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연월일 | 전 기 관 련 사 항 |
1981 | 1982 | ||
1. 1 | 울산화력 6호기(40만㎾) 준공(준공식 3. 17) | 1. 1 | 한국전력공사 발족 |
1. 15 | 삼량진 양수용 차관 4,776만 달러 ADB와 계 | 1. 4 | 한국전력공사 발족 기념식 |
약 | 1. 14 | 전두환 대통령 한전 본사 순시(새벽 4시) | |
1. 31 | 대청수력 2호기(4만5,000㎾) 준공 | 1. - | 서울화력 3호기(2만5,000㎾) 폐지 |
2. 1 | 국내 최초로 345㎸ 영서변전소에 23㎸ | 2. 4 | 평택화력 3, 4호기 LNG 개조에 따른 외자공 |
Shunt Reactor 설치공사 완료 운전 개시 | 급계약 체결 | ||
2. 2 | 한국중공업에 최초 출자 | 2. 15 | 울진원자력 1, 2호기 2차 계통설비(CI) 공급 |
2. 3 | 전자계산소 IBM 3031 가동식 | 계약 체결 | |
2. 10 | 수도전기공고 특성화 공고로 변신 후 첫 졸 | 2. 25 | 전력채 1백억원 발행 |
업식 | 3. 2 | 울진원자력 1, 2호기 발전소 주설비 구조물 | |
2. 19 | 영광원자력 1, 2호기(95만㎾×2) 기공식 | 및 콘크리트 생산 공사 계약 체결(동아건설) | |
2. 21 | 장활수(張活洙), 전국전력노조 8대 위원장 | 3. 4 | 영광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1억 851만 달 |
에 선출 | 러 미국 CMB와 계약 | ||
2. 26 | 한전, 주식회사 체제 마지막 주주총회 개최 | 3. 5 | 섬진강수력 증설 기본계획 확정 |
2. 28 | 한전 수안보생활연수원 준공 개원 | 울진원자력 1, 2호기(95만㎾×2) 착공 | |
(부지 2,327평, 건평 1,923평) | 3. 15 | 성낙정(成樂正), 한전 제7대 사장에 취임 | |
154㎸ 개봉∼영등포∼노량진간 지중송전선 | 신동선(申東鮮), 한전 감사 취임 | ||
로 준공 | 박세직(朴世直), 한전 부사장 취임 | ||
3. 3 | 한국-벨기에 원자력 협력 협정 체결 | 4. 7 | 154㎸ 현저∼흥인, 성동∼중앙변전소 간 지 |
3. 9 | 한전, 캐나다 온타리오 하이드로사와 기술 | 중 송전선로 POF 증설공사 국산화 준공 | |
협력 협정 체결 | 345㎸ 신마산변전소 준공 | ||
3. 14 | 서귀포지점 사옥 준공 | 4. 9 | 154㎸ 서면변전소∼수정변전소 간 지중 송 |
3. 24 | 154㎸ 영등포 옥내변전소 준공 | 전 선로 건설공사 준공 | |
4. 4 | 한국-프랑스 원자력협력 협정 체결 | 4. 17 | 한전, 서울올림픽 전력공급대책위원회 구성 |
4. 6 | 경제장관협의회서 LNG사업 기본계획 의결 | 4. 19 | 주안∼인천∼송현변전소 간 지중통신 케이 |
4. 10 | 본사사옥 여의도서 강남 한국중공업 건물로 | 블 공사 | |
이전 | 4. 20 | 제주지사 사옥 준공 | |
4. 16 | 한전 수용가봉사상 제정 시상 | 4. 23 | 내자동∼궁정동, 송현동∼팔판동, 동자동∼ |
4. 21 | 전기요금 10% 일률 인상 | 양동, 한국은행∼조선호텔 2.6km 배전선로 | |
4. 22 | 울진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55억 프랑(미화 | 지중화 준공 | |
12억 4,400만 달러) 프랑스 재정차관 계약 | 5. 17 | 한전∼대만전력 간 제2차 기술 및 자원 협력 | |
전두환 대통령, 평택화력 시찰 | 회의 | ||
4. 30 | 우리나라 최초의 서울전력관리본부 SCADA | LA사무소 한국-미국수교 100주년 기념행사 | |
시스템 가동 | 6. 3 | 국제 LNG, LPG 기술 심포지엄 및 기자재 준 | |
5. 7 | 괴산수력 복구공사 완료 | 공 전시회 개최 | |
5. 20 | 예천지점 사옥 준공 | 6. 15 | 보령화력 유연탄 공급계약 호주와 체결 |
5. 22 | 부산지하철 1호선 전력구(電力溝) 건설 협정 | 6. 17 | 일본 해외전력조사회와 기술협력 협정 체결 |
체결(22km 구간) | 6. 22 | 345㎸ 삼천포 송전선로 준공(80. 5. 29 착공, | |
6. 1 | 평택화력 3, 4호기(35만㎾×2) LNG 겸용으로 | 61.6km, 철탑 177기) | |
재착공 제5, 6차 전원개발계획 확정 | 6. 25 | 백령도 자가발전시설 지원협약서 경기도 지 | |
6. 2 | 한전 본사 신축사옥(서울 강남구 삼성동 | 사와 체결 | |
167번지) 건설 착공(6월 10일 기공식) | 7. 6 | 정근모(鄭根謨),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6대 | |
6. 3 | 삼랑진양수발전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사장에 취임 | |
(일본 후지 및 서독 지멘스와 콘소시엄) | 7. 7 | 삼랑진양수 수압관로 파일럿트 터널 관통식 | |
6. 4 | 영광원자력 1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7. 10 | 전기요금 제1차 인하 조정 |
6. 23 | 북제주화력 1호기(1만㎾) 착공 | (종합 평균 0.7 인하) | |
6. 26 | 제48차 국무회의에서 한국전력공사법 시행 | 7. 12 | 고리원자력 4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령 의결 | 7. 22 | LNG사업 추진 방침 대통령 재가(건설공기: | |
6. 30 | 한전 민간주 매입 완료(2,603만9,428주) | 당초 84. 12→86. 12 준공으로 변경, 공사비: | |
7. 8 | LNG수입기지 국내설비 기본설계 용역계약 | 당초 5,577억원→6,237억원으로 변경, 83년 | |
체결(한전ㆍPritchard Korea) | 초 LNG 공사 발족 예정) | ||
7. 11 | 345㎸ 월성 송전선로 준공 | LNG 인수기지 및 주배관 외자공급 계약자 | |
(80. 7. 8 착공, 26.4km, 철탑 73기) | 분리 선정(인수기지:프랑스 UIE/TGZ, 주배 | ||
7. 13 | 원자력 발전량 100억㎾h 돌파 | 관:일본 M/N) | |
(78. 4. 29 상업 운전 개시 이래) | 7. 22 | 울진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30억7,890만 | |
7. 16 | 대천지점 사옥 준공 | 프랑, 프랑스 BFCE와 계약 | |
7. 23 | 한국전력공사법 시행령 공포 | 울진원자력 1,2호기 공사계획 인가(동자부) | |
7. 25 | 최대수요전력 614만4,000㎾ 기록 | 8. 2 | 군산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 2) |
(토요일 15:00. 여름 낮시간대로 이동) | 8. 6 | 소수력개발 심사위원회 발족 | |
7. 29 | 울릉도지점 사옥 준공 | 8. 11 | 최대수요전력 666만1,000㎾ 기록 |
8. 4 | 국내기업 최초로 엔화(貨) 표시 채권 100억 | (수요일 12:00) | |
엔 일본에서 발행 | 8. 15 | 월성원자력 1호기 최초 원전 연료 장전 착수 | |
8. 12 | 한전-인도네시아 전력공사간 전력기술 협정 | 8. 24 | 고 김형택(故 金炯澤) 이사 영결식(공사장/ |
체결 | 公社葬 거행) | ||
8. 18 | 조력발전소 타당성 조사(용역회사:프랑스 | 10. 5 | 345㎸ 신남원개폐소 개소 |
Sogreah, 한국원자력기술 등 5개사) | 10. 13 | 서울전력소 원방감시제어(SCADA)시스템 원 | |
9. 1 | 전기공급규정 개정 시행 | 격소(遠隔所)증설공사 준공(21개 변전소) | |
