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하자 !!

참되고 바르게

건강·생활지혜

통신시장 M&A 활기

碧空 2007. 12. 3. 10:50
<통신시장 M&A 통한 재편 막 올랐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 SK텔레콤[017670]이 3일 하나로텔레콤[033630] 인수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통신시장은 인수합병(M&A)을 통한 질서 재편의 막이 올랐다.

   유무선 융합 서비스들이 속속 선보이고 IPTV 등 방송통신 융합시장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와 경쟁이 촉발돼 방송통신 융합 시장으로의 무게 중심 이동도 한층 빨라지게 됐다.

   한편으로는 무선의 절대강자인 SK텔레콤이 유선 2위 업체인 하나로텔레콤을 인수함에 따라 시장독과점에 대한 안전장치 마련과 함께 금융권의 MVNO(가상이동통신사업자) 시장 진출 등 대폭적인 규제완화를 통한 무한 경쟁의 전장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통신업계 M&A 신호탄 = 이번 SK텔레콤의 하나로텔레콤 인수로 인해 유선과 무선으로 나뉘었던 경계가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됐다. 유선과 무선을 모두 갖춘 상태에서 효율성을 높인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는 승자 독식의 환경에서 M&A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종국에는 KT[030200] 그룹과 SK그룹의 2강 구도 또는 상대적으로 열세인 LG그룹을 포함한 3각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무엇보다도 다급해진 쪽은 LG그룹.

   LG는 지난 2003년 하나로텔레콤 인수전에서 실패한 뒤 와신상담했지만 결국 자금력을 앞세운 SK텔레콤에 하나로텔레콤을 내줌에 따라 통신시장에서 생존의 기로에 서게 됐다.

   LG데이콤은 내년 중 LG파워콤을 주식시장에 상장 시킨다는 계획이며, 상황에 따라 내년 안에 합병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KT도 KTF와 합병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다.

   향후 무한경쟁의 시장환경에서 비용을 낮추면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집을 더욱 키워야한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남중수 KT 사장도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무조건 합병하는 게 능사가 아니라 합병을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 가치를 높일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이 조건을 충족시키면 원하는 시기에 합병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적극적인 의지를 내보였다.

   KT는 이미 KTF와의 합병을 위한 전담팀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자사주를 이용해 KTF와 주식을 맞교환하고 KTF의 주식을 소각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하고 있다.

   ◇방통융합 시장 이동 가속화 = SK텔레콤이 하나로텔레콤을 인수한 것은 향후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번 인수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의지가 매우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 회장은 프리IPTV인 `하나TV'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따라서 SK텔레콤이 하나로텔레콤이라는 카드를 활용해서 IPTV 시장에 본격적인 드라이브를 걸것으로 보이며, 그밖의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 등 방통융합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KT의 경우 그동안 통신업계를 대변해 홀로 분투를 했지만 SK텔레콤과 경쟁을 하면서 때로는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방송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 통신시장의 LG데이콤[015940]도 연내에 IPTV 서비스를 출범시키는 등 방송통신 융합시장으로의 시장 전이에 대해 적극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케이블TV(SO) 업체들도 자체적으로 M&A 등을 통해 몸집을 키우거나 통신사와의 M&A를 통해 살길을 모색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경쟁활성화를 통한 독과점 해소 = 통신시장이 거대 공룡 기업들의 `나눠먹기 식'으로 굳어진다는 우려에 따라 독과점 해소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정보통신부는 SK텔레콤에 대한 인수 조건으로 이 부분에 대한 확실한 안전 장치를 요구할 방침이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최근 SK텔레콤의 하나로텔레콤 인수가 통신시장 독과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현재 경쟁업체들에서 거론되고 있는 조건은 시장 점유율 제한, 800㎒ 망 조기 개방, 음성.데이터 회계 분리 등이다.

   하지만 통신시장의 불필요한 규제 완화가 통신정책의 큰 흐름이어서 경쟁활성화를 통한 독과점 해소 방안으로 방향이 잡힐 전망이다.

   정통부는 이미 공정거래위와 협의를 통해 이동통신 재판매를 제한 없이 허용하는 등 소매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마련한 상태다.

   이에 따라 금융권 등 다른 업종의 MVNO(가상이동통신사업자) 허용 등 경쟁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규제 장벽을 제거하는 정책들이 속속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건강·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안풍수  (0) 2008.01.10
물마시는 요령  (0) 2007.12.11
통신시장 M&A 활기  (0) 2007.12.03
연말정산 달라진것  (0) 2007.12.03
연말정산 달라진것  (0) 200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