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역사·정치·경제·과학

우리 조상들 아동 교육

碧空 2025. 8. 24. 22:05

🦋 도리도리 까꿍은 무슨 뜻일까?🦋

우리 선조에게는 오랫동안 내려온 전통 육아법이 있었는데  <단동십훈(壇童十訓)>이 그것입니다.

 

<단동치기십계훈>의 줄임말로 ‘단군왕검의 혈통을 이어받은 배달의 아이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가르침’이란 뜻입니다.

 

0세에서 3세 까지의 아기를 어르는 방법이 들어있지요.

 

단동십훈이라는 말이 생소하지만 담긴 내용은 이미 알고 있는 것입니다.

의성어이거나 의태어인 줄 알았던 ‘도리도리’, ‘곤지곤지’, ‘죔죔’, ‘짝짜궁’이 모두 여기에 나옵니다.

머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아기를 어르는 ‘도리도리(道理道理)’는 길 도(道)에서 다스릴 리(理)를 쓰고,

 

까궁은 ‘각궁(覺?躬’)‘에서 나왔는데 깨달을 각(覺)에 몸 궁(躬)입니다.

’천지만물이 하늘의 도리로 생겼으니 너도 하늘의 도리를 따라 생겼음을 깨달으라‘는 뜻이지요.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왼손바닥 가운데 찧는 동작을 하는 곤지곤지는 하늘 건(乾), 땅곤(坤)을 쓰는

 

’건지곤지(乾知坤知)‘로부터 유래했습니다.

’하늘과 땅의 이치를 깨달으면 천지간 무궁무진한 조화를 알게 된다.‘는 뜻입니다.

두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죔죔은 ‘지암지암(持闇持闇)’에서 왔습니다. ‘죔 줄 알았으면 놓을 줄도 알라’는 깨달음을

 

은연중에 가르치는 뜻이라고 하지요.

또 아기 아빠가 아기를 손바닥 위에 올려 세우는 것을 ‘섬마섬마’라고 하는데 ‘남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일어서

 

굳건히 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아기가 위험한 데로 가려거나 손을 대려고 하면 ‘어비어비’ 하면서 못 가도록 하지요.

 

이는 한자 ‘업비업비(業非業非)’에서 왔습니다. 일함에 도리와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아가, 하늘과 땅의 이치를 깨달으면 인생에 어려움을 겪더라도 쉬이 견딜 수 있을 테니 앎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거라.


아가, 가지려고만 애쓰지 말고 내려놓는 법도 알아야 한단다.


아가, 남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일어서거라.


아가, 무슨 일을 할 때는 성과에 집착하지 말고 도리에 어긋남이 없도록 해야 한단다.


아가, 도리도리 까꿍, 너는 하늘의 도리에 따라 생긴 귀한 존재란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기로 하겠습니다.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 
       



'역사·정치·경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불두착분(佛頭着糞)  (0) 2025.09.08
우리 조상들 아동 교육  (4) 2025.08.24
AI 와 대화록  (2) 2025.07.10
도산 안창호  (2) 2025.05.26
달러에 새겨진 문구  (0)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