(수용가 불편사항 해소) | 울진원자력 1, 2호기(95만㎾×2) 기공식 | ||
9. 22 | 서울화력 종합폐수처리 설비 설치 | 10. 17 | 발전용 유연탄 첫 도입(캐나다에서) |
9. 27 | 캐나다 트뤼도 수상, 월성원자력 시찰 | 10. 21 | 울진원자력 전시관 개관 |
9. 30 | 영광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1억 6,200만 | 11. 11 | 한국원전연료(주) 설립(한전:77% 출자, 에너 |
달러 홍콩 B.A.A.L과 계약 | 지연구소:23% 출자) | ||
10. 19 | 서대구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1. 23) | 김선창(金善昶), 한국원전연료(주) 초대사 | |
10. 27 | 한전, 서독 지멘스와 변전소 건설용 기자재 | 장 취임(한전 부사장 겸임) | |
공급계약 체결 | 11. 15 | LNG 인수기지 주배관건설 공급 계약 체결 | |
11. 11 | 삼랑진 양수 하부댐 정초식 | 11. 19 | 한전-벨기에 전력 3사(EBES, INTECOM, |
11. 24 | 부여지점 사옥 준공 | UNERG)간에 기술협력 체결 | |
11. 26 | 154㎸ 부산 양정변전소 준공 | 북제주화력 1호기(1만㎾) 준공 | |
11. 30 | 평택화력 3, 4호기 LNG 개조 계약 체결 | 11. 21 | 월성원자력 1호기 초임계 도달 |
(일본 마루베니) | 11. 23 | 현금차관 및 고리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 |
한국전력공사 설립위원회 구성 | 2억1,280만 달러 홍콩 SANWA 및 미국 C.M | ||
(위원장:동력자원부 차관) | 과 계약 | ||
11. - | 울릉도내연(450㎾) 폐지 | 12. 3 | 최연식(崔連植), 한전 부사장 취임 |
12. 1 | 전기요금 종합 평균 6% 인상 | 12. 31 | 월성원자력 1호기(67만8,683㎾) 최초 발전 |
영광원자력 2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개시 | ||
12. 10 | 천안지점 사옥 준공 | 12. - | 영남 가스터빈(12만㎾) 폐지 |
12. 14 | 고리원자력 3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12. - | 삼척화력 1호기(2만5,000㎾) 폐지 |
12. 17 | 영광원자력 1호기 건설허가 취득 | 12. - | 마산화력 1, 2호기(2만5,000㎾×2) 폐지 |
12. 18 | 한국전력(주) 주주해산총회 | ||
12. 21 | ‘한국전력 20년사’출간(상ㆍ하권) | ||
12. 31 | 한국전력(주)해산등기 및 한국전력공사 설립 | ||
등기 | |||
전기주임 기술자 면허제도를 국가기술자격 | |||
소지자로 변경 | |||
1983 | 1984 | ||
1. 12 | 재미(在美) 한전동우회 설립 | 1. 18 | 제주 우도 전화사업 준공(해저케이블) |
1. 20 | 농어촌전화사업 다시 착수 | 1. 24 | 154㎸변압기 단락강도(短絡强度) 시험 성공 |
(65~79까지 실시 후 일시 중단) | (국내 최초로 국산변압기 신뢰도 확인) | ||
1. 21 | 345㎸ 신마산 송전선로 준공 | 1. 27 | 대구전력관리본부 및 대구 보급소 개소 |
(80. 9. 2 착공, 108.2km, 철탑 189기) | 2. 18 | 영광원자력 2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
1. 25 | 울진원자력 1, 2호기 건설허가 취득 | 2. 24 | 한국전력보수(주) 설립 |
1. 26 | 울진원자력 1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2. 25 | 직원급여 은행통장으로 지급 |
2. 11 | 전기요금 우체국 수납제 첫 실시 | 2. 28 | 삼천포화력 2호기(56만㎾) 준공(준공식 6. 8) |
2. 18 | 한전,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가입 | 2. 29 | 한강계수력 원격감시제어화 공사 착공 |
2. 24 | 고리원자력 2호기 원전연료장전 착수 | (22개월) | |
3. 24 | 345㎸용 차관 2,094만 달러 ADB와 계약 | 3. 1 | 전기요금 연체료 5% 인하 |
3. 25 | 호남화력 1호기(28만㎾) 유연탄, 중유 양용 | 정부투자기관 관리기본법 시행, 경영 자율화 | |
개조공사 착공 | 시대 개막 | ||
3. 26 | 월성원자력 1호기 100% 출력 도달 | 3. 17 | 태평양 연안국 원자력회의 제4차 집행위원 |
3. 29 | 박정기(朴正基), 한전 제8대 사장에 취임 | 회 및 기술계획위원회 개최(워커힐) | |
3. 31 | 서천화력 1호기(20만㎾) 준공(준공식 84. | 3. 19 | 발전소 에너지관리 합동 진단 |
11. 7. 국내 최초로 3,000Kcal/kg의 저질탄 | 3. 20 | 투자기관 관리기본법 시행령 공포 | |
사용) | 한전 동인회, 한국전력 전우회(電友會)로 | ||
4. 9 | 고리원자력 2호기 초임계 도달 | 개칭 | |
4. 11 | 삼랑진양수 상부댐 정초식 | 3.23 | 전업개발사업소요 미화 7,000만 달러 차관 |
서울화력 3호기 매각 처분 | 계약 체결 | ||
4. 22 | 전기요금 제2차 인하 조정 | 4. 1 | 한전보수(주) 업무 개시 |
(종합 평균 3.3% 인하) | (후에 한전기공/韓電機工으로 개칭) | ||
월성원자력 1호기(67만9,000㎾) 준공 및 준 | 김선창(金善昶), 초대사장 취임 | ||
공식 | 4. 7 | 서해화력을 서천화력으로, 고정건설을 보령 | |
고리원자력 2호기 최초 발전 개시 | 건설로 각각 명칭 변경 | ||
발전설비 1,000만㎾ 돌파 | 4. 16 | 신동선(申東鮮), 한전 감사 유임 | |
5. 3 | 영광원자력 1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4. 24 | 이종완(李鍾完), 전국전력노조 9대 위원장에 |
5. 4 | 평택화력 3호기(35만㎾) 준공 | 선출 | |
(준공식 10. 5. 국내 첫 LNG 발전소) | 5. 1 | 154㎸ 잠실 지중송전선로 준공 | |
5. 6 | 김선창(金善昶), 한전 부사장 취임 | 5. 3 | 한전 새 이사회구성(이사장:최순달/崔順達) |
5. 17 | 남서울 전력관내 영등포지역 SCADA 시스템 | 5. 22 | 154㎸ 송파변전소 준공 |
준공 | 5. 24 | 국제 댐회원 23개국 103명 팔당수력 시찰 | |
6. 8 | 호남화력 1, 2호기용 차관 31억2,000만 엔 | 5. 29 | 한전 정관 및 이사회규정 개정 |
일본 마루베니와 계약 | (이사회와 집행간부조직으로 분리) | ||
6. 17 | 전기보수선 ‘한전 울릉호’ 취항식 거행 | 한전 기술연구원 발족 | |
합천지점 사옥 준공 | 북제주 내연 1, 2호기(5,000㎾×2) 준공 | ||
6. 20 | 조도내연(1,200㎾) 준공 | (준공식 8. 30) | |
6. 22 | 삼랑진양수 도수로 터널 관통 | 5. 30 | 마산화력 설비 매각 처분(5억7,010만원) |
6. 23 | 대구전력관리본부 사옥 준공 | 345㎸ GIS 의정부변전소 준공 | |
6. 25 | 고리원자력 2호기(65만㎾) 100% 출력 도달 | 5. 31 | 한전, 일본 구주전력과 기술훈련 교환 협정 |
6. 27 | 한필순(韓弼淳), 한국원전연료(주)2대 사장 | 협력각서 교환 | |
에 취임(원자력연구소장 겸임) | 5. - | 154㎸ 인천화력∼송현S/S 지중 송전선로 준 | |
6. - | 섬진강수력 3호기(6,000㎾) 착공 | 공(국내 최초 국산 XLPE 케이블 사용) | |
