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정보통신기술·사업

지하전력구 ,소방방재시설 시급하다.

碧空 2007. 1. 10. 09:53
[긴급진단]지하전력구, 소방방재시설 시급하다
화재에 속수무책… 자칫 대형사고 우려 2007.01.04 11:31
선형감지기.방화문 등 방재시설 갖춰야

지난달 29일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지하 고압 송전선로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지하전력구 소방안전시스템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하전력구는 송전탑이 지나는 지역의 미관을 고려해 대부분 터널 형태로 도로밑 지하에 매설돼 있고, 전력구에는 전력선.통신망 등 여러 케이블이 얽혀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국가 중추신경망이 마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첨단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아킬레스건인 것이다.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곳은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등 서울 동북부 지역의 전기를 공급하는 송전선로로 경기 구리시 교문동과 서울 망우동 고개 부근 지하전력구이다.


◆원인은 무엇

한전측은 시험 가동중이던 34만5,000V 고압 송전선의 케이블 접속지점에서 불꽃이 튀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화재발생지점의 케이블이 모두 불에 탄 상태여서 화재원인을 정확하게 밝히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행히 화재 후 다른 지역 변전소의 전기를 끌어다 써 정전사태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날 화재로 문제의 선로를 상당기간 사용할 수 없어 인근 변전소의 전력공급 안정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주변지역에 정전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우려도 있다.

케이블 복구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전선만 이어붙이는 임시 복구에만 보름 정도 걸리고, 완전복구에는 2달 정도 걸릴 것으로 한전측은 예상했다.


◆대형사고 위험성 우려

지하전력구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2000년 2월 서울 여의도 백조아파트 앞 지하전력구 화재사건으로 18시간 동안 진화되지 않아 인근아파트와 빌딩 등에 전기 공급이 끊겨 여의도 전체를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2002년 2월 서울 우면동 한국통신연구개발본부앞 지하전력구 화재, 2004년 서울 개포동 부근의 지하전력구 화재 등 크고 작은 지하전력구 화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전력공급의 대동맥인 지하전력구는 화재에 속수무책이다. 전력선과 통신망이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지하전력구에는 물분무 소화설비 등 방재시설이 없어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대책은 있나

전력선과 통신망 등이 밀집돼있는 지하전력구의 화재를 예방하려면 화재감시장비와 소방방재시설은 필수적이다.

이번에 발생한 지하전력구에는 온도로 화재를 감지하는 열 감지기만 있었고, 다른 지역의 지하전력구 사정도 방재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다. 대형화재를 막기엔 턱없이 미비해 선형감지기, 방화문 등 방재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경민대 소방안전시스템과 김엽래 교수는 “지하전력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로 인해 외부에서 진압을 할 수 밖에 없다”며 “케이블에 불이 붙으면 선로를 따라 신속하게 화재경보를 보내는 선형감지기는 지하전력구의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제압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하전력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열 감지기는 화재 감지 속도가 느려 진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어 “스프링클러, 물분무 소화설비 등을 일정 구간마다 설치해야하고, 특히 물분무 소화설비는 냉각효과와 질식효과가 뛰어나 예방효과가 있다”면서 “지하에 사람만 통과할 수 있는 공간만 남겨 두고 일정 구간에 방화문을 설치하는 것도 대형화재를 막는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정연석 기자 jys@ctn.or.kr
- Copyrights ⓒ 건교신문 & ctn.or.kr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