
원자력발전소 9, 10호기, 경북 울진 부구리 | 구 산악 헬기 운항) | ||
건설계획 확정 | 3.27 | 154㎸ 송전선로 첫 항공 보수 실시 | |
6.13 | 서울화력 누유(漏油)사고(한강 오염) | 보령화력 1, 2호기용 차관 1억270만 달러 | |
6.18 | 현금차관 1억 달러 영국 HILL과 계약 | IBRD와 계약 | |
6.23 | 민간주식 매입(3,585만5,000주) | 3.3 | 울릉도 내연 1, 2호기(1,000㎾×2) 준공 |
6.25 | 평택화력 3, 4호기용 차관 6,813만 달러 일 | 3.31 | 한전 본사 구판장 개설 |
본 마루베니와 계약 | 4.1 | 인사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실시(온라인 검 | |
6.3 | 자동급전 시스템 정상 가동(급전자동화시대 | 색 및 인력 실시:인사, 급여 통합 처리) | |
개막) | 신규수용 처리 개선(인입선 시공 사후검사 | ||
6.3 | 한림내연 증설(2,500㎾×4) 준공 | 제) | |
7.1 | 지열(地熱)자원 및 발전 검토 | 고리원자력 4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
7.4 | 원자로 조종실 개관(고리원자력 발전전문요 | 평택화력 1호기(35만㎾) 준공(준공식 10. 17) | |
원 훈련 위해 설치) | 동자부, 원전개발 계획 전면수정 검토 | ||
7.1 | 군산복합화력 스팀터빈(10만㎾) 준공 | 4.2 | 한전, 80년도 민간주식 매입 계획 확정 |
영월복합화력 스팀터빈(10만㎾) 준공 | 4.9 | (1,500만주) | |
7.12 | 전기요금, 종합평균 34.6% 인상 | 경남 사량도 등 27개 섬에 전화사업 착공( | |
7.16 | 영광원자력 1, 2호기 및 울진원자력 1, 2호 | 4.12 | 해저케이블 25km, 철탑 84기, 수용호수 1만 |
기 원전 연료 농축 계약 | 1,767호) | ||
7.19 | 발전소 준공 개념 정립 | 서천화력 1,2호기 일괄도급 계약(동아건설) | |
7.- | 왕십리내연(3,000㎾) 폐지 | 154㎸ 목포변전소 준공 | |
8.9 | 최초로 자동급전시스템 준공식 | 4.15 | 사북변전소, 광부들 데모로 큰 피해 |
삼천포화력 1, 2호기용 차관 1억8,775만 달 | 4.18 | 대부도 배전 철탑 폭풍우로 도괴 | |
러 영국 M.H와 계약 | 4.2 | 154㎸ 개봉~오류 지중송전선로(첫 국산 OF | |
8.2 | 한전 본사, 여의도 신축사옥으로 이전 | 4.21 | 케이블) 준공 |
8.24 | 1주택 수가구 거주 수용가 요금특례 적용 | 농어촌 융자금 회수요령 개정(연리 7.5%에 | |
(4가구 이상 호당 월평균 50㎾h 이하 수용) | 5.1 | 서 13%) | |
8.27 | 재해비상대책본부 설치(태풍 쥬디호 피해 | 전자계산소 Main System 증설(M180 Ⅲ | |
대책) | 5.2 | AD로) | |
미국 수출입은행, 최대규모인 11억6,900만 | 인도네시아 Pertamina와 남방개발(주)간 | ||
달러의 대한(對韓)원자력발전소구입 차관 | 5.5 | LSWR 공급계약(80. 8. 1~12. 31 7,000~1만 | |
예비승인 발표 | BPCD) | ||
8.28 | 서울전력관리본부, 변전소 집중 원방감시 | 문헌정보 온라인 검색시스템 가동 | |
제어설비 도입(변전소 운전 자동화) | 5.8 | 전기안전공사 집계, 중소기업(51~500㎾ 미 | |
9.2 | 한국-호주 원자력 협력협정 서명 발효 | 만 수용) 전기안전 무방비 상태로 68.8%가 | |
9.1 | 보령화력 1, 2호기 터빈 발전기 공급 계약 | 기준 미달 | |
(대우중공업, 일본 도시바) | 차종희(車宗熙), 한국전력기술(주)5대 사장 | ||