7. 1 | 북제주내연 1, 2, 3호기(5,000㎾×3) 착공 | 6. 1 | 문희성(文熙晟), 한전 부사장 취임 |
7. 2 | 한전에서 한국전력보수(주) 경영진단 실시 | 6. 5 | 여주지점 사옥 준공 |
345㎸ 고정 송전선로 준공 | 6. 15 | 한전,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수’로 1위 차 | |
(81. 11. 12 착공, 138km, 철탑 410기) | 지 | ||
7. 5 | 울진원자력 2호기 최초 콘크리트 시공 | 6. 18 | 345㎸ 청양~신옥천 송전선로 준공 |
7. 9 | 제1회 서울전기기자재 전람회 개최 | (83. 3. 19 착공, 79.4km, 철탑 224기) | |
7. 11 | 우도 및 넙도 간 해저케이블 공사 착공 | 대만전력 배구단 내한 | |
7. 14 | 현금차관 100억 엔 일본 SUMITOMO 및 | (10월 31일엔 대만전력 축구단 내한) | |
NIPN CRDT와 계약 | 6. 20 | 154㎸ 수영변전소 준공 | |
7. 22 | 제1회 전기원 안전실기 경연대회 개최 | 6. 27 | 전력그룹협의회 구성 발족(한전, 에너지연, |
7. 25 | 고리원자력 2호기(65만㎾) 준공 | 한중, 한기, 원전연료, 한전보수, 전기안전 | |
한전, 캐나다 Dawn Lake 광산 개발 참여 계 | 공사) | ||
약 체결 | 6. 30 | 북제주내연 3호기(5,000㎾) 준공 | |
8. 1 | 평택화력 4호기(35만㎾) 준공(준공식 10. 5) | (준공식 8. 30) | |
8. 10 | 경산지점 사옥 준공 | 7. 3 | 엔화 표시채권 50억 엔 일본에서 발행 |
8. 11 | 한국가스공사에 최초 출자 | 7. 22 | 강원지사 사옥 준공(준공식 11. 2) |
8. 12 | 한전,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회사 간 LNG | 7. 28 | 포항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 6) |
도입계약 체결 | 7. 31 | 한전-프랑스전력공사(EDF) 기술협력 협정 | |
8. 16 | 삼천포화력 1호기(56만㎾) 준공 | 체결 | |
(준공식 84. 6. 8) | 전력그룹협력회 발족, 첫 회의 개최 | ||
8. 17 | 최대수요전력 760만1,915㎾ 기록 | 345㎸ 해운대 송전선로 준공 | |
(수요일 15:00) | (착공 82. 12. 10, 21.2km, 철탑 62기) | ||
8. 18 | 한국가스공사 설립 | 8. 10 | 최대수요전력 881만1,114㎾ 기록 |
(LNG 장기 저장, 공급 사업) | (금요일 12:00) | ||
8. 27 | 국제원자력기구 고리원전 종합 점검 실시 | 8. 14 | 중단기(85∼90) 지중화계획 수립 |
8. 31 | 한국가스공사 발족, 문희성(文熙晟) 사장 | (22㎸ 지중선로 개폐기 운전 자동화시행) | |
취임 | 8. 24 | 한전 본사 사옥 상량식 | |
9. 1 | 전기공급규정 전면 개정 시행 | 8. 30 | 구례지점 사옥 준공 |
9. 7 | 한전-인도네시아 전력공사간 기술협력 협의 | 8. 31 | 한전, 일본전원개발(주)(EPDC)과 기술협력 |
9. 9 | 고리원자력 2호기(65만㎾) 준공식 | 협정 체결 | |
9. 14 | 인도네시아ㆍ파라과이 사무소 폐지 | 9. 1 | 주암수력(1만1,250㎾×2) 착공 |
9. 15 | 본사기구 9부 3실로 대폭 축소 | 9. 8 | 월성원자력 1호기에 국산원전연료 최초로 |
9. 26 | 22.9㎸, CNCV 케이블 표준규격 제정 | 장전(裝塡) | |
9. 30 | 한전, 미화 5,000만 달러 표시채권 발행 | 154㎸ 부여변전소 준공 | |
9. - | 154㎸ XLPE 케이블 국내 최초 개발 | 9. 25 | 한전, 미국 에너지성과 30년간 원전연료 신 |
(금성전선) | 농축 계약 체결 | ||
10. 7 | 도면용 마이크로 필름 자동검색장치 가동 | 9. 27 | 345㎸ 북서울 송전선로 준공(83. 3. 21 착 |
(국내 첫 도입) | 공, 32.9km, 철탑 95기) | ||
10. 8 | 구미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0. 25) | 9. 28 | 보령화력 2호기(50만㎾) 준공(준공식 12. 18) |
10. 12 | 한전, 국내 최초로 광통신시설 준공 개통 | 345㎸ GIS 신양산변전소 준공 | |
(부산전력∼서면변전소간 9.4km) | 9. 30 | 고리원자력 3호기 원전연료 장전 착수 | |
캐나다ㆍ피츠버그 사무소 폐지 | 10. 1 | 한전, 간부명칭 변경 | |
10. 22 | 강동지점 사옥 준공 | (부장→처장, 과장→부장, 계장→과장) | |
10. 25 | 제1회 전국 유소년 축구단 지역선발대회 개 | 10. 2 | 북제주내연 4호기(5,000㎾) 착공 |
최 | 10. 8 | 제2차 아태지역 전력사업 비교 워크샵, 한국 | |
11. 10 | 한전, 경영자문위원회규정 제정 | 서 개최 | |
11. 14 | 삼천포연수원 개원 입소식 | 10. 7 | 345㎸ 북해 송전선로 준공 |
11. 16 | 한전, 직능등급제 도입 첫 시행 | (착공 82. 11. 22, 20.5km, 철탑 63기) | |
11. 18 | 이화동 로타리~동대문 배전선로 지중화 준 | 10. 12 | 154㎸ 속초변전소 준공 |
공 | 10. 22 | 대만전력 첸 란카오 회장 부부 내한 | |
11. 23 | 섬진강수력 증설공사 착공 | (부녀회원도 동행) | |
11. 30 | 서천화력 2호기(20만㎾) 준공 | 10. 24 | 제1회 유소년 축구단 전국대회 |
(준공식 84. 11. 7) | 10. 25 | 154㎸ 반야월변전소 준공 | |
12. 1 | 한전, 파라과이 우라늄 공동탐사 착수 | 10. 27 | 한필순(韓弼淳), 한국원전연료(주)3대 사장 |
12. 6 | 해남지점 사옥 준공 | 으로 연임(원자력연구소장겸임) | |
12. 8 | 엔화 표시 채권 50억 엔 일본서 발행 | 10. 29 | 한전-이태리전력공사(ENEL)간 기술협력 협 |
12. 10 | 서천화력 무연탄 수송 전용 철도 개통식 거 | 정 체결 | |
행 | 11. 2 | 한전, 연구개발사업비 관리규정 제정 | |
12. 12 | 김해지점 사옥 준공 | 11. 3 | 154㎸ 충주변전소 준공 |
12. 16 | 합천수력 10만㎾ 건설 착공(89. 6 준공) | 11. 14 | 한전, 지사와 전력관리처 및 주요발전소에 |
12. 24 | 전남 넙도 전화사업 준공(해저케이블) | 팩시밀리 개통(29대) | |
12. 28 | 보령화력 1호기(50만㎾) 준공 | 11. 23 | 154㎸ 충무변전소 준공 |
(준공식 84. 12. 18) | 11. 26 | 345㎸ 의정부 및 해운대변전소 준공 | |
12. 31 | 정부투자기관 관리법 공포 | 11. 29 | 154㎸ 창령 변전소 준공 |
(84. 3. 20 시행령 공포) | 11. 30 | 345㎸ GIS 청양변전소 준공 | |
12. 1 | 청평양수발전소 홍보전시관 개관 | ||
12. 2 | 154㎸ 신탄진변전소 준공 | ||
12. 8 | 급전(給電)종합자동화시스템 계약 체결 | ||
(일본 미쯔이, 도시바) | |||
12. 10 | 태백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2. 21) | ||
12. 12 | 345㎸ 고리∼신포항 송전선로 준공 | ||
(83. 7. 23 착공, 78.8km, 철탑 231기) | |||
345㎸ 해운대 GIS변전소 및 송전선로 준공 | |||
12. 13 | 154㎸ 함양변전소 준공 | ||
12. 15 | 장기 초고압 전력계통 구성도 완성 | ||
12. 24 | 전국 배전설비 지적화(地籍化) 완료 | ||
