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역사·정치·경제·과학

인프레이션 대응책

碧空 2008. 6. 18. 16:01

인플레의 위협, 내 지갑을 지켜라

[머니위크 커버스토리]실물자산·주식·물가연동채권 매력

황숙혜 기자 | 06/17 08:03 | 조회 4364

 
수입은 똑같은데 주머니를 가볍게 만드는 불청객. 구매력을 떨어뜨림으로써 내 자산 가치를 희석시키는 주범. 바로 인플레이션이다.

물가가 상승은 같은 돈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가 줄어들기 때문에 실질 소득을 떨어뜨리고 같은 맥락에서 자산 가치도 깎아내린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서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각종 생활 필수품으로 퍼지면서 사람들의 허리를 휘게 하고 있다. 우선 지갑을 닫는 것이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가장 단순하고 쉬운 방법이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내 자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사실 재테크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투자 수익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금융상품이나 남다른 전략을 찾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평소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때 물가 상승을 헤지할 수 있는 자산을 일부 보유한다면 전체 자산 가치를 보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가 따라 오르는 실물자산에 투자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가장 잘 헤지하는 것은 실물 자산이다. 금이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그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인플레이션 역시 실물 자산이 한 가지 처방전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는 말했다. 금과 곡물, 원유 등 원자재와 관련한 금융상품이나 부동산에 대한 직간접 투자가 인플레이션으로부터 자산을 지켜줄 수 있다는 것. 다만 관련 상품에서 고수익을 기대하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의 구매력을 보전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했다.

송승용 희망재무설계 FP는 "달러화에 연동해 움직이는 금은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위축으로 인해 자산과 현금의 구매력이 떨어질 때 이를 방어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말했다.

손우철 TNV AD센터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질 때는 금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의 매력이 증가한다"며 "물가 상승에 따라 부동산 임대료도 상승한다는 측면에서 임대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투자나 그밖에 원자재펀드 투자가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물 자산 투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장득수 슈로더투신 본부장은 "전통적으로 물가 상승기에 실물자산 투자가 자산가치 하락을 방어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최근 상황은 금과 원유 등 원자재시장에 유동성으로 인한 거품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역시 리스크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승용 FP는 "원자재 관련 금융상품 투자는 1~2년 안에 고수익을 내겠다는 목적보다는 장기적으로 내 자산의 구매력을 보전하겠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성장 국가 주식형펀드 투자도 바람직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 있는 자산은 주식이며 특히 고성장을 달리는 신흥시장의 주식이 매력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금융시장의 역사가 오랜 선진국의 경우를 보면 채권과 부동산, 주식 등 여러 자산 가운데 인플레이션에 가장 높은 내성을 보인 것이 주식이라는 것.

따라서 물가 상승률만큼 성장이 뒷받침되는 국가의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김한진 피데스투자자문 부사장은 "신흥국의 경우 임금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에도 소비가 줄어들지 않는다"며 "소비가 뒷받침되면 내수와 기업 실적에 미치는 타격이 미미하기 때문에 신흥국에서는 물가와 함께 주가도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손우철 센터장은 "연간 단위로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인 지역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와 가장 낮은 주가 상승률을 보인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를 비교한 결과 후자보다 전자의 수익률이 더 높았다"며 "국가별 주가 상승률을 비교해 높은 지역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 수출 중심 국내 우량주 매력적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가 가장 높은 자산은 주식이라는 것이 선진국의 경험에서 입증되었지만 종목 선정에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곤란하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가 줄어들 경우 내수 부진으로 인해 실적에 타격을 입는 기업이 나타나고, 이런 종목에 투자했다가는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제품 가격에 전가시킬 수 있는 수출 기업이 매력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한진 부사장은 "이번 인플레이션은 국내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해외 수요를 확보하고 소비 감소의 영향으로 가격을 떨어뜨리지 않아도 될 만큼 경쟁력을 가진 수출 기업이 현 시점에서 투자하기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대규모 설비나 부채가 많은 전통 제조업보다 IT 중심의 수출기업이 유망하다는 것. 그는 "우량주가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통신주나 자원관련주,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갖춘 저 PER 종목에 관심을 가질 만 하다"고 말했다.

◆ 물가에 연동하는 채권도 대안상품

물가 상승 시기에 채권은 투자 매력이 크게 떨어진다. 물가가 오르면 실질 이자율이 하락하기 때문에 채권 가치도 하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가연동채권은 원금과 이자를 물가에 연동시킴으로써 채권 가치를 보전해 주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시대의 투자 자산으로 손꼽힌다.

가령 물가연동채권에 100만원을 투자했는데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한 물가상승률이 5%라면 원금이 105만원으로 늘어나고 이자 역시 늘어난 원금을 기준으로 책정되는 구조다.

최근 리먼브러더스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물가연동채권의 매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거의 대부분의 채권 시장에서 물가연동채권이 높은 실적을 올렸으며 앞으로 그 매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공격적 투자보다 실탄 확보해야

모든 투자자금을 실물이나 금융 자산에 투자할 것이 아니라 현금 비중을 높여 두는 것이 유리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인플레이션이 가계의 숨통을 조이는 한편 선진국의 금융 위기가 실물경제로 파급되는 있는 만큼 공격적으로 투자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장득수 본부장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실물경기 위축이 맞물린 만큼 전반적인 투자 위험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현금을 확보한 후 소나기가 그칠 무렵에 투자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