삼천포화력 1, 2호기 유연탄 공급 계약(캐 | 에 취임 | ||
나다 3개사) | 보령화력 1, 2호기용 차관 8,070만 달러 일 | ||
9.2 | 수요하향조정(약 3%)에 따른 장기전원개발 | 5.9 | 본 도시바 및 영국 SML과 계약 |
계획 확정 | Rill Algom과 우라늄 장기구입 계약 | ||
9.24 | 보령화력 1, 2호기 보일러공급 계약(현대중 | 5.1 | 자재관리 온라인 시스템 가동(재고기록 카 |
공업) | 5.13 | 드 폐지) | |
9.25 | 성낙정(成樂正), 한전 부사장 연임 | 남제주화력 2호기(1만㎾) 준공(준공식 7.4) | |
9.28 | 남원지점 사옥 준공 | 5.15 | 울산화력 5호기(40만㎾) 준공(준공식 81. 3. |
9.3 | 익산지점 사옥 준공(99. 4 신축사옥 준공 | 5.19 | 17) |
예정) | 액화가스 사업 추진반 신설 | ||
10.1 | 청평양수 1호기 양수 시험 | 5.2 | 가봉 해외사무소 신설 |
삼랑진양수 1, 2호기(30만㎾×2) 착공 | 한전, 여의도 본관~을지로 별관 간 모사전 | ||
고리원자력 3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5.24 | 신(模寫電信) 장치 설치 | |
10.2 | 삼천포화력 1, 2호기용 차관 7,089만 달러 | 고리원자력 2호기 교체 핵연료 성형가공 계 | |
미국 EXIM과 계약 | 5.27 | 약(미국 W.H) | |
10.7 | 청평양수 1호기(20만㎾) 계통 병입(첫 양수 | 한일병원 고리 분원 개설 | |
발전소) | 5.29 | 호주 울란과 보령화력 1, 2호기 유연탄 공 | |
10.8 | 국내 최초 해저케이블 전화공사 준공(전남 | 6.3 | 급계약(1983년부터 10년간 연간 25만 톤) |
신안도서지역 23개섬 1만 6,000여호, 해저 | 국내 첫 태양광발전소 전기공급(경기도 강 | ||
케이블 13.3km, 철탑 103기, 공사비 50여억 | 6.4 | 화군 서도면 아차도 4㎾, 39가구 혜택) | |
원) 전국 농어촌 완전 전화 기념식(신안) | 경남 사량도 지구 전화공사 해저케이블공사 | ||
10.1 | 청평양수 상부저수지 담수 개시 | 6.14 | 준공(4,142m) |
산업안전 표지물에 관한 규정 공포 | 고리원자력 3호기 격납건물 Base Mat 콘크 | ||
10.11 | 영광원자력 1, 2호기 주기기 공급 및 원전 | 6.15 | 리트 타설 완료 |
연료 가공 계약(미국 W.H) | 정부, 장기전원개발계획 축소 조정(91년까 | ||
10.15 | 고리연수원 발족 | 6.16 | 지 3,200만㎾에서 2,800만㎾로) |
10.24 | 삼천포화력 1호기(56만㎾) 착공 | 154㎸ 인동변전소 준공 | |
10.25 | 전기공급규정 개정(세칙 통폐합, 공사비 부 | 6.23 | 삼랑진양수 1, 2호기 감리기술용역 계약(니 |
담금 조정 위약대상 축소) | 6.26 | 혼 고오에이와 48개월간) | |
고흥지점 사옥 준공 | 154㎸ 개봉~오류 지중송전선로 준공(총 긍 | ||
10.28 | 고리원자력 1호기 준공 이후 최초 원전 연 | 장 4.1km, 최초로 국산 케이블 사용) | |
료 교체작업 착수 | 고리원자력연수원, 과기처장관 지정교육기 | ||
10.31 | 청평양수 1호기(20만㎾) 준공(준공식 80. | 6.3 | 관으로 승인 |
4. 16) | 수용가 계기대장(計器臺帳) 전산화 전국에 | ||
울산복합화력(32만㎾) 준공 | 확대 | ||
영동화력 2호기(20만㎾) 준공 | 평택화력 2호기(35만㎾) 준공(준공식 10. 17) | ||
11.1 | 영동화력 2호기(20만㎾) 준공(준공식 11. | 충남 원산도 지구 전화공사 준공(해저케이 | |
13) | 7.1 | 블 1,895m) | |