(1977∼1984, 8년간) | |||
12. 31 | 임하수력(5만㎾) 착공 | ||
농어촌전화촉진법 3차 개정(법률 제3781호) | |||
1985 | 1986 | ||
1. 1 | 고리원자력 3호기 초임계 도달 | 1. 1 | 85년도 송배전 손실률 5.89% 기록 |
1. 22 | 고리원자력 3호기 최초 발전 개시 | 1. 3 | 전선퓨즈 국산개발 사용 |
1. 26 | 섬진강수력 3호기(6,000㎾) 준공 | 1. 6 | 발전용 연료 유연탄 사용 1,000만 톤 돌파 |
(준공식 3. 15) | 1. 16 | 한강수력발전처에 한강지역제어소 설치가동 | |
정읍소수력(2,000㎾) 윤화산업에서 착공 | 한강계 6개 수전(水電) 집중운전자동화 가동 | ||
2. 1 | 운암수력(2,560㎾) 폐지 | 1. 22 | 한전 심볼마크,로고 타입 등 기본요소 확정 |
2. 5 | 현금차관 100억 엔 일본 NIPPON CB 및 스 | 1. 31 | 영광원자력 1호기(95만㎾) 초임계 도달 |
미토모와 계약 | 1. - | 인천화력 1, 2, 3, 4호기(25만㎾×2,32만 | |
2. 7 | 여수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86. 3. 13) | 5,000㎾×2)LNG 사용설비 개조공사 착공 | |
2. 27 | 한국전력보수(주), 사우디아라비아와 설비 | 2. 17 | 포천소수력(280㎾) 준공 |
보수 기술계약 체결 | 한훈(韓薰), 한전보수(주)2대 사장에 취임 | ||
3. 1 | 강릉수력 1, 2호기(4만1,000㎾×2) 착공 | 2. 20 | KEB등 31개 은행단과 1억 달러 상업차관 |
3. 7 | 한전, 캐나다 엘도라도와 원전 연료 변환 계 | 계약 | |
약 체결 | 2. 22 | 전기요금 종합 평균 2.8% 인하 및 전기요금 | |
3. 11 | 강릉수력건설사무소 발족 | 구조개선 | |
3. 12 | 광통신시스템 준공 | 3. 3 | 기술연구원 대전에서 현판식 |
(부평지점~인천화력간 15km) | 3. 5 | 영광원자력 1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3. 20 | 이종훈(李宗勳), 한전 부사장 취임 | 3. 7 | 한강계 수력 원격감시제어소 준공식 개최 |
3. 23 | 동자부-한전 제1회 친선 바둑대회 개최 | 3. 10 | 미국 에너지성 헤링턴장관 한전 방문 |
3. 25 | 154㎸ 대천변전소 준공 | 3. 17 | 한전-캐나다 온타리오 하이드로회사 간 기술 |
3. 26 | 154㎸ 홍은변전소 준공 | 협력 협정 체결 | |
3. 29 | 영덕지점 사옥 준공 | 3. 21 | 울진원자력 2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3. 31 | 호남화력 1, 2호기(28만㎾×2) 연료전환공 | 3. 28 | 한전, 급전종합자동화설비(EMS) 설치공사 |
사 완료(준공식 6. 11) | 계약 체결 | ||
4. 4 | 에너지대상 제정 | 3. 31 | 월성원자력 이용률 세계 1위 기록(98.4%) |
4. 13 | 평택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5. 31) | 3. - | 154㎸ OF 2,000 ㎟ 지중 송전선로 최초 준공 |
4. 15 | 북제주내연 5, 6, 7, 8호기(5,000㎾×4) 착공 | (송파S/S∼거여C/H) | |
광주전력관리처 개소 현판식 | 4. 1 | 광주보급소 개소 | |
4. 26 | 한전 본사에 서울올림픽사업 지원실 기구 | 4. 11 | 한국-독일 원자력협력 협정 체결 |
신설 | 4. 16 | 박춘거, 한전 감사 취임 | |
5. 4 | 연천소수력(3,000㎾×2) 준공 | 4. 29 | 고리원자력 4호기(95만㎾) 준공 |
5. 11 | 남부지역 한전인 전진대회 | 제1회 한국 원산/원자력학회 연차대회 개최 | |
5. 19 | 제5차 태평양 연안국 원자력회의(PBNC) | 서울시내 39Km 전력구(電力溝) 준공 | |
개최 | 4. - | 평택화력 1호기(35만㎾) LNG 겸용 설비공사 | |
5. 20 | 북제주내연 4호기(5,000㎾) 준공 | 준공 | |
(준공식 8. 16) | 5. 10 | 북제주내연 5, 6호기(5,000㎾×2) 준공 | |
5. 24 | 프랑스 코제마사와 원전연료 농축 계약 체결 | (준공식 7. 31) | |
엔화 표시 채권 250억 엔 일본서 발행 | 5. 12 | 원자력법 개정 공포. 원자력위원회 국무총리 | |
5. 28 | 충주수력(41만2천㎾) 준공 | 소속으로 격상 | |
6. 1 | 울진원자력 1호기 원자로 설치 착수 | 5. 14 | 제1회 사장배 쟁탈 청경사격대회 |
6. 17 | 한국전기연구소 설립 | 5. 20 | 조도 및 호도 전기 점화식 거행 |
(전기통신연구소에서 분리) | 엔화 표시 채권 200억 엔 일본서 발행 | ||
한전-이집트전력청(EEA)간 기술협력 협정 | 5. 31 | 한전,국내 최초 실업 럭비팀 ‘번개’ 창단 | |
체결(카이로) | 5. - | 봉화지점 사옥 준공 | |
6. 25 | 345㎸ 신제천 송전선로 준공 | 6. 2 | 고리원자력 3, 4호기(95만㎾×2) 준공식 |
(84. 4. 23 착공, 128.2km, 철탑 307기) | 6. 3 | 울진원자력 1, 2호기용 차관 1억4,300만 달러 | |
345㎸ 신제천변전소 준공 | 홍콩 KEB ASIA 및 SANWA와 체결 | ||
동래지점 사옥 준공 | 6. 5 | 남서울전력관리처 SCADA 시스템 준공 | |
6. 27 | 대전종합사옥 준공 | 6. 10 | 북제주내연 7, 8호기(5,000㎾×2) 준공 |
6. 30 | 화천수력 무인수위탑(無人水位塔) 건설공사 | (준공식 7. 31) | |
준공 | 6. 25 | 울릉도내연 5, 6호기(1,000㎾×2) 준공 | |
7. 1 | 저유황 연료유 확대 사용 | 대구지사 사옥 준공(준공식 11. 26) | |
(서울화력 외 6개 발전소) | 6. 30 | 345㎸ GIS 신광주전력소 준공 | |
7. 8 |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자로 한국원전연료 | 7. 2 | 평택화력 2호기 LNG 겸용 설비공사 준공 |
(주) 지정 | 7. 4 | 345㎸ 영천 송전선로 준공 | |
7. 10 | 심야전력 요금제 및 여름철 부하조정 요금 | (85. 1. 28 착공, 169.4km, 철탑 479기) | |
제도 실시 | 7. 5 | 의정부지사 사옥 준공 | |
7. 16 | 소양강, 안동, 대청수력 전력공급계약 일부 | 7. 7 | 한전, 전국사무소 동시 호출 방송 실시 |
변경(투자보수율 인상 인정 3.6%→5.1%) | 7. 14 | 한전, 고리원자력 3,4호기 건설사무소 해체 | |
7. 26 | 한전에서 처음으로 본사~각지역간 디지탈 | 7. 23 | 가스절연 부하개폐기(가공용)개발 사용 |
교환설비 설치 | 7. 30 | 광주종합사옥 준공 | |
7. 30 | 삼랑진양수발전소 통수식 | 7. 31 | 154㎸ 강동변전소 준공 |
8. 13 | 고리원자력 4호기 초기 원전 연료 장전 착수 | 8. 11 | 영월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0. 23) |
8. 24 | 최대수요전력 934만8,942㎾ 기록 | 8. 12 | 충남지사 전사자료관(電史資料館) 개관 |
(토요일 15:00) | 8. 14 | 중수로 원전 연료 성형가공 계약 체결 | |
8. 26 | 한전, 경인에너지와 수전요금(受電料金) 분 | 8. 19 | 최대수요전력 991만4,698㎾ 기록 |
쟁 해결 | (화요일 15:00) | ||
9. 6 | 한국지역난방공사에 최초 출자 | 8. 20 | 임기(林基)소수력(550㎾ ×2) 준공 |
