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塔 國寶
國寶 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圓覺寺址十層石塔)
서울 종로구 종로2가 38
조선(朝鮮) 세조(世祖) 11년(1465)에 세운 원각사는
연산군(燕山君) 때 폐사(廢寺)되어
현재 이 탑과 비(碑)만 남아 있다
國寶 20호 불국사 다보탑
( 佛國寺多寶塔 )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다보탑과 석가탑(불국사삼층석탑,국보 제21호)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탑으로, 높이도 10.4m로 같다
國寶 21호 불국사 삼층 석탑
(佛國寺 三層 石塔)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불국사(佛國寺)대웅전(大雄殿) 앞뜰에 동서로
세워진 두 탑 중 서쪽에 있는 탑이다.
國寶 6호 중원탑평리칠층석탑
(中原塔坪里七層石塔)
충북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11
이 탑은 남한강(南漢江) 상류(上流)의 강가 높은 토단 위에
건립(建立)된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유일한 7층의 거탑(巨塔)으로 높이 14.5m이다.
國寶 11호 미륵사지 석탑
(彌勒寺址 石塔)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탑의 건립연대는 600년경으로 추정되며,
한국 석탑의 시원양식(始源樣式)으로서
목탑(木塔)이 석탑(石塔)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구조를
보여주는 중요한 탑이다.
탑의 규모로 보더라도 한국 석탑 중 최대의 걸작이다
國寶 30호 분황사 석탑
(芬皇寺 石塔)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사
이 석탑(石塔)은 돌을 흙으로 구워 만든 전돌(塼石)처럼 깎아 만들어
쌓은 석탑으로, 전돌로 쌓은 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고 부른다.
탑이 세워진 것은 분황사(芬皇寺) 창건(創建)과 같은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3년(634)으로 보고 있다,
國寶 16호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安東 新世洞 七層塼塔)
경북 안동시 법흥동 8
이 탑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다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창건되었다는 법흥사(法興寺)에
세워진 전탑(塼塔)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17m, 기단너비 7.75m이다.
;;;;
國寶 35 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은 연기조사(緣起祖師)의 어머니와
관련되는 전설을 지닌 석탑으로
탑 조성에 있어 착상이 기발하고 조각이 우수한 점 등은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여러 개의 사자탑 가운데
이를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손꼽게 한다.
國寶 40 호 정혜사지십삼층석탑
(淨惠寺址十三層石塔)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
이 탑은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탑으로서 원 위치에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기단은 단층 토축(土築)이다.
國寶 48 호 월정사팔각구층석탑
(月精寺八角九層石塔)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월정사
이 석탑은 우리나라 북쪽 지방에 주로 유행했던
다각다층석탑(多角多層石塔)의 하나로
고려초기(高麗初期) 석탑을 대표하는 것이다.
國寶 86호 경천사십층석탑
敬天寺十層石塔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국립중앙박물관
이 탑은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중련리 부소산(扶蘇山)
경천사터(敬天寺址)에 있던 것으로
고려(高麗) 충목왕(忠穆王) 4년 (1348)에 세웠다는 기록이 있으며
탑골공원에 있는 원각사지십층석탑은 이 탑을 본따 만든 것이다.
國寶 213호 금동대탑
금동탑이나 청동탑은 절의 중심적인 존재라기보다
건물 안에 모셔두기 위해 만든 것이므로,
일반적인 탑이라기보다 하나의 공예품, 혹은 공예탑으로 볼 수 있다.
이 탑은 현재 높이만도 155㎝로
제법 큰 규모이다.
國寶 100호 남계원칠층석탑
南溪院七層石塔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 개성 부근의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탑으로,
예전에는 이 터가 개국사(開國寺)의 옛터로 알려져
개국사탑으로 불려져 왔으나,
나중에 남계원의 터임이 밝혀져 탑의 이름도
남계원칠층석탑으로 고쳐지게 되었다.
國寶 101호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
;;이 부도는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67)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원래 법천사터에 있던 것인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國寶 289호 익산왕궁리5층석탑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 모습이 드러났다.
;;
國寶 102호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
고려 목종 때의 승려인 홍법국사의 부도로,
충청북도 중원군(현 충주시)의 정토사 옛터에 있던 것을
1915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國寶 130호 선산죽장동오층석탑
선산 시내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터에 있는 석탑으로,
주변에 석재와 기와조각이 널려 있어 건물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탑으로, 높이가 10m에 이른다
國寶 187호 봉감모전오층석탑
경주 영양군 산해동 강가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이 마을을 ‘봉감(鳳甘)’이라고 부르기도 하여
‘봉감탑’이라 이름붙여졌다
1단 기단의 모습과 돌을 다듬은 솜씨, 감실의
장식 등으로 미루어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國寶 57호 쌍봉사철감선사탑
雙峰寺 澈鑒禪師塔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쌍봉사 경내의 북쪽에 있는 이 탑은
8각원당형(八角圓堂型)의 기본형을 잘 나타낸
신라(新羅) 최고의 우수한 부도(浮屠)이다.
건조연대는 신라(新羅) 경문왕(景文王) 8년(868)으로 추정된다.
(cli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