11.9 | 220V 승압계획, 단상삼선식(單相三線式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규칙 공포 | |
)105/210V 양 전압으로 변경 | 7.5 | 전남 조도(鳥島) 지구 전화공사 준공(해저 | |
우라늄정광 공급 계약(캐나다 E&B 및 | 7.8 | 케이블 8,189m) | |
Norcen) | 보령화력 1, 2호기용 차관 5,598만 달러 미 | ||
11.12 | 잡공사(영업)업무처리 개선(절차 개선) | 7.1 | 국 EXIM과 계약 |
11.13 | 발전소 운전원 자격제도 시행(수당 지급) | 경인에너지와 저유황유 공급계약 기본합의 | |
11.15 | 월성원자력 1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서 조인 | |
11.16 | 우라늄정광 장기공급 계약(호주 패코 및 | 프랑스 소그레아회사와 가로림만 조력발전 | |
EZ) | 7.11 | 소 타당성 용역 계약 | |
11.2 | 345㎸ 동서울 변전소 준공 | 사우디대학생 한전에서 교육 | |
11.21 | 상주지점 사옥 준공 | 7.16 | 고리원자력 3, 4호기 현장설계 및 기술용역 |
11.3 | 345㎸ 평택 송전선로 준공(78. 8. 18 착공, | 7.21 | 2차 계약 |
41.8km, 철탑 120기) | 집중호우로 괴산수력 침수 및 보은 송배전 | ||
12.7 | 345㎸ 서대구변전소 준공 | 7.22 | 설비에 큰 피해 |
속초지점 사옥 준공 | 호주 쉘 및 디스사와 보령화력 1, 2호기 유연 | ||
12.1 | 도서지방 전기 보수선 3척 진수식(進水式) | 7.23 | 탄 공급 계약(83년부터10년간 연간 50만톤) |
12.12 | 보령화력 1, 2호기(50만㎾×2) 착공 | 동자부, 월 400㎾h 이상 사용주택에 전류제 | |
12.13 | 최대수요전력 535만3,000㎾ 기록(목요일 | 7.31 | 한기 부설 의무화 |
19:00) | 예산편성 및 실적관리 전산 본격 실시 | ||
12.19 | 영광원자력 1, 2호기 건설기술용역 계약(미 | 8.1 | 아주전력노조(亞洲電力勞組) 제9차 대표자 |
국 벡텔) | 8.3 | 회의 및 ICEF 제1차 아주전력노조 세미나 | |
12.22 | 무안지점 사옥 준공 | 개최 | |
12.24 | 동수원변전소 준공 | 한전, 웨스팅하우스형 원전 소유자그룹 가입 | |
고리원자력 3호기 건설허가 취득 | 8.1 | 조력발전 타당성 조사 착수(~81. 11. 17 가 | |
12.28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공포, 액화가스 | 8.18 | 로림만) |
(LNG)사업추진위 발족 | 국보위(國保委), 중공업분야 투자 조정 및 | ||
12.31 | 울산화력 4호기(40만㎾) 준공(준공식 81. | 8.2 | 발전설비공장 일원화 방침결정 |
3. 17) | 저유황유 제1항차 도착(29만9,916BbL) | ||
남제주화력 1호기(1만㎾) 준공(준공식 80. | 8.22 | 154㎸ 예산변전소 준공 | |
7. 4,국내기술로 설계, 감리, 주기기 제작) | 8.24 | 서울화력, 저유황유 사용 개시(공해 경감) | |
서산지점 사옥 준공 | 8.31 | 알라스카탄 도입사용 타당성 현지 조사 | |
장항지점 사옥 준공 | 1주택 수가구 거주 수용요금 특례 적용 개정 | ||
9.1 | 연화춘(延化春), 전국전력노조 위원장 직무 | ||
9.3 | 를 대행 | ||
345㎸ 신포항 송전선로 준공(79. 6. 28 착 | |||
9.5 | 공, 100.8km, 철탑 276기) | ||
대한전기기사협회, 대한전기협회에 흡수 | |||
9.6 | 전남 노화도 지구 전화공사 준공(해저케이 | ||
9.1 | 블 5,359m) | ||