9. 15 | 현금차관 250억 엔 일본 NIPPON CB 및 미 | 8. 25 | 영광원자력 1호기(95만㎾) 준공 |
쯔이와 계약 | 8. 26 | 영도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8. 29) | |
9. 27 | 부천지점 사옥 준공 | 8. 31 | 345㎸ 동해송전선로 준공 |
9. 30 | 고리원자력 3호기(95만㎾) 준공 | (85. 6. 20 착공, 97.7km, 철탑 297기) | |
10. 7 | 154㎸ 군산공단변전소 준공 | 9. 1 | 에너지경영연구원 특별법으로 설립 |
10. 8 | 제1회 전기에너지대상 시상식 | 9. 3 | 의정부지점 사옥 준공 |
(세종문화회관서) | 9. 4 | 송배전시설용 차관 1억9,900만 달러 IBRD와 | |
10. 13 | 고성지점 사옥 준공 | 계약 | |
10. 15 | 전북지사 사옥 준공 | 9. 5 | 광주지역 광통신시스템 총 긍장 20.8km 시설 |
10. 17 | 손재식(孫在植), 한전 제2대 이사장 취임 | 공사 준공 | |
10. 18 | 박정기(朴正基) 사장, ASME(미국기계학회) | 9. 6 | 86아시안게임 메인프레스센터 한전 본사 별 |
상 수상 | 관 사용 | ||
10. 24 | 강화지점 사옥 준공 | 9. 16 | 영광원자력 2호기 최초 원전연료 장전 착수 |
10. 26 | 고리원자력 4호기 초임계 도달 | 9. 17 | 한전 서울연수원, 쌍문동에서 공릉동으로 |
11. 1 |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韓國地域煖房株式會 | 이전 | |
社) 설립 | 9. 29 | 한전, 영국중앙발전국(CEGB)과 기술협력 | |
11. 8 | 제1회 사장기 테니스대회 개최 | 협정 체결 | |
11. 10 | 심야전력 요금제도 첫 시행 | 9. 30 | 345㎸ GIS 동해변전소 준공 |
11. 11 | 한국에너지연구소와 중수로 핵연료 시제품 | 10. 15 | 영광원자력 2호기 초임계 도달 |
공급계약 체결 | 10. 16 | 154㎸ 송월변전소 준공 | |
11. 15 | 고리원자력 4호기 최초 발전 개시 | 10. 29 | 154㎸ 창공(昌工)연락 송전선로 준공 |
삼랑진양수 1호기(30만㎾) 준공 | 10. 31 | 울산지점 사옥 준공 | |
(준공식 86. 4. 8) | 10. - | 인천화력 LNG 겸용 설비 개조공사 준공 | |
월성원자력 1호기에 제2차 국산 원전 연료 | 11. 1 | 태국전력청(EGAT)과 기술협력 협정 체결 | |
장전 | 한전, 중수로형 원전 소유자 그룹(CANDU | ||
11. 21 | 부산전력 SCADA 시스템 준공 | Owners Group)가입 | |
11. 22 | 강릉수력 가배수로 터널 관통 | 11. 6 | 영남화력 2호기(20만㎾) 성능 개선공사 준공 |
11. 28 | 담양지점 사옥 준공 | 식 개최 | |
12. 7 | 345㎸ 영신 송전선로 준공 | 11. 10 | 소수력발전 전력수급 표준합의서 및 계약서 |
(84. 8. 13 착공, 56.1km, 철탑 157기) | 제정 | ||
12. 14 | 평택화력 1호기 보수 점화 | 11. 11 | 경수로형 원전연료 성형가공공장 착공 |
345㎸ 신광주 송전선로 준공 | (한국원전연료(주)) | ||
(84. 8. 11 착공, 59.9km, 철탑 164기) | 영광원자력 2호기 최초 발전 개시 | ||
12. 19 | 함평지점 사옥 준공 | 기술연구원 대전 이전식 거행 | |
12. 24 | 영광원자력 1호기 최초 원전 연료장전 착수 | 11. 13 | 청송지점 사옥 준공 |
12. 27 | 한국에너지협의회 발족 | 11. 15 | 고리원자력 4호기 최초 발전 개시 |
(1967. 5. 22 WEC 한국 국내위원회 설립) | 11. 17 | 한전 본사 신축사옥 준공 | |
민경식(閔景植),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7대 | (서울 강남구 삼성동 167번지) | ||
사장에 취임 | 11. 18 | 충주수력 전력요금 수준 결정 | |
12. 30 | 월성원자력 1호기 연 이용률 94% 기록 | (㎾h당 41원 10전) | |
12. 31 | 삼랑진양수 2호기(30만㎾) 준공 | 한전사원아파트(800여 세대) 쌍문동서 준공 | |
(준공식 86. 4. 8) | 11. 20 | 완도지점 사옥 준공 | |
삼척화력 2호기(3만㎾) 폐지 | 11. 21 | 신광주전력소 준공 | |
12. 16 | 345㎸ 동해전력소 준공 | ||
12. 27 | 청평수력~덕소변전소 간 광통신망 설치 | ||
(26km, 국내 최초 광섬유복합 가공지선/架 | |||
空地線 장거리 전송로/傳送路) | |||
12. 29 | 논산지점 사옥 준공 | ||
12. 31 | 6.6㎸/22.9㎸-y 승압 완료 | ||
(서울 일부와 제주도 제외) | |||
1987 | 1988 | ||
1. 10 | ‘미래를 창조하는 일류 한전’ 캐치프레이츠 | 1. 1 | 220V 승압 420만호(57.4%) 달성 |
설정 | 1. 12 | 국산 원전연료 성형가공 계약 체결 | |
1. 19 | 정읍소수력(500㎾×2) 준공 | 2. 6 | 서울 중심부 22.9㎸-y 승압 시행계획 확정 |
2. 2 | 안양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5. 12) | 2. 11 |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발기인 총회 |
2. 11 | 한전 최초로 감사원의 공해문제 집중 지도 | 2. 25 | 울진원자력 1호기(95만㎾) 초임계 도달 |
감사(12일간) | 2. 26 | 전력그룹 전력기술대상 제정 | |
2. 12 | 어린이회관에 전력홍보관 개관 | 3. 1 | 조직 개선 및 직무 분석반 설치 |
2. 26 | 전자계산소 강릉지소 개소 | 3. 2 | 영동화력 2호기 무연탄 발전소 223일 연속 |
2. - | 수도권에 LNG 공급 개시 | 운전 기록 | |
3. 13 | 발전용 천연가스 한국가스공사와 20년 수급 | 3. 4 | 345㎸ 신영주개폐소 개소 |
계약 체결 | 3. 11 | 울진원자력 환경방사능 실험실 개관 | |
3. 16 | 154㎸ 양지~삼성간 지중 송전선로 증설 준공 | 3. 21 | 전기요금 평균 3.6% 인하 |
3. 31 | 방우리(方佑里)소수력(5백30㎾×4) 준공 | 금강(錦江)소수력(450㎾×3) 준공 | |
3. - | 154㎸ XLPE 2000㎟ 국내 최초 준공 | 3. 31 | 서울올림픽 지원상황실 설치 |
(팔달변전소~내당변전소) | 4. 7 | 울진원자력 1호기(95만㎾) 최초 발전 개시 | |
4. 8 |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 준공 | 4. 10 | 후츠한 대만전력공사 회장 한전 방문 |
(한국원자력연구소) | 22.9㎸ 대용량 배전 연구 시행 | ||
4. 9 | 영광원자력 3, 4호기종합설계용역 및 주기기 | 4. 12 | 345㎸ 신영주 송전선로 준공 |
공급계약 체결 | (87. 3. 31 착공, 철탑 258기) | ||
4. 10 | ‘한국전기 100년’ 기념식 | 4. 15 | 무주양수 건설사무소 개소 |
4. 18 | ‘월성원자력 이용률 세계 1위’ 기념비 제막식 | 4. 16 | 김학문(金學文), 한전 감사 취임 |
거행 | 4. 17 | 양구지점 사옥 준공 | |
영-호남 친선등반대회, 부산 금정산에서 개 | 4. 19 |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설립 | |
최 | 4. 21 | 초고압 전력계통 환상망(環狀網) 및 신영주 | |
4. 28 | 이종완(李鍾完), 전국전력노조위원장에 재선 | 전력소 준공 | |
출 | 5. 1 | 한전, 출근부 전면 폐지 | |
