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탈입망(坐脫入亡)
- 앉거나 선 자세로 열반하는 것을 일컫는 불교용어.-
불교에서는 죽음을 미혹(迷惑)과 집착(執着)을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한 최고의 경지인 열반(涅槃)으로 본다.
곧 죽음은 삶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번뇌가 없어지는 적멸(寂滅)의
순간인 동시에 법신(法身:영원한 몸)이 탄생하는 순간이기 때문에 예부터
선사나 고승들은 죽음을 슬퍼하기보다는 오히려 기뻐하였다.
이 때문에 찾아오는 죽음의 순간을 맞아들일 때도 일반인들처럼
누워 죽는 경우, 자신의 몸을 불태워 소신공양(燒身供養)하거나, 앉거나 선 채로 죽는 경우 등 죽음의 형식도 다양하였다.
이 가운데 앉거나 선 채로 열반하는 것이 바로 좌탈입망이다.
보통 법력이 높은 고승들이 죽을 때 택하는 방법으로, 죽음마저도 마음대로
다룬다는 뜻이 함축되어 있다.
오가칠종(五家七宗)의 제3조 승찬(僧璨)은 뜰을 거닐다 나뭇가지를 잡은 채 서서 열반하였고, 당(唐)의 등은봉(鄧隱峰)은 물구나무 선 채로 열반하였다.
그리고 스스로 다비할 땔감을 준비한 후 그 위에서 열반한 관계 선사, 제자들에게 “내 죽으면 시신을 숲 속에 놓고 들불에 타도록 하라”고 유언한 혜안국사, “시신을 벌레에게 주고, 탑이나 부도를 만들지 말라”고 했던 청활스님, 제자들과 백문백답을 마친 후 법상에서 내려와 입적한 보조국사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한국의 근현대 고승들 가운데서도 밧줄을 붙잡고 화두를 외며 죽음을 맞은
대한불교조계종 초대 종정 효봉(曉峰)큰스님 외에 오대산 상원사의 한암
(寒巖)큰스님, 백양사의 만암(曼庵)큰스님 순천 송광사의 초대 방장 구산
(九山)큰스님 조계종 5대 종정을 지낸 백양사의 서옹(西翁)큰스님 등이 모두
좌탈입망하였다.
선가(禪家)에서 좌탈을 중시하는 이유는 마지막 죽는 순간의 의식 상태가 다음 환생(還生)과 관련된다고 보는 사생관(死生觀) 때문이다.
좌탈을 했다는 것은 죽는 순간에도 각성(覺醒) 상태에서 평온하게 죽음을 맞이 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 상태가 다음에 태어날 때의 의식수준이나 육체적 조건을 결정한다고 믿는다.
공포와 혼돈 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하면 그 상태가 이월되어서 환생할 때에도
비각성(非覺醒) 상태로 태어나지만, 죽음을 바라보면서 죽는 죽음은 다시 환생할 때 각성 상태로 태어난다는 말이다.
마지막 순간에 어떤 생각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종교·사상·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참선 (0) | 2011.02.18 |
---|---|
서옹스님 말씀 (0) | 2011.02.16 |
불탑 및 사찰 건축물등에 관한 용어와 상식 (0) | 2010.11.30 |
[스크랩] 불상에 관한 상식 (0) | 2010.11.30 |
탄허대종사 기념박물관 개관 (0) | 2010.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