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건강·생활지혜

녹내장이란

碧空 2009. 12. 25. 00:58

 
 

 
 
 

우리 눈이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일정한 눈 속의 압력을 말합니다. 이는 눈속을 채우고 있는 물(방수)의 양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방수란 안구의 앞부분인 각막과 수정체 사이를 채우고 있는 투명한 액체로서 수정체 주위에 있는 모양체에서 만들어져서 배출관인 섬유주라는 조직을 통해 눈의 바깥으로 배출됩니다. 방수는 이렇게 끊임없이 순환하며 수정체와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합니다.

더불어 눈의 압력인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눈이 너무 말랑말랑하게도, 너무 단단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정상적인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이러한 방수가 너무 많이 만들어지거나 혹은 배출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으면 안압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렇게 안압이 높아지면 망막의 시신경 섬유층에 부담이 되어 시신경 및 시신경유두에 손상이 오게 됩니다. 그래서 안압은 녹내장의 진단과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척도중 하나입니다. 정상안압이란 일반적으로 10 mmHg와 21mmHg사이의 압력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상인의 95%가 이 범위의 안압을 나타낸다는 것을 뜻하며, 실제로는 정상 안압을 수치로 표현하는데는 문제가 있습니다.이는 사람마다 키가 다르듯이 사람마다 안압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18 mmHg는 통계적으로는 정상 범위에 속하는 안압이지만 어떤 환자에서는 이 안압으로도 시신경 손상을 일으키므로 그 환자에서는 정상 안압이 아니라 높은 안압인 것입니다.그러므로 정상안압을 정확하게 정의한다면 ' 시신경에 손상을 주지 않는 안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안압이 녹내장을 진단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나 이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신경 검사와 시야 검사와 같은 정밀한 녹내장 검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안압이 올라갈 때 시신경유두는 망막의 신경섬유들이 모여서 눈을 떠나 뇌로 들어가는 곳으로 안압이 상승되어 시신경들이 손상되면 이곳에 변화가 오게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눈의 압력이 올라가면 시신경이 직접 손상을 받거나 눈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시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시야란? 우리가 어느 한 점을 주시하더라도 그 주시점 이외의 주변이 동시에 보이게 됩니다. 이것을 시야라고 합니다. 시야는 윗쪽과 코쪽으로는 60 , 아랫쪽은 70~75 , 귀쪽은 100~110 정도로 한정되어 있는데 시신경이 손상 받으면서 시야에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시야변화는 녹내장이 상당히 진행하도록 본인이 잘 모를 수 있기 때문에 녹내장이 위험한 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야결손의 형태는 시야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요즘은 자동시야검사장비를 통하여 쉽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흔히들 말하지만, 몸의 창이기도 합니다. 몸의 상태가 좋지 못하면 눈도 피곤하고 눈의 상태가 좋지 못할 때에는 몸에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녹내장의 자각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시력이 저하된 것 같은 느낌이 있다.
2. 머리가 무겁거나 아프다.(두통)
3. 기분이 안 좋고 , 오심 및 구토증세가 있다.
4. 어깨가 결린다.
5. 불빛을 보면 그 주위에 무지개 비슷한 것이 보인다.
6. 눈이 무겁고 피곤을 느끼기 쉽다.
7. 눈이 아프다.
8.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듯한 느낌이 있다. (이물감)
9. 눈이 흐리다.

이상과 같은 자각증상이 있는 분들은 될 수 있는 데로 빨리 진찰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각증상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차가 있어서, 녹내장의 경우 자각증상이 없는 사람은 3명중 1명 정도 있습니다. 그 때문에 발견이 늦어지기 쉽고, 발견했을 때에는 너무 늦어버린 경우가 많습니다. 대체로 녹내장의 원인은 불명이나 다음과 같은 경우는 발병의 요인을 갖고 있습니다.

1. 안압이 높은 사람
2. 부모, 형제 중에 녹내장 환자가 있는 사람
3. 연령이 40세 이상인 사람
4. 당뇨병인 사람
5. 근시인 사람은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6. 혈압이 높은 경우
7. 눈에 염증이 반복되는 경우,
8. 약국에서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서 남용하는 경우
9. 눈에 심한 타박상을 받은 경우
10. 눈속에 출혈이 있었던 경우,
11. 백내장을 치료하지 않고 오래 방치 한 경우

이상과 같은 증상이 있는 사람은 녹내장의 조기발견을 위해, 검사를 받으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건강·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분류  (0) 2009.12.25
녹내장 검사  (0) 2009.12.25
뇌가 강해지는법  (0) 2009.12.24
[스크랩] 인터 넷 주소록  (0) 2009.12.23
건망증 원인과 탈출법  (0) 2009.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