5. 11 | 가평지점 사옥 준공 | 무주양수 1, 2호기(30만㎾×2) 착공 | |
5. 22 | 전국 47개 대학생 5,600명 고리와 삼랑진발 | 5. 8 | 일광절약 시간제 실시 |
전소서 1박2일 견학 실시 | 5. 9 | 아태경제사회위원회(ESCAP) 송배전손실 감 | |
5. 26 | 전기 시등도(始燈圖) 완성 | 소 훈련(12일간) | |
(금추 이남호 화백 작품) | 5. 11 | 중부전력소 개소 | |
5. 28 | 전기요금 제4차 인하 조정 | 5. 13 | 원전연료 재변환 공장 기공식 |
(종합평균 4% 인하) | 5. 16 | 거창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6. 21) | |
OA 이용기술 경진대회 개최 | 5. 20 | 서울화력 및 나주지점 신축사옥 준공식 개최 | |
5. 30 | 부평지점 사옥 준공 | 5. 27 | 프랑스전력공사와 기술협력 수정 협정 체결 |
6. 2 | 인천화력과 평택화력, 연료전환공사 준공 | 나주지점 사옥 준공 | |
(LNG 발전시대 개막) | 5. - | 한림내연 성능 감소(4,850㎾) | |
6. 8 | 345㎸ 울진~동해 간 송전선로 준공 | 6. 1 | 심야전력홍보관 을지로 별관 1층에 개관 |
(86. 5. 15 착공, 60.4km, 철탑 169기) | 6. 2 | 전력그룹기술대상 시상 | |
6. 10 | 영광원자력 2호기(95만㎾) 준공 | 6. 10 | 파주지점 사옥 준공 |
영광원자력 3, 4호기용 차관 150억 엔 미국 | 6. 14 | 일일 평균전력 1천만㎾ 돌파 | |
BTC와 계약 | 6. 17 | 전기공급규정 개정안 공청회 개최 | |
345㎸ 신제천~신포항 간 송전선로 준공 | 6. 29 | 강릉수력 건설공사 수직터널 관통 | |
(87. 1. 17 착공, 206.9km, 548기) | 울진원자력 1호기 100% 출력 시운전 | ||
6. 18 | 최대수요전력 1,000만㎾ 돌파(15:00) | 7. 1 | 제1회 한전 현상문예 시상 |
6. 23 | 영광원자력 1, 2호기(95만㎾×2) 준공식 개최 | 7. 4 | 공업계 대학생 369명 현장 실습 |
원자력발전량 1,000억㎾h 돌파 | (24개 사업장서 4주간) | ||
엔화 표시 채권 75억 엔 일본서 발행 | 7. 16 | 국내 첫 연구용 연료전지 발전설비 가동 설 | |
6. 27 | 345㎸ 광양변전소 준공 | 명회 | |
6. 30 | ‘한국전기 100년’ 종합전시회 개관식(KOEX) | 7. 20 | 원자력산업회의 서울시청 지하도에 학생포 |
7. 9 | 원자력발전 1,000억㎾h 돌파 기념식 | 스터 전시 | |
7. 13 | 강서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 22) | 7. 22 | 부산지사 사옥 준공(준공식 9. 3) |
7. 16 | 태풍 셀마호 강타, 한전 피해 25억1,000만원 | 8. 4 | 2000년대 원자력 전망 워크샵 개최 |
상당 | 8. 10 | 최대수요전력 1,365만8,000㎾ 기록 | |
한봉수(韓鳳洙), 한전 제9대 사장에 취임 | (수요일 15:00) | ||
7. 20 | 최대수요전력 1,103만9,069㎾ 기록 | 8. 17 | 품질보증제도, 원자력에서 수화력ㆍ송배전 |
(월요일 15:00) | 분야까지 확대 | ||
소천(小川)소수력(480㎾×5) 준공 | 8. 19 | 서울연수원 상징조형물 제막 | |
7. 22 | 대만 원자력시찰단 180명 2개월간 4차례에 | 8. 20 |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초기 운전 착수 |
걸쳐 한국방문 시찰 | 8. 27 | 서울올림픽전력대책본부 운영 | |
7. 25 | 전기고장 신고 ‘123’번호 사용 개시 | 8. - | 154㎸ XLPE 부속재 국내 최초 개발 |
7. - | 에너지연구소, 월성원자력 1호기 원전 연료 | (금성전선) | |
전량 국산화 공급 개시 | 8. - | 154㎸ OF 부속재 국내 최초 개발(대한전선) | |
8. 1 | 한전, 호주 및 영국과 우라늄 정광(精鑛) | 9. 1 | 고객보호자문위원회 운영 |
장기공급계약 체결 | 9. 10 | 울진원자력 1호기(95만㎾) 준공 | |
8. 20 | 한전 속초생활연수원 준공 개원 | 9. 12 | 안산지점 사옥 준공 |
8. 25 | 154㎸ 예산∼서산 송전선로 준공 | 9. 15 | 전력산업기술기준 1단계 개발사업 종료 |
9. 8 | 서부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0. 30) | (87, 12. 1∼88. 9. 15) | |
9. 10 | WEC 국제집행이사회(IEC) 개최(10~18일) | 9. 22 | 봉화(奉化)소수력(500㎾×4) 준공 |
9. 24 | 강릉수력발전소(8만2,000㎾) 댐 정초식(定礎 | 9. 23 | 경수로형 핵연료 성형가공공장 준공 |
式) 개최 | 9. 30 | 외채 1억3천만 달러 조기 상환 | |
9. 25 | 한전 속초생활연수원 준공식 | 9. - | 포천소수력 증설(120㎾) 준공 |
9. 29 | 한전 정년제도 확정 | 10. 9 | 고리원자력 3호기 한주기 무고장 운전 달성 |
(전 직급 단계적으로 3년 연장) | (304일) | ||
10. 1 | 한전, 흑산도내연 1, 2, 3호기(500㎾×3) | 10. 10 | 전기원 첫 해외 견학(구주전력에 10일간) |
첫 인수 | 10. 12 | ’88 서울올림픽대회 무정전 전력공급 달성 | |
10. 29 | 전기고장신고 전화번호 ‘123’번 (서울지역) | 경축대회 개최 | |
자동화 준공식 개최 | 10. 24 | 신안지점 사옥 준공 | |
11. 5 | 보은지점 사옥 준공 | 10. 25 | 평창지점 사옥 준공 |
11. 7 | 영광원자력 3, 4호기 주설비공사 재계약 | 10. 27 | 제2회 사무자동화 경진대회 개최 |
(현대건설 낙찰) | 10. 30 | 고리원자력 2호기 최장기 무정지 연속운전 | |
11. 13 | 청송지점 사옥 준공(증축 96. 12) | (OCTF)327일 연속운전 기록 | |
11. 16 | 전기요금 제5차 인하 조정 | 11. 1 | 전자계산소 중앙전산이용기술개발경진대회 |
(종합 평균 3.8% 인하) | 대통령상 수상 | ||
11. 20 | 한전 전사적으로 DDD 신호방식 통일시행 | 전기요금 자동계좌 이체제도 전국 시(市)지 | |
(DDD 전화번호부 발간) | 구로 확대 | ||
11. 24 | 35억 엔 차관도입 체결(DKB Asia Limited와 | 대외홍보지 ‘전력문화’ 창간호 발간 | |
차환용/借換用으로 기존 엔채/債보다 3.15% | 11. 2 | 직제규정 일부 개정 | |
낮은 금리) | 11. 7 | 울산화력 및 영남화력 전기집진기 준공 | |
11. 27 | 154㎸ 반포~양지 지중선로 준공 | 11. 8 | 북제주 가스터빈 1호기(5만5,000㎾) 울산복 |
11. 30 | 서울화력 4, 5호기 열병합 개조공사 완료 | 합에서 이설 착공 | |
예산지점 사옥 준공 | 11. 9 | 일본 동경전력(TEPCO)과 기술협력 협정 체 | |
12. 3 | 삼천포화력 수입유연탄 1,000만 톤 입하 기 | 결 | |
념식 개최 | 11. 13 | 영양지점 사옥 준공(증축 96. 12) | |
12. 4 | 대체에너지 개발촉진법 공포 | 11. 16 | 서울보급소 신축사옥 준공 |
12. 5 | 월곡, 화전, 웅전, 도화, 신풍변전소 폐지 | 11. 18 | 한일병원 이전 개원식 개최 |
12. 10 | 원방감시 제어설비 시설공사 준공 | 11. 20 | 전국전력노동조합 40년사 ‘도전(挑戰)’ 발간 |
(10일 대전전력관리처, 12일 제주 지역) | 11. 21 | 이찬혁(李贊赫), 한전 제3대 이사장 취임 | |
12. 11 | 한필순(韓弼淳), 한국핵연료(주)4대 사장으 | 11. 23 | 장비관리사무소 신축사옥 준공 |
