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을 벗으로 삼으라 * 강조 말씀 - 자신의 수행 동기를 들
주제; 수행을 벗으로 삼으라
* 강조 말씀
- 자신의 수행 동기를 들여다 보는 일
- 자신을 배려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점검하되 자비와 사랑이 근본
- 수행 기도를 생활화 하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관념만으로 세상을 변화 시킬 수는 없다. 오로지 수행을 통해서 자신을 변화 시켜야만 세상이 변한다.
-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살면 행복의 길로 갈 수 있다.
- 수행하는 마음을 일으켜 동반자로 삼으면 괴로움(두려움)이 없어진다
- 마음에 중심이 있어야 혼란이 없다
- 이 세상 하직 할때에는 선업을 짓고 가야한다.
* 수행 방법
1. 불사의 공덕
부처님은 무주상보시를 말하셨는데 이는 조건없는 나눔을 말한다
- 안시 : 부드러운 눈으로 사람을 대하기
- 신시 : 예의 바르게 사람을 대하기
- 심시 : 선심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기
- 상좌시 : 다른이에게 자리를 양보 하는 것
- 방사시 :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해 주는 것
- 언사시 : 좋은 말로 사람을 대하기
- 화안/열색시 : 부드럽고 미소띤 얼굴로 모두를 대하는 것
- 무주상/ 보시 : 내가 누구를 위해서 베풀었다는 마음을 여의고 자비한 마음으로
행하는 보시가 진정 참된 보시요 시주이다.
2. 염불
* 부처님께 귀의하고 부처님의 공덕을 생각하면서 염불하게 되면 번뇌가 일어나지 않 고 열반의 도리를 얻게 되는데 관념염불과 칭명염불을 합한 방법이다.
* 여러 가지 염불법 중에서 지명염불이 가장 대중적인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망념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고성념을 포함한 열 두가지 념이 있으나 사위의중 개념을 넘어 염불념개념 으로 수행하면
심중에서 늘 염불하고 있으니 지명 외에 관상이나 관조할 때에도 바로 지명 중에 있는 방법이다.
3. 간경
모든 불교 수행의 목적이 깨달음에 있듯이 간경수행의 목적도 불법의 이치를 깨달아 성불하는데 있 다.
* 간경은 경전을 통해 불법을 공부하되 생활을 통해 그 말씀이 몸과 마음에 배도록 하는 수행이다.
* 부처님의 참 뜻을 이해하고자 하는 한 가닥 진실한 의문을 가슴에 담고 몸과 입과 생각으로 언제 나 일심으로 하다 보면 모든 이치가 밝아지고, 번뇌업장이 눈 녹듯 사라지고, 밝은 지혜가 솟아
날 것이다.
4. 주력
주력 수행에는 발원,참회,염송이 있는데,
* 발원 = 간절한 마음으로 일체의 중생을 건지겠다는 대자비심을 일으키는 발원을
해 야 한다.
* 참회란 = 신구의로 지은 모든 업보에 대하여 진실로 참회가 이뤄져야한다.
* 염송= 주문에 마음을 집중하여 염송하되, 주문이 공덕의 능력에 대하여 확고한 믿 음을 가져야 한다.
5.참선
* 참선이란 견성을 위한 수행법으로 좌선이 일반적이 있으며 참선에는 지관 참선,묵조선,간화선 등이 있다.
* 간화선에는 대신심,대분심,대의정이 있는데, 참선의 본래 목적은 견상성불에 있다.
자신의 성품을 보고 부처를 이루게 하는 것이 목적이고, 마음의 본질을 깨닫는 가장 좋은 지름길이다.