설해(雪害)대책 시험선로 건설(착빙현상 관 | |||
측) | |||
정명환(鄭名煥), 한전 감사 취임 | |||
9.25 | 이남주(李南周), 한전 부사장 취임 | ||
SCADA시스템(변전소 원방감시 제어장치) | |||
9.29 | 시운전(81. 2~ 가동) | ||
울릉도내연 3, 4호기(500㎾×2) 준공 | |||
9.- | 수도전기공고 신축교사 준공식 | ||
10.15 | 154㎸ 광장변전소 준공 | ||
10.25 | 최초의 GIS 옥내변전소 154㎸ 토성변전소 | ||
10.27 | 첫 건설 준공 (준공식 12. 27) | ||
주재 미군 전기요금 인상적용 합의 및 차액 | |||
10.3 | 분 수금 (12. 31까지 14억여 달러 예상) | ||
대청수력 1호기(4만5,000㎾) 준공 | |||
10.31 | 배전선로 제각공사 자동회계처리 실시 | ||
11.1 | 울진원자력 1, 2호기용 우라늄 농축 및 정 | ||
11.7 | 광(精鑛)장기계약(프랑스 프라마톰 및 코제 | ||
마) | |||
울진원자력 1, 2호기 원자로 계통설비 공급 | |||
계약 체결(한전프라마톰) | |||
11.1 | 한전, 대만전력공사(TPC)와 전력사업 협력 | ||
협정 체결 | |||
345㎸ 신포항변전소 준공 | |||
11.16 | 국제원자력회의 참가(~11. 21 미국 원자력 | ||
산업회의(AIF)연례총회 및 미국 원자력 회 | |||
의(ANS),구주(歐洲)원자력회의(ENS)공동 | |||
주최) | |||
11.19 | 전기요금 16.9% 일률 인상 | ||
11.2 | 최대수요전력 545만7,000㎾ 기록 | ||
(목요일 18:00) | |||
목포지점 사옥 준공 | |||
11.22 | 154㎸ 용인변전소 준공 | ||
11.28 | 한국중공업(주) 인수단 편성 | ||
김영준(金榮俊) 한전사장, 한국중공업(주) | |||
사장 겸임 | |||
인천지사 사옥 준공 | |||
11.- | 최초 GIS 연결 지중송전선로 준공(154㎸ 부 | ||
산화력~토성변전소 간) | |||
12.1 | 경기 영종도지구 전화공사 준공(해저케이블 | ||
4,233m) | |||
12.2 | 제102차 국무회의 한국전력공사법안 의결 | ||
12.3 | 호주 Clutha와 보령화력 유연탄 공급 계약 | ||
(83년부터 10년간 연 20만톤) | |||
12.5 | 경북지사 사옥 준공 | ||
12.9 | 영광원자력 1, 2호기(95만㎾ ×2) 착공 | ||
12.16 | 국가보위입법회의(國家保衛立法會議), 한국 | ||
전력공사법 의결 | |||
12.18 | 고리원자력 2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
12.22 | 지하철 2, 3, 4호선 전력구(電力溝) 건설 | ||
위탁 계약(서울시 및 서울지하철 건설(주)) | |||
12.27 | 154㎸ 주안~인천 지중 송전선로 준공 | ||
부산전력관리본부 사옥 준공 | |||
154㎸ 주안~인천 지중 송전선로 준공 | |||
12.31 | 한국전력공사법 공포(1981. 7. 23 시행령 | ||
공포) |
출처 : 전력통신회
글쓴이 : 권승룡 원글보기
메모 :
'역사·정치·경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電力史 年表4 (1991∼2001) (0) | 2011.08.19 |
---|---|
[스크랩] 電力史 年表3 (1981∼1990) (0) | 2011.08.19 |
[스크랩] 電力史 年表 1 (1961∼1970) (0) | 2011.08.19 |
[스크랩] 세계화폐 최고액권 소개 (0) | 2011.07.15 |
[스크랩] 재직기간별 역대 사장 (0) | 201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