로 연임(원자력연구소장 겸임) | 11. 30 | 전기요금 평균 4.1% 인하 | |
12. 12 | 광주 계림∼충장간 지중 송전선로 관로공사 | 12. 10 | 영광원자력 3, 4호기 건설사무소 현판식 |
준공 | 재경 독신직원합숙소 입주 | ||
12. 24 | 한전, 요르단전력청(JEA)과 전력사업 협력 | 12. 15 | 장수지점 사옥 준공 |
협정 체결 | 12. 16 | 보성강수력건설사무소 개소 | |
울진원자력 1호기 최초 원전 연료 장전 | 12. 20 | 급전종합자동화설비 준공식 개최 | |
12. 29 | 흑산도내연발전소 준공 | 12. 21 | 154㎸ 청주전력소 송변전시설 준공 |
12. 31 | 추자도내연 1, 2, 3, 4호기(300㎾×4) 준공 | 강릉수력 국내 최장 수로터널 관통 | |
12. - | 합천소수력 1, 2호기(600㎾×2) 준공 | 12. 23 | 최초 표준석탄화력 보령화력 3, 4호기 주기 |
기 구매 | |||
장기전원개발계획 설명회 개최 | |||
12. 24 | 옥천지점 사옥 준공 | ||
임실지점 사옥 준공 | |||
12. 29 | 345㎸ 신인천 변전소 준공 | ||
12. 30 | 울진원자력 2호기(95만㎾) 최초 원전연료 | ||
장전 착수 | |||
12. - | 울산복합 성능 감소(2만5,000㎾) | ||
1989 | 1990 | ||
1. 1 | 전기요금 자동계좌 이체 온라인 가능 전지역 | 1. 13 | 전기사업법 개정 공포 |
확대 | 1. 22 | 동부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3. 22) | |
우라늄협회(UI) 가입 | 1. - | 미국 품질관리협회(ASQC) 가입 | |
1. 5 | 이교선(李敎璿), 한국전력보수(주) 제3대 사 | 2. 12 | 보령화력 2호기 1주기 연속 운전 |
장 취임 | 2. 14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발족(원자력안전센터 | |
1. 9 | 안병화(安秉華), 한전 제10대 사장에 취임 |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독립) | |
1. 17 | 신기조(辛基祚), 한국전력기술(주) 제8대 사 | 2. 17 | 국산 경수로 원전연료 최초 장전 |
장 취임 | (고리 2호기) | ||
2. 1 | 화상정보시스템용 ‘전력정보’ 개발, 국민에 | 2. 22 | 원자력산업회의 제11대 회장에 안병화 한전 |
개방 | 사장 선임 | ||
2. 10 | 창원전력관리처 개소(開所) | 2. 27 | 울진원자력 1, 2호기(95만㎾×2) 준공식 |
경주지점 사옥 준공 | 3. 2 | 보령화력 4, 5, 6호기(50만㎾×3) 착공 | |
2. 14 | 원자력안전실 신설ㆍ공보실 명칭 홍보실로 | 3. 8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변경 | 공포 | ||
2. 15 | 보령화력 어류 시험양식장 준공 | 3. 15 | 전기종합안내 자동응답서비스 실시 |
2. 17 | 원자력발전소 지역 민원대책회의 구성 | 3. 26 | 현금차관 45억 엔 일본 IBJ와 계약 |
2. 25 | 울진원자력 2호기 초임계 도달 | 4. 11 | 한전산업개발(주) 설립 |
3. 1 | 농어촌은행수납제 시험 실시 | 4. 13 | 한국전기안전공사 현판식 |
3. 7 |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기공식 | (특수공익법인으로 전환) | |
3. 11 | 154㎸ 세종로 지하변전소 준공 | 4. 20 | 최태일(崔泰鎰), 전국전력노조 제10대 위원 |
3. 25 | 한국전력공사 개정법률 국회 통과 | 장에 선출 | |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KMRR 열출력 3만㎾) | 4. 23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법 시행규칙 제정 공포 | |
기공 | 4. 27 | 밀양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6. 26) | |
3. 30 | 부산진전력소 개소 | 4. 30 | 한성종합산업주식회사 현판식 |
3. 31 | 보령화력 3, 4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체결 | 5. 1 | 전기요금 평균 3.7% 인하 |
3. - | 합천수력 1, 2호기(5만㎾×2) 준공 | 5. 4 | 보령화력 5, 6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체결 |
4. 1 | 입지처 신설 등 직제규정 일부 개정 | 5. 7 | 회사조직 대폭 개편 |
남제주내연 1, 2호기(1만㎾×2) 착공 | 5. 8 | 원전 주변주민 해외전력 첫 시찰 | |
4. 4 | 우리사주(社株) 창립총회 개최 | 5. 11 | 강릉수력 담수 개시 |
(대의원 128명 참석) | 5. 16 | 서인천복합화력 1, 2단계 주기기 공급 계약 | |
4. 12 | 단양(丹陽)소수력(350㎾×6) 준공 | 체결 | |
4. 14 | 울진원자력 2호기 최초 발전 개시 | 5. 24 | 단기전력수급 안정대책(90~93) 확정 |
한전, 일본 전력중앙연구소와 기술 협력 협 | 5. 25 | 보성강수력(4,500㎾) 발전설비 교체 증설 | |
정 체결 | 한-일 정부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 ||
4. 17 | 전기공급규정 대폭 개정 | 협력각서 서명 | |
4. 22 | 남제주내연 1, 2호기(1만㎾×2) 건설사무소 | 5. 26 | 영광원자력 4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
개소 | 5. 29 | 울진원자력 전시관 관람객 100만명 돌파 | |
4. 23 | 154㎸ 용인 송전선로 운전 개시 | 5. 31 | 이종훈(李宗勳), 한전 부사장 이임 |
4. 24 | ’88 연동화 장기전원개발계획 확정 | 전남지사 사옥 준공(준공식 9. 5) | |
4. 25 | 동자부, 2001년까지 발전소 38기, 1,800만 | 6. 15 | 이종훈, 한국전력기술(주) 제9대 사장에 취 |
㎾ 건설(원자력 6기 포함) 장기전원개발 계 | 임 | ||
획 발표 | 6. 29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114억 확정 | |
진해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7. 5) | 6. 30 | 서인천복합화력 1단계 가스터빈 1, 2, 3, | |
5. 1 | 거문도내연발전소 준공 | 4호기(15만㎾×4), 스팀터빈 1, 2, 3, 4호기 | |
5. 2 | 울진원자력 3, 4호기 건설 기본계획 확정 | (7만5,000㎾×4) 착공 | |
5. 3 | 영천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7. 7) | 7. 1 | 울산, 영남, 여수화력 1호기 재가동 |
5. 15 | WANO 창립총회에 안병화 사장 참석 | 7. 4 | 남제주내연 1호기(1만㎾) 준공 |
5. 16 | 보령화력 3호기(50만㎾) 착공 | (준공식 92. 4. 17) | |
5. 18 | 한국ㆍ프랑스 원자력협력각서 교환 | 7. 13 | 무주양수 가배수터널 관통식 개최 |
5. 27 | 발전소주변 지역지원에 관한 법률 국회 통과 | 원주지점 사옥 준공 | |
(시행 90. 1) | 7. 19 | 제225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울진원자력 3, 4 | |
