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등재유산
등재유산에는 세계유산, 인류무형유산, 세계기록유산이있다.
[1] 세계유산
1972년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한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되는 세계유산의 종류에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함께 담고 있는 복합유산이 있다.
<세계유산>
* 세계172개국987건이 등재되었고
* 우리나라는 10건이 등재 되었다.
1) 석굴암.불국사 2) 해인사 장경판전 3) 종묘 4) 창덕궁 5) 화성 6) 경주역사유적지구
7)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8) 제주화산과 용암동굴 9) 조선왕릉 10)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2]인류무형유산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입니다. 2005년까지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프로그램 사업이었으나 지금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간 협약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인류 무형유산>
* 세계88개국 296건 등재 되었고
* 우리나라는 14건이 등재 되었다.
1) 종묘제례 및 제례악 2) 판소리 3) 강릉단오제 4) 강강술레 5) 남사당놀이 6) 영산재 7) 제주7마당영등굿
8) 처용무 9) 대목장 10) 줄타기 11) 택견 12) 한산모시짜기 13) 아리랑 14 )매사냥
[3] 세계 기록유산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유산의 종류로는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됩니다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유산의 종류로는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됩니다
< 세계 기록유산>
- 세계 97개국 287건 등재 되었고
- 우리나라는 11건 등재 되었다.
1) 훈민정음 2) 조선왕조실록 3) 직지심경요절 4) 승정원일기 5) 조선왕조의궤 6 )해인사팔만대장경판 및 제경판
7) 동의보감 8) 일성록 9) 5.18민주민주화운동기록 10) 난중일기 11) 새마응운동기록물
'문화·예술·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림성/연길 자치구 (0) | 2013.07.20 |
---|---|
중국 왕지환의 글(서) (0) | 2013.07.20 |
세계유산 보기 (0) | 2013.07.12 |
도로명 주소체계 문제많다 (0) | 2013.06.24 |
도로명 새주소 헌법소원 (0) | 201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