5. 31 | 2000년대 원자력 전망 및 대처 방안 연구 | 호기(PWR 100만㎾)건설 계획 의결 | |
발표회 | 7. 23 | 김식(金湜), 한전 제4대 이사장 취임 | |
6. 1 | 영광원자력 3, 4호기(100만㎾×2) 건설 착공 | 7. 24 | 용인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1. 16) |
6. 8 | 전력구(電力溝) 통신 및 감시제어시스템 준 | 7. 25 | 당진화력 1, 2호기 설계기술 용역 계약 체결 |
공 | 7. - | 345㎸ OF 저손실 케이블 1,600㎟ 국산 개발 | |
6. 10 | 영광원자력 창원주재원실 설치 | (대한전선) | |
6. 15 |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가입 | 8. 2 | 장기옥(張基玉), 한전 부사장 취임 |
남제주내연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8. 13 | 최대수요전력 1,725만2,000㎾ 기록 | |
6. 16 |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 (월요일 15:00) | |
6. 20 | 66㎸ 철원변전소 준공 | 8. 14 | 남제주내연 3, 4호기(1만㎾×2) 착공 |
6. 28 | 광주전력 원방감시제어설비(遠方監視制御設 | 8. 17 | 분당 및 안양복합화력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備/SCADA) 준공 | 제34차 IAEA 총회 참석(원자력의 평화적 이 | ||
7. 1 | 전기요금 7% 대폭 인하 | 용 증진 및 군사적 이용 억제 방안 논의) | |
7. 10 | 제1차 한전ㆍ동경전력간 정기회의 개최 | 9. 21 | 기술연구원 신축사옥 기공식 개최 |
김제지점 사옥 준공 | 9. 24 | KINS-CEA/IPSN 원자력 안전성 관련기술 | |
7. 11 | 삼척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0. 27) | 협정 체결 | |
7. 18 | 성남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0. 12) | 9. 30 | 남제주내연 2호기(1만㎾) 준공 |
7. 25 | 서천화력 제2 회사장(灰捨場) 준공 | (준공식 92. 4. 17) | |
8. 1 | 우편엽서 팩스 이용 휴전 안내제도 시행 | 10. 7 | 서인천 복합화력 2단계 가스터빈 5, 6, 7, 8 |
8. 10 | 한전주 국민주 2호로 주식시장에 상장 | 호기(15만㎾×4), 스팀터빈 5, 6, 7, 8호기 | |
최대수요전력 1,505만8,000㎾ 기록 | (7만5,000㎾×4) 착공 | ||
(목요일 15:00) | 10. 10 | 기초전력공학공동연구소 준공식 개최 | |
8. 11 | 원전기술자립 세미나 | 10. 14 | 한전합창단 노동문화제 금상 수상 |
8. 12 | 덕적도 내연발전소 준공 | 10. 17 | 원자력발전에 대한 시민 토론회 |
8. 22 | 국제자동제어연맹 주최, 전력계통 및 발전 | 11. 1 | 안양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호기(7만 |
소제어 국제심포지엄 개최 | 5,000㎾×4), 스팀터빈 1호기(15만㎾) 착공 | ||
8. 29 | 월계변전소 화재 | 북제주 가스터빈 2호기(5만5,000㎾) 울산복 | |
9. 12 | 진안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1. 7) | 합서 이설 착공 | |
9. 20 | 산내(山內)소수력(820㎾) 준공 | 11. 3 | 안면도 집단민원사태 발생 |
9. 22 | 제1회 사장배 바둑대회 | 11. 10 | 강릉지사 사옥 준공 |
9. 28 | 경수로 핵연료 성형가공공장(연 200톤) 준공 | 11. 29 | 분당복합화력 가스터빈 1, 2, 3, 4, 5호기 |
식 개최 | (7만5,000㎾ ×5), 스팀터빈 1호기(18만 | ||
9. 29 | 설비안전의 날 제정 시행 | 5,000㎾) 착공 | |
9. 30 | 울진원자력 2호기(95만㎾) 준공 | 11. 30 | 안면도 집단민원사태와 관련 국정감사 실시 |
이천지점 사옥 준공 | 12. 1 | 동대구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1. 4. 19) | |
10. 12 | 광명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12. 14) | 12. 8 | 수안보생활연수원 신관 준공식 개최 |
10. 13 | 신규 원전건설 공개토론회 개최 | 12. 11 | 김동훈 (金東勳), 한국원전연료(주) 제5대 |
10. 17 | 현금차관 7,500만 달러 홍콩 NIPPON과 계약 | 사장에 취임 | |
10. 23 | 삼천포화력 3, 4호기(56만㎾×2) 착공 | 12. 13 | 한국전기안전공사 신축사옥 준공식 개최 |
10. 24 | 경남지사 사옥 준공 | 12. 14 | 한국ㆍ러시아, 원자력의 평화적이용 협력에 |
(99. 12 신축사옥 준공 예정) | 관한 의정서 서명 | ||
10. 25 | 한전, 미국 조지아전력회사간의 기술협력 | 12. 19 | 제주도 지역 22.9㎸-y 승압시행 계획 확정 |
협정 체결 | 12. 21 | 한국전력기술(주), 유엔기술개발협력국 | |
11. 1 | 경북지사 자료실 개관 | (UNDTCD)에 기술용역업체로 신규 등록 | |
11. 3 | 5개 3급지점 신설 등 직제규정 일부 개정 | 12. 27 | 진주지점 사옥 준공 |
11. 4 | 서울국제전력산업 전시회 개최 | 12. 28 | 월성원자력 2호기 플랜트 종합설계용역 및 |
11. 10 | ‘한국전기 100년사’ 발간(상ㆍ하권, 화보집) | 원자로설비 공급 계약 체결 | |
11. 21 | 삼천포화력 3, 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체결 | 강릉수력 1호기(4만1,000㎾) 준공 | |
12. 4 | 아산지점 사옥 준공 | 12. 31 | 덕적도내연(900㎾) 준공 |
12. 10 | 원전안전의 날 제정, 첫 시행 | 보성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1. 4. 23) | |
12. 21 | 영광원자력 3, 4호기 건설허가 취득 | ||
12. 23 | 영광원자력 3, 4호기(100만㎾×2) 최초 콘크 | ||
리트 시공 | |||
자동원격검침 실용화 시범 운영 | |||
12. 26 | 고창지점 사옥 준공(준공식 90. 3. 15) | ||
12. 27 | 정선지점 사옥 준공 | ||
12. 28 | 대구전력관 개관 | ||
12. 29 | 태안화력 건설, 충청남도와 지역협력 협약 | ||
체결 | |||
거문도내연(1,800㎾) 준공 | |||
12. 31 | 북제주 가스터빈 1호기(5만5,000㎾) 울산복 | ||
합에서 이설 준공 | |||
12. - | 345㎸ OF 케이블 국산 개발 | ||
(금성전선, 대한전선) | |||
출처 : 전력통신회
글쓴이 : 권승룡 원글보기
메모 :
'역사·정치·경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는 우리땅 / 공식 증빙 자료 와 해설 (0) | 2011.08.24 |
---|---|
[스크랩] 電力史 年表4 (1991∼2001) (0) | 2011.08.19 |
[스크랩] 電力史 年表2 (1971∼1980) (0) | 2011.08.19 |
[스크랩] 電力史 年表 1 (1961∼1970) (0) | 2011.08.19 |
[스크랩] 세계화폐 최고액권 소개 